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다섯 번째 바퀴

차를 모는 여러 즐거움 중에는 손맛도 있다. 각 브랜드를 상징하는 네 대의 차를 모아 스티어링 휠을 들여다봤다.

UpdatedOn April 11, 2023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419-512210-sample.jpg

메르세데스-벤츠
S 580 4매틱 롱

2023년식 기준 S 클래스 라인업 중 가장 저렴한 모델(S 350d)의 가격은 1억4천6백40만원부터 시작된다. 지금 보고 있는 운전석의 주인공은 국내에서 마이바흐를 제외한 S 클래스 중 최상위 버전인 S 580 4매틱 롱이다. 가격은 S 350d보다 9천5백30만원 더 비싸다. 과연 9천5백30만원만큼 차이가 있을까? S 580 4매틱 롱부터는 스티어링 휠에 나무가 기본 사양으로 들어간다. 고동색 나무 테두리는 광택 처리를 해 따뜻한 촉감의 나무 식탁을 만지기보다 단단하고 매끈한 유리를 만지는 느낌이다. 아무 차에서나 느낄 수 있는 감각은 아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아랫급 모델과 같다. 스티어링 휠은 삼각별이 새겨진 구와 그 주변을 둘러싸는 원형 테두리로 구성됐다. 64가지 컬러를 제공하는 액티브 앰비언트 라이트 속에서 보고 있자면 우주에 떠 있는 행성과 고리를 보는 듯한 감흥마저 든다. 운전대 양쪽 뒤편에는 손가락 세 개가 올라가는 짤막한 패들 시프트가, 오른쪽 뒤쪽에는 칼럼형 기어 셀렉터가 배치됐다. 참고로 이 차에는 증강현실 기능이 포함된 MBUX 내비게이션이 적용됐다. 운전대를 잡고 주행하면 각종 운전 정보가 실제 도로 위에 있는 것처럼 떠오른다.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419-512211-sample.jpg

현대자동차
그랜저

그랜저가 처음 출시된 1986년 당시 가격은 1천6백90만원 이었다. 1980년대 초중반, 대졸 출신의 대기업 신입사원 평균 월급이 30만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가격이다. ‘조선 롤스로이스’라는 별명이 괜히 붙은 게 아니다. 36년 뒤 7세대 그랜저가 출시된다는 소식에 많은 기대가 모였다. ‘각 그랜저’라 불리는 1세대 디자인이 적용된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현대자동차는 베일에 싸여 있던 신형 그랜저를 선보이며 이렇게 자평했다. ‘기함의 부활’. 실제로 신형 그랜저 실내외 곳곳에서는 1세대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요소 중 하나가 스티어링 휠이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두 모델의 공통점은 6시 방향의 두툼하게 내려온 수직 레이아웃이다. 1세대와 마찬가지로 현대의 ‘H’ 엠블럼은 생략됐지만, 에어백 커버에는 LED 조명 4개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라이트가 추가됐다. 해당 부분은 주행 모드에 따라 색상이 바뀐다. 3시와 9시 방향에 추가된 스포크 위에는 각종 운전자 보조 기능 버튼이 탑재됐으며, 모든 버튼은 운전 중 엄지손가락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2023년 그랜저의 가격은 3천7백16만원부터 시작된다.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419-512208-sample.jpg

포르쉐 911 에디션
50주년 포르쉐 디자인

지금 포르쉐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 소개된 911은 총 19종이다. ‘같은 911인데 뭐가 이렇게 복잡해’ 싶을 수 있지만 911은 단순한 차가 아니다. 911은 지붕이 열리는 형태, 엔진 종류, 구동 방식 등에 따라 경우의 수를 넓히며 라인업을 완성해왔다. 이유는 간단하다. 다양한 고객의 취향을 최대한으로 충족시키기 위해서. 포르쉐는 고객만 원한다면 직접 농장에서 가져온 가죽으로 차 내장을 만들어주는 일까지 한다. 이번 기사에 소개된 911 타르가 4 GTS는 전 세계 7백50대만 제작된 한정판 모델이다. 스티어링 휠도 특별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현행 포르쉐의 스티어링 휠 디자인은 거의 같다. 원형 운전대, 3·6·9시 방향으로 뻗은 3-스포크, 정중앙의 금빛 크레스트는 911뿐 아니라 718, 파나메라, 타이칸에서도 볼 수 있다. 그중 ‘스포츠카’ 911의 마니아라면 더욱 자주 만지작거릴 요소가 있다. 모드 스위치 버튼이다. 버튼 가장자리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웨트, 노멀, 스포츠, 스포츠 플러스, 인디비주얼로 주행 모드가 즉각 바뀐다. 버튼 가운데를 누르면 약 20초간 차량 반응성이 최대치로 올라간다. 12시 방향의 센터 마크는 GT 스포츠 스티어링 휠에만 적용된다.

