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Narcissism

비친다. 보인다. 흡족하다. 바닥에 비친 자기 모습에 흡족할 만한 차 다섯 대.

UpdatedOn June 14, 2017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6/thumb/34874-235734-sample.jpg

 

 

Mercedes-Benz The New GLC Coupe

시대가 변했다. 기존 통념은 통념일 뿐이다. 금세 새로운 인식을 뒤집어쓴다. 변화가 당연한 시대다. 자동차를 바라보는 시선 또한 마찬가지다. SUV라면 이래야 한다는 어떤 선입견. 선이 곱다거나 날렵하다거나 하는 모순적인 수식어도 익숙해졌다. 그 흐름은 ‘쿠페형’이란 새로운 시각이 가속화했다. 쿠페형 세단에 이어, SUV에도 지붕 깎는 솜씨를 발휘했다. 쿠페의 역동적인 인상과 날렵한 형태로 다변화한 취향을 자극했다.

메르세데스-벤츠도 감각을 번뜩였다. 전 모델을 새롭게 옷 갈아입히더니, 맵시 매만진 모델도 선보였다. 더 뉴 GLC 쿠페는 이름 그대로 GLC의 쿠페형이다. 메르세데스-벤츠 SUV 라인업의 마무리를 담당한다. 단지 지붕만 깎는다고 호평을 얻진 못한다. GLC 쿠페는 그 자체가 하나의 단독 모델로 기능한다. 파생 모델 이상의 지위를 획득한다. 크기에 따라 같은 형태라도 달라 보인다. GLC 쿠페가 재확인시켰다. GLE 쿠페와 비교해보면 압도적 우위를 차지한다. 보닛과 펜더에서 이어지는 풍성한 선을 가파른 지붕과 쫑긋 솟은 엉덩이로 잘 연결했다. 볼수록 탐스럽다. 가격은 7천3백20만원부터.



INFINITI  Q30S

작은 차체에 굴곡이 풍부하다. 울룩불룩, 힘차다. 잔근육으로 탄탄한 스프린터의 몸이 이럴까. Q30S는 생김새 자체로 속도감을 유발한다. 해치백 형태지만 그냥 수수한 모습은 아니다. 인피니티는 그 경쾌한 형태를 크로스오버로 명명했다. 뭐라 부르든 중요하지 않다.

Q30S를 보며 떠오르는 건 장르보다는 장면이다. Q30S가 도로를 박력 있게 누비는 장면. 요즘 흐름답지 않게 작은 차체에 2.0 가솔린 터보 엔진을 얹었다. 풍부한 출력은 7단 듀얼클러치가 신속하게 전달한다. 출력 풍부하고, 동력 전달 매끄러우니 오른쪽 발이 근질거릴 수밖에 없다. 시트는 일체형 헤드레스트 버킷 시트다. 몸을 움켜쥐는 시트에 앉으면 달리고픈 욕구가 꿈틀거린다. 운동성에만 몰두해 실내 품질을 놓치지도 않았다. 만지면 흐뭇한 알칸타라로 실내를 고루 치장했다. 조막만 한 기어 레버도 실내를 고급스럽게 연출한다. 흡사 AMG의 기어 레버가 연상된다. 괜히 이득 보는 기분이다. 가격은 3천8백40만원부터.



PEUGEOT New 3008 SUV

푸조의 또 다른 주력 모델이다. 2008의 흥행을 이을 예고된 기대작이다. 2008의 아쉬움을 모조리 해소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크기 적당하고, MCP 대신 자동변속기를 물렸다. 외관은 강렬하게, 실내는 화려하게 채웠다. 이름에 SUV라고 굳이 넣을 만큼 본격 도심형 SUV다운 면모를 뽐낸다. 두툼한 조각을 갑옷처럼 두른 차체 형상은 꽤 위압적이다. 범퍼 밑에 큼직한 스키드 플레이트도 달았다. 크로스오버의 두루뭉술한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변화의 방점은 맹수의 발톱처럼 과격한 전조등. 철갑 덧댄 듯한 외관을 더욱 사납게 강조한다. 외관에서 기계 괴수를 읽었다면, 실내는 첨단 조종석이 떠오른다. 기계 괴수를 조종하려면 이 정도로 첨단 느낌은 줘야 한다는 듯이. 실내 각 부분을 과감하게 꺾었다. 꺾인 부분은 크롬으로 마무리했다. 날카로운 금속성 느낌이 실내에 가득하다. 더불어 센터페시아에는 토글 스위치를 일렬로 나열해놨다. 조종석 같다는 말을 그냥 갖다 붙인 게 아니다. 푸조의 자랑, 아이-콕핏 계기반은 여전히 쾌적한 시야를 확보한다. 뉴 3008 SUV로 승부수를 던질 만하다. 가격은 3천8백90만원부터.



BMW New M760Li xDrive

가장 강력한 7시리즈다. 6.6리터 V12 가솔린 터보 엔진을 품었다. 6세대 7시리즈 기반으로 최강 기함 타이틀을 획득했다. 기함 중 기함이지만 유난스럽게 꾸미진 않았다. 몇몇 부분만 강조했다. 크롬으로 장식한 큼직한 공기흡입구가 표식처럼 성능을 드러낸다. 앞 펜더 뒤쪽 에어브리더도 M760Li 전용으로 바꿔 달았다. 운전자는 외장 파츠와 상관없이 존재감을 실감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3.7초 만에 도달하니까.

