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일본풍 양주

스코틀랜드의 위스키와 러시아의 보드카를 두고 왜 굳이 일본의 서양풍 증류주를 마셔야 할까? 오늘의 술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서양식 주조법으로 만든 일본의 증류주 넷.

UpdatedOn August 11, 2023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54-519643-sample.jpg

야마자키 18년 미즈나라 100주년 한정판


알코올 함량 48% 용량 700mL

‘야마자키 100주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배경 설명이 필요하다. 시작은 토리이 신지로다. 1907년 토리이는 일본에서 포트와인을 팔아 큰돈을 벌고 ‘서양 위스키를 뛰어넘는 일본 위스키를 만들겠다’는 꿈을 품는다. 마침 스코틀랜드에서 위스키 제조법을 배워온 다케쓰루 마사타카를 만나 일본 최초의 몰트 증류소인 야마자키 증류소를 세운다. 1923년의 일이다.

이 술은 야마자키 증류소 건립 100주년을 기념해 출시한 한정판 싱글 몰트위스키다. 레이블에 적힌 ‘미즈나라’는 물참나무다. 이름처럼 일본산 물참나무 캐스크에서 숙성시켰다. “절에서 피우는 향을 느낄 수 있는, 매우 동양적인 스파이시함을 머금은 위스키입니다.” 산토리 5대 치프 블렌더 신지 후쿠요는 이 술의 맛을 이렇게 정리했다.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54-519644-sample.jpg

히비키 21년


알코올 함량 43% 용량 700mL

히비키는 산토리 그룹의 최고급 블렌디드 위스키다. 이 술은 처음부터 고급품이었다. 탄생한 해인 1989년, 일본의 버블경제가 최고조에 이르던 시기다. 당시 산토리의 목표는 ‘일본의 풍부한 자연에서 비롯된 원주를 블렌드하여 전 세계 사람들이 기뻐하는 위스키를 만들자’. 버블 시대의 자신감이 느껴진다.

히비키는 영화에 등장하며 더 유명해졌다. 소피아 코폴라의 2003년작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서 밥 해리스(빌 머레이)가 마셨던 위스키가 히비키다. 그 인연은 20년 뒤에도 이어진다. 소피아 코폴라는 산토리 위스키 100주년 기념 영상도 제작했다. 해당 영상 속 키아누 리브스가 온더록스로 마신 술이 히비키 21년산이다.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54-519642-sample.jpg

하쿠


알코올 함량 40% 용량 700mL

보드카 하쿠의 재료는 100% 일본산 백미다. 그래서 이름도 흰 백()을 일어로 읽은 하쿠다. 백미는 동아시아 어디서나 귀한 식재료였다. 일본에서도 백미는 주식이 아닌 황실 같은 상위 계급을 위한 사치품으로 통했다. 그런 역사적 맥락에서 보면 백미만을 사용해 만든 보드카에 상징적 자부심이 있을 만하다.

하쿠는 규슈 남부 가고시마에 자리한 오스미 증류소에서 만든다. 여기서는 쌀을 증류해 만든 보드카 원액을 대나무 숯으로 여과한다. 대나무숯 여과는 본사 설명에 따르면 불순물과 잡스러운 맛을 없애고 맛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쌀로 만든 만큼 술에서는 백미 특유의 은은한 단맛이 난다.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54-519645-sample.jpg

수이


알코올 함량 40% 용량 700mL

수이는 2020년 출시된 진이다. ‘일본인의 입맛에 맞춘, 어느 식사 자리에나 어울리는 술’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그 말처럼 수이는 일본 식탁에 익숙한 유자, 녹차, 생강으로 맛을 냈다. 산토리가 추천하는 수이의 음용법은 하이볼이다. 얼음 넣은 잔에 수이와 탄산수를 1:4 비율로 넣고 잘 섞으면 끝. 기호에 따라 생강, 유자즙, 찻잎 가루를 더해도 좋다. 술병에도 제조사의 의도가 있다. 수이의 레이블에는 한자 취()가 쓰여 있다. ‘물총새’와 ‘푸르다’는 뜻을 지녔다. 일본 주류 시장에서 물총새처럼 비약하길 바라는 기원을 담은 이름이다. 보통 진은 색깔 있는 병을 쓴다. 수이도 병 곳곳에 물총새의 에메랄드빛 장식을 담았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주현욱
Photography 박도현

2023년 08월호

MOST POPULAR

  • 1
    INSIDE OUT, 허성범
  • 2
    ATTENTION 2025 #CHECKLIST
  • 3
    내돈내산 캘린더
  • 4
    ATTENTION 2025 #HIGHLIGHT
  • 5
    Happy Year of the Snake!

RELATED STORIES

  • LIFE

    이색적인 체험은 덤! 전국 곳곳의 찜질방 5

    이번 주말에 가볼까?

  • LIFE

    목표 달성을 위한 끝판왕 아이템 5

    새 결심을 이루도록 도와줄 다섯 가지 제품을 엄선했다.

  • LIFE

    INSIDE OUT, 허성범

    구석구석 들여다본 허성범의 가방 속.

  • LIFE

    꽃과 꿀이 흐르는 병

    위스키는 쓰다. 쓰기만 할까. 향긋하고 달콤할 수도 있다.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지역의 위스키가 그 차이를 알렸다. 아벨라워는 스페이사이드에서도 자기만의 기준을 세워 그 화사함을 한층 화려하게 담아냈다. 마개를 빼자 꽃밭이 펼쳐졌다.

  • LIFE

    동네 골목 갤러리

    국립현대미술관, 리움미술관, 대림미술관도 좋지만, 서울의 골목에는 작지만 개성 있는 미술관이 많다. 새해를 맞아 새로운 영감을 가득 채워줄 갤러리 여섯 곳을 소개한다.

MORE FROM ARENA

  • LIFE

    세계 최초라는 것

  • REPORTS

    폴킴의 의미

    여기 지금. 노래하기 위해 태어난 청년, 폴킴.

  • INTERVIEW

    그냥 초아야

    3년 전이었다. 초아는 무대 뒤로 갔고, 그대로 증발했다. 근황도 없었다. 그리고 때늦은 장맛비처럼 갑자기 돌아왔다. 마음을 비우고 한결 편안해진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초아가 겪은 지난 3년간의 심경 변화를 글로 옮긴다.

  • CELEB

    Sasquatch Fabrix / Daisuke Yokoyama

  • LIFE

    지금 트로트에 필요한 것

    빠르고 무성하게 세상을 장악한 트로트에 경고등이 켜졌다. 쏟아지는 트로트 예능들만큼이나 “이제 트로트는 지겹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고, 불세출의 스타 송가인, 임영웅 등을 배출한 <내일은 트롯> 시리즈인 <내일은 미스트롯2>의 우승자와 출연진에게는 별다른 스포트라이트가 비추지 않고 있다. 예능 프로그램의 힘을 빌리지 않고 트로트 장르는 자생할 수 있을까? 지금, 우리가 마주한 트로트의 오래되었지만 생생한 맨 얼굴.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