현재 해외에서 주목하거나 식품 수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거나.
과자, 음료, 라면, 만두, 아이스크림까지 대견한 K-식품 군단이
특히 어느 지역에서 인기를 얻는지 지도를 펼치고 짚어봤다.
“중국은 삼양식품 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한다.
불닭볶음면 첫 해외 생산 공장도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 짓고 있다.
지난해 미국 매출도 127% 성장하는 쾌거를 이뤘다.”
*K-식품 판매 주요국
01 메로나 | 미국/캐나다/필리핀*
메로나는 빙그레 전체 아이스크림 수출액의 약 30%를 담당한다. 우유 기반 바닐라·초콜릿·딸기 아이스크림이 대부분인 미국에서 ‘과일 맛 바 아이스크림’으로 특히 인기다. 미국에서만 매년 1800만 개 이상 팔린다. 중국에서는 빙그레 바나나맛 우유의 유행이 바나나맛 메로나로 이어졌다.
02 붕어싸만코 | 베트남/미국/필리핀
수출을 시작한 2004년부터 베트남에서 꾸준히 사랑받는 제품이다. 2019년에는 현지 법인을 세웠고, 연간 무려 600만 개 이상 판매된다. 물고기 모양의 모나카 아이스크림이 연안 지역이 많고 수산물과 친숙한 현지인 취향을 저격한 요인으로 꼽힌다.
03 불닭볶음면 | 중국/미국/네덜란드
중국은 삼양식품 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한다. 불닭볶음면 첫 해외 생산 공장도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 짓고 있다. 14억 인구를 겨냥하면서, 다음으로 수출 비중이 높은 북미와 유럽에 수출 물량을 조달하기 위함이다. 지난해 미국 매출도 127% 성장하는 쾌거를 이뤘다.
04 비비고 만두 | 미국/중국/영국
2021년부터 미국 내 냉동 만두 시장에서 4년 연속 1위를 하고 있다. 쫀득한 만두피에 고수를 더하거나 돼지고기 대신 닭고기를 넣는 등 국내 만두의 매력과 현지화 전략을 잘 결합한 덕이다. 동일 전략으로 중국, 베트남, 일본, 독일, 영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05 팔도 도시락 | 러시아/베트남/미국
현지 즉석 라면 시장에서 60%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연간 판매량은 약 3억 개로, 모스크바와 랴잔에 생산 공장을 두고 빠른 공급망을 유지 중이다. 라면 대신 도시락이 일반 명사로 사용될 정도다. 국내와 달리 총 여섯 가지 맛을 출시한다.
06 박카스 | 필리핀/베트남/태국
기후가 더운 동남아시아 국가는 수분 보충과 피로 해소에 관심이 높다. 박카스는 현지에서 건강 음료로 자리매김하며 연평균 800억원 이상 매출을 기록 중이다. 수출 및 유통 환경을 고려해 캔 형태로 판매하고,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점을 고려해 ‘박카스’라는 이름은 그대로 사용했다.
07 빼빼로 | 미국/캐나다/필리핀
뉴진스, 스트레이 키즈 등 K-팝 아이돌을 광고 모델로 앞세우고, 구독자가 6800여만 명인 토퍼 길드를 한국으로 초대하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수출액이 늘었다. 지난해는 해외 매출이 국내를 뛰어넘으며 미국, 필리핀, 러시아 등 57개국에서 총 1억 개 이상 판매했다.
08 꼬북칩 | 미국/일본/중국
미국은 현재 꼬북칩의 최대 수출국이다. 해외 매출 1, 2위를 다투던 일본과 중국을 제치고 1년 만에 선두로 올라섰다. 지난해 오리온 미국 수출액 절반에 가까운 120억원도 꼬북칩이 차지했다. 독특한 네 겹 식감과 초코츄러스, 인절미 맛이 현지 소비자를 사로잡았다.
09 초코파이 | 러시아/베트남/중국
러시아는 한국보다 초코파이가 많이 팔리는 나라다. 중국과 함께 초코파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과거도 현재도 글로벌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은 러시아가 차지한다. 지난해만 전 세계 판매량의 40%, 16억 개가 러시아에서 판매됐다. 포만감 있는 과자를 선호하는 데다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점이 주요인이다.
10 고래밥 | 중국/베트남/러시아
중국에서만 연 매출 1000억원을 유지하고 있다. ‘많은 물고기’란 뜻의 이름으로 맛은 현지인이 좋아하는 토마토, BBQ 등을 추가했다. 베트남 매출은 연 170억원을 웃돌며, 국내와 비슷한 수준이다. 초코파이, 오!감자, 예감에 이은 오리온의 메가 브랜드다.
11 바나나킥 | 미국/일본/중국
바나나킥의 인기는 제니가 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토크쇼에서 좋아하는 과자로 소개한 뒤 미국 수출이 한 달여 만에 69% 늘었다. 디저트 카페 노티드와 협업한 바나나킥 크림 도넛과 라테도 제품 홍보에 박차를 가했다.
12 밀키스 | 중국/대만/러시아
중국과 대만, 미국에서는 우유와 결합한 탄산이라는 조합으로 주목받았다. 러시아는 1990년대 초부터 밀키스가 유통된 국가로 현지에서 ‘국민 음료’라 불린다. 각 나라에서 연간 1000만 캔 이상 판매되며, 특히 중국의 소비량이 높다.
Editor 김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