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EATURE MORE+

꺼내 마셔요

오늘 챙긴 가방엔 이런 술들을 툭 넣었다.

UpdatedOn June 13, 2017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6/thumb/34873-235731-sample.jpg

두꺼운 캔버스 천으로 만든 배낭은 MAKR, 메탈 프레임 선글라스는 레이밴 제품.

두꺼운 캔버스 천으로 만든 배낭은 MAKR, 메탈 프레임 선글라스는 레이밴 제품.

Drink 1  발렌타인 파이니스트 200mL

백팩에 발렌타인 파이니스트 200mL를 챙긴다. 주머니에 초콜릿 바도 하나 찔러 넣고 집을 나선다. 분명 저녁이면, 아니 해가 채 지기도 전에 뻣뻣해진 몸을 녹여줄 위스키 한잔이 생각날 테니까. 발렌타인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위스키 중 하나다. 발렌타인의 ‘표준’이라 불리는 파이니스트는 스코틀랜드 전 지역에서 직접 공수한 40여 가지 최상급 원액을 고유한 방법으로 블렌딩해 재탄생된다. 전통 있는 위스키 명가가 그러하듯 정성을 쏟아 만들지만, 이 술을 고급스러운 가죽 소파에 앉아서만 마셔야 하는 건 아니다. 멋들어진 크리스털 온더록스 잔을 찾을 필요도 없다. 힙 플라스크처럼 생긴 작은 보틀을 금주법 시대의 마피아처럼 한 손으로 가볍게 잡고 홀짝홀짝 마시면 된다. 스파이시한 풍미가 혀끝부터 목구멍 깊숙이까지 알싸하게 훑는다. 섬세하고 달콤한 향이 심장을 간질인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6/thumb/34873-235732-sample.jpg

그물 형태로 만든 검은색 가방은 필트 제품.

그물 형태로 만든 검은색 가방은 필트 제품.

Drink 2  칸티 프로세코 D.O.C. 200mL

각자 마실 술과 음식을 들고 친구 집의 마당에서 작은 미식회를 열기로 한 날, 이것저것 어수선하게 담은 피크닉 도시락과 함께 칸티 프로세코를 들었다. 가뿐하게 마실 수 있는 200mL 소형으로. 와인잔에 따라 마시면 딱 2잔이 나오는 용량이다. 초여름 피크닉을 위한 술을 하나만 골라야 할 때면 언제나 프로세코부터 챙긴다. 입안에서 보글보글 부서지는 탄산 덕에 뜨거운 햇빛 아래에서도 한없이 경쾌하게 마실 수 있고, 적당한 산도에 감칠맛이 좋아 샐러드에도 샌드위치에도 착착 어울린다. 프로세코는 야외에서 더욱 날개를 편다. 프로세코는 이제 이탈리아 베네토 지역의 글레라로만 만들어야 붙일 수 있는 이름이다. 칸티 프로세코 D.O.C. 역시 베네토 지역에서 글레라 100%로 빚는다. 진한 시트러스 향과 사과 향이 기분 좋게 올라온다. 차갑게 해 빨대를 꽂아 마시기에도 좋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6/thumb/34873-235729-sample.jpg

넉넉한 크기로 갖가지 소지품의 수납이 편한 갈색 캔버스 가방은 필슨 제품.

넉넉한 크기로 갖가지 소지품의 수납이 편한 갈색 캔버스 가방은 필슨 제품.

Drink 3  미니 모엣 임페리얼 200mL

샴페인을 싫어한다고 말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샴페인은 늘 편견 속에 있는 술이다. 무릇 날렵한 플루트 잔에 마셔야 하며, 냉장고에서 방금 꺼낸 듯 차가워야 하고, 파티와 축하 자리처럼 특별한 날에 곁들여야 한다는 식의 거추장스러운 룰이 샴페인을 따라 다닌다. 미니 모엣은 이런 편견을 시원하게 부순다. 맥주처럼 한 손에 몇 병씩 가뿐히 쥘 수 있고, 가벼운 천 가방에도 쑥 들어가고, 어디에서든 잔 없이 바로 열어 마실 수 있다. 샴페인을 마실 때 필요한 건 격식보다 흥취다. 샴페인은 그런 술이다. 몸과 마음을 느슨하게 풀어놓고 싶은 오후, 철없는 낙관론자이고 싶은 순간에 생각난다. 그런 날 마시는 첫술이 샴페인이라면, 그다음은 더 생각할 필요도 없을 테니까. 랩톱과 함께 미니 모엣 네 병을 가방에 넣었다. 그렇게 담고도 가뿐하기만 했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6/thumb/34873-235730-sample.jpg

감자칩은 프리토스, 파란색 천 가방은 로열 아카데미 오브 아츠 제품.

