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20대인 게 죄냐?
자기 뜻으로 그리된 것도 아닌데, 요즘 20대들에게 쏟아지는 사회의 비난은 끝이 없다. 사회에 대한 분노도, 연대도 모른 채 자본의 논리에 무기력하게 끌려가는 20대를 비난한 `20대 개새끼론`이 나오는가 하면, 세대 간의 단절에 대한 얘기들도 그칠 줄 모른다. 정말 20대는 사회의 암적인 존재가 되어가는 걸까? 20대 필자 두 명이 세대론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UpdatedOn February 27, 2011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ISSUE
2022년의 2등을 위해 #2
2022년은 특별한 해다. 2가 반복된다. 그리고 이건 12월호다. 2가 반복되는 해의 마지막 달이라 2등만을 기념하련다. 올해 각 분야의 2위들을 재조명한다.
ISSUE
2022년의 2등을 위해 #1
2022년은 특별한 해다. 2가 반복된다. 그리고 이건 12월호다. 2가 반복되는 해의 마지막 달이라 2등만을 기념하련다. 올해 각 분야의 2위들을 재조명한다.
ISSUE
이란, 세 소녀
히잡 시위를 계기로 이란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혼란기를 겪고 있다. 혁명의 주체는 시민이고 시위대를 이끄는 이들은 히잡을 벗어던진 10대, 20대 여성이다. 세상은 혼란할지라도 일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란의 10대, 20대 여성과 인스타그램 DM으로 짧은 대화를 나눴다. 혁명 속을 살아가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옮긴다.
ISSUE
보이지 않는 공로
영화 한 편엔 수없이 많은 제작자들의 정성과 노력이 담기지만 관객은 쉽게 알아차리지 못한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땀 흘리는 제작자들의 공로를 ‘제12회 해밀턴 비하인드 더 카메라 어워드’가 기린다.
ISSUE
2022 Weekly Issue #2
돌아보면 2022년 대한민국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다. 오미크론 확산부터 대선 이슈, 전쟁과 경제 이슈 등 매일이 격동의 나날이었다. 우리는 주 단위로 2022년을 돌아본다. 2022년 1월 첫째 주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 우리의 눈과 귀를 번뜩이게 한 국내외 이슈들을 짚는다.
REPORTS
혼자보단 둘, 둘보다는 셋
리듬파워는 지치지 않는다. 혼자도 아니고 둘도 아닌, 셋이기 때문에.
FEATURE
스승은 말했고
“세 사람이 길을 갈 때 그중엔 반드시 내 스승이 있으니.” 따듯한 말 한마디, 뼈아픈 지적, 닮고 싶은 품위, 저렇게 살지 않겠다는 반면교사 …. 누구에게든 배울 것이 있다. 나의 스승이 말했던 잊을 수 없는 그 말.
FASHION
Sporty Boy
백 가지 옷 중에 스포티한 게 제일 좋은 명랑한 소년의 오늘.
LIFE
차박 A to Z
시동 걸기 전 준비할 차박 용품들.
INTERVIEW
SOUNDS FROM SEOUL
케이팝이라 불리고, 케이푸드라 불리는 한국 문화가 세계를 주름잡는 시대다. 해외 진출을 했다고 하면 모두 돈방석에 앉은 것처럼 인식한다. 그러나 해외로 가는 인디 뮤직의 경우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자본의 뒷받침으로 시작하는 게 아닌, 막말로 ‘맨땅에 헤딩’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용기를 낸 아티스트들이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른바 ‘서울발 세계행 음악 열차’에 오른 네 팀을 만났다. 그들에게 응원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