다른 스포츠카 설명과 착각한 게 아니다. 뒷자리에 넉넉하게 승객 태우는 대형 세단이면서도 삽시간에 다른 차들을 사이드미러 속 점으로 만들어버린다. 놀라운 점은 그러면서 안락하다는 것이다. 운전하기에도 편하다. 차선을 꽉 채우는 크기인데도 날렵해서다. 처음에는 뭘 이렇게까지 과하게 만들까, 싶었다. 겪어보니 알았다. 윤택함은 풍성할수록 좋더라. 가격은 2억2천3백30만원.



AUDI S6

아우디의 고성능 모델에는 RS를 붙인다. 그 아래에 S 모델이 포진한다. S는 RS 모델 수준은 아니지만, 꽤 짜릿하게 달린다. 그러니까 일반 모델인 A와 RS 사이에서 중심을 잡는 셈이다. A 모델보다는 짜릿하고, RS 모델보다는 편한 독특한 위치다. (가격을 떠나) 보는 관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여지를 남긴 위치가 실보다 득으로 작용한다. 본격적이진 않지만 충분히 자극적이니까. 본격적이지 않아서 덜 부담스러우니까.

올라운드 플레이어랄까. 양쪽의 장점을 취하면서 가격적인 면까지 조율할 수 있다. 물론 S6 자체도 만만찮은 가격이지만. 아우디 S 모델을 탈 때면 언제나 그랬다. RS를 머릿속에 담아두고 앉았지만, 내릴 때는 말끔히 잊어버렸다. 그만큼 S 모델 자체로 운전자를 충만하게 한다. S6는 A6의 S 모델이다. 아우디 세단의 허리를 담당하는 A6의 2단 변신 형태. 2단 변신만으로도 충분히, 거의 모두를 만족시킨다. 오히려 2단 변신이기에 더. 가격은 1억2천5백40만원부터.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종훈
PHOTOGRAPHY 박원태

2017년 06월호

MOST POPULAR

  • 1
    구찌 앙코라의 의미
  • 2
    서울 한복판에서 노포 치킨을 외치다
  • 3
    15YO를 마실 때
  • 4
    모던 제사상
  • 5
    가을 아트 산책

RELATED STORIES

  • CAR

    실내와 속내

    자동차 실내는 저마다의 이유와 목표를 따라 완성된다. 그 요소를 살피다 보면 차가 출발한 주제와 문제의식에 닿는다. 올해 출시된 네 대의 차에 올라 실내를 살피며 속내를 가늠했다.

  • CAR

    가장 비싼 SUV 두 대

    페라리 푸로산게와 롤스로이스 컬리넌은 얼마나 같고 다를까? 스펙을 보면 어떤 차를 골라야 할까?

  • CAR

    쥬라기 월드의 자동차

    2029년까지 완전 전동화를 약속한 아우디가 대뜸 630마력짜리 고성능 내연기관차를 출시했다. 무슨 의도일까? 아우디 RS를 타고 캘리포니아 1번 도로를 달리며 보고 들은 것들.

  • CAR

    장수 자동차

    갈라파고스섬의 거북이처럼 진화를 거듭하며 살아남은 차들이 있다. 반세기 넘게 대를 이어온 차들을 모아 그 비결을 들여다봤다.

  • CAR

    자동차의 날개

    자동차를 더 빨리 더 멀리 달리게 하는 공기역학 디자인 4

MORE FROM ARENA

  • REPORTS

    NEW MOVEMENT

    살바토레 페라가모의 2018 F/W 컬렉션을 보고 난 후, 미래지향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었다. 새로운 변화와 시도로 꿈틀거리는, 그리고 그 중심에는 남성복 총괄 디렉터 ‘기욤 메이앙(Guillaume Meilland)’이 있다.

  • AGENDA

    아보카도 레시피

    점점 더 다양해지는 아보카도 요리들.

  • INTERVIEW

    최지인

    밀레니얼이라 불리는 세대, 과잉 설비로 비유되는 세대, 1990년대에 태어났을 뿐인 사람들, 소셜 미디어가 탄생할 때 성인이 된 그들. 20대 시인들을 만났다.

  • LIFE

    눈과 혀가 즐거운 이달

    애정과 사랑이 담긴 전시, 그리고 맛있는 것들을 소개한다.

  • LIFE

    오펜하이머의 남자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열두 번째 장편영화 <오펜하이머>가 마침내 국내 개봉한다. 감독은 관객에게 경고한다. “이 영화는 호러 영화이며, 당신을 감정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동시에 그는 자신이 만든 어떤 작품보다도 인물 간의 사랑이 강한 영화라고 말한다. 배우들의 생각은 어땠을까? <오펜하이머>의 세 배우 킬리언 머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맷 데이먼은 저마다 경험한 크리스토퍼 놀란과 ‘맨해튼 프로젝트’ 3인방에 대해 입을 열었다. 크리스토퍼 놀란은 누구인가? 오펜하이머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맨해튼 프로젝트’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었나? <아레나>가 한국 단독으로 전하는 세 배우의 <오펜하이머> 제작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