감자칩은 프리토스, 파란색 천 가방은 로열 아카데미 오브 아츠 제품.

Drink 4  하이네켄 슬림캔 250mL

기온이 발갛게 오르는 계절에 ‘맥덕’들은 생각한다. ‘지구상에, 이렇게 뜨거운 날, 맥주 마시면 안 될 때와 장소가 있나?’ 이들에게 목이 바짝바짝 마르는 한낮의 사무실에서 하이네켄을 떠올리는 일은 자연스럽다. 안주 없이 훌훌 마셔야 맛있으니까. 단맛이나 과실 향이 입에 남지 않고 개운하게 넘어가니까. 상쾌한 맛으론 하이네켄을 따라올 맥주가 없으니까. 질리는 법이 없으니까. 갖은 취향에 호소하는 이런저런 맥주보다 하이네켄이 먼저 생각난다. 첫입에는 옅게 배어나는 구수한 곡물 향이, 뒤이어선 쌉싸름한 맛이 우르르 밀려오는. 여름에 훌쩍 가까워진 오후, 하이네켄 슬림캔을 들고 한강에 간다. 짭조름한 감자칩도 본 체 만 체하며 하이네켄만 마신다. 목구멍을 활짝 열어 꿀꺽꿀꺽 단숨에 삼켜버린다. 콜라 캔처럼 한 손에 기분 좋게 쥘 수 있는 슬림캔에는 딱 250mL의 맥주가 들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경진
PHOTOGRAPHY 기성율

2017년 06월호

MOST POPULAR

  • 1
    Master of Materials
  • 2
    에디 슬리먼의 꿈
  • 3
    The New World
  • 4
    봄맞이
  • 5
    New Sense

RELATED STORIES

  • FEATURE

    스위스에서 온 편지

    스위스의 디자인과 함께한 일주일.

  • FEATURE

    오늘의 공예

    AI와 글로벌 대량생산의 시대에도 누군가는 입으로 유리를 불고 닥종이에 옻칠을 한다. 기술을 닦고 고민을 모아서 공예품을 만든다. 젊은 공예가의 공예품을 모으고 그에게 설명을 부탁했다.

  • FEATURE

    Special Thanks to

    <아레나>에 몸담고 있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시간 동안 마음 깊이 감사했던 그대들을 향해 진심을 가득 담은 헌사를 보냅니다.

  • FEATURE

    17년이 흐른 뒤

    2006년 3월호, 표지는 주드 로, 키워드는 블랙칼라 워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한국에 처음 나온 해다. 그때 <아레나>는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 어떤 예언이 맞고 어떤 예언이 빗나갔을까. 거기 나온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동안 세상에는 무슨 일이 생겼을까.

  • FEATURE

    어느 어부의 하루

    겨울 동해 바다 위에서 문어를 낚는 어부의 하루를 따라갔다.

MORE FROM ARENA

  • INTERVIEW

    끝과 시작

    조각가 최우람은 기계 생명체를 만든다. 그가 만든 생명체들은 아름답게 움직이고, 현란하게 빛을 발한다. 기계 생명체와 공존하는 현실을 상상하며 최우람 작가와 대화를 나눴다. 두 시간의 인터뷰 동안 대화의 주제는 기계와 생명, 집단지성과 알고리즘, 우주와 인간, 환경과 인류세, 종교와 믿음, 생과 사를 오갔다.

  • FASHION

    새 키폴

    종이로 접어놓은 듯 세모 반듯한 버질 아블로의 정삼각형 키폴.

  • ARTICLE

    Waist Down

    여름엔 어떤 바지와 신발을 조합해야 할까? <아레나>가 내린 답은 두 가지다.

  • DESIGN

    Portraits of Cars

    이 차를 타는 사람은 어떤 모습일까? 차를 보며 생각한 얼굴들을 그려보았다.

  • FASHION

    Blossom

    활짝 만개한 꽃처럼 싱그러운 이달의 뷰티 소식 3.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