/upload/arena/article/202304/thumb/53419-512209-sample.jpg

BMW M3
컴페티션 세단

1936년 BMW 광고판에는 이런 말이 적혀 있었다.“Kraftfahren muss Freude bereiten! (운전은 즐거워야 합니다!)” 베를린 장벽보다도 오래된 BMW의 열정은 21세기에도 이어진다. 항공기 엔진을 만들며 시작한 BMW는 오늘날 준중형 사이즈의 해치백부터 대형 고급 세단, 전기 SUV까지 만들고 있다. 그중에서도 운전의 즐거움과 가장 맞닿아 있는 차는 단연 M 시리즈다. M은 반세기 넘게 BMW의 모터스포츠 및 고성능 모델을 전담해온 부서다. 한국 라면 시장처럼 BMW에도 순한 맛, 사골곰탕, 짜장 맛, 멸치칼국수 맛 차가 있다면 M은 핵불닭볶음 맛을 담당한다.

최신형 M3의 스티어링 휠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빨간색 M 버튼 2개다. 각 버튼에는 엔진, 변속기, 차체, 스티어링, 브레이크 세팅을 제각각 달리 조율해 구성한 M 드라이브 모드가 적용된다. 버튼 하나로 미세한 주행 감각의 차이를 느끼며 달리는 기쁨은 M에서만 누릴 수 있는 호사다. 스포크는 카본파이버로 마감됐으며 그 위는 매끈한 가죽이 감싸고 있다. 가죽은 M 로고와 같은 색의 실로 마감됐다. 별것 아닌 듯해도 BMW M의 팬들에게는 기꺼이 지갑을 열게 할 요소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주현욱
Photography 박원태

2023년 04월호

MOST POPULAR

  • 1
    김래원의 남자들
  • 2
    FOR FRIEZE SEOUL
  • 3
    궁극의 전시
  • 4
    가을 아트 산책
  • 5
    서울 한복판에서 노포 치킨을 외치다

RELATED STORIES

  • CAR

    실내와 속내

    자동차 실내는 저마다의 이유와 목표를 따라 완성된다. 그 요소를 살피다 보면 차가 출발한 주제와 문제의식에 닿는다. 올해 출시된 네 대의 차에 올라 실내를 살피며 속내를 가늠했다.

  • CAR

    가장 비싼 SUV 두 대

    페라리 푸로산게와 롤스로이스 컬리넌은 얼마나 같고 다를까? 스펙을 보면 어떤 차를 골라야 할까?

  • CAR

    쥬라기 월드의 자동차

    2029년까지 완전 전동화를 약속한 아우디가 대뜸 630마력짜리 고성능 내연기관차를 출시했다. 무슨 의도일까? 아우디 RS를 타고 캘리포니아 1번 도로를 달리며 보고 들은 것들.

  • CAR

    장수 자동차

    갈라파고스섬의 거북이처럼 진화를 거듭하며 살아남은 차들이 있다. 반세기 넘게 대를 이어온 차들을 모아 그 비결을 들여다봤다.

  • CAR

    자동차의 날개

    자동차를 더 빨리 더 멀리 달리게 하는 공기역학 디자인 4

MORE FROM ARENA

  • ARTICLE

    [A-tv] ARENA x EMPORIO ARMANI WATCH

  • LIFE

    광장을 만드는 사람들

    이태원로에 작은 광장이 생겼다. 이름은 TSP737. 광장에 들어서면 모자를 눌러쓴 바리스타들이 감각적인 에스프레소를 만들고, 여느 카페와는 다른 구성과 공간이 펼쳐진다. 뭘 좀 아는 예민한 한남동 예술가들은 아침이면 에스프레소로 정신을 차리고, 저녁이면 에스프레소에 술을 첨가해 대화를 나눈다고 한다. TSP737를 만든 사람들을 만났다. 공간을 디자인한 월가 앤 브라더스의 백종환 소장과 콘셉트를 기획한 안성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다.

  • INTERVIEW

    서현, “안전한 선택만 하고 싶진 않아”

    배우 서현의 관능미 넘치는 화보와 인터뷰 미리보기

  • ARTICLE

    Say Again

    말간 옷가지와 표정, 1년 내내 붙여둘 시인의 말.

  • LIFE

    밀레니얼 세대가 만든 뉴스레터가 온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