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수공을 위한 공간 #1 빛과 공기가 관통하는 곳

미술가, 음악가. 두 예술가가 창작을 위해 사유하고 영감 찾는 공간은 어디인가. 그곳에서 어떤 감상을 느끼고 어떤 힘을 발견하나.

UpdatedOn January 16, 2023

3 / 10
전시장 벽면의 통유리창 너머로 풍경이 넓게 펼쳐진다. 늘 빛이 들어와 안온한 느낌을 전한다.

전시장 벽면의 통유리창 너머로 풍경이 넓게 펼쳐진다. 늘 빛이 들어와 안온한 느낌을 전한다.

  • 전시장 벽면의 통유리창 너머로 풍경이 넓게 펼쳐진다. 늘 빛이 들어와 안온한 느낌을 전한다.  전시장 벽면의 통유리창 너머로 풍경이 넓게 펼쳐진다. 늘 빛이 들어와 안온한 느낌을 전한다.
  • 꼭대기 층의 내부 전시 공간 전경. 높은 천장이 특징이며 오른쪽 문을 열면 테라스로 바로 이어지는 구조다.꼭대기 층의 내부 전시 공간 전경. 높은 천장이 특징이며 오른쪽 문을 열면 테라스로 바로 이어지는 구조다.
  • 꼭대기에서 시선을 위로 올리면 기하학적인 건축 구조와 하늘이 보인다.꼭대기에서 시선을 위로 올리면 기하학적인 건축 구조와 하늘이 보인다.
  • 3층과 4층을 잇는 중정. 중앙에 회오리 계단과 뚫린 벽면이 특징이다.  3층과 4층을 잇는 중정. 중앙에 회오리 계단과 뚫린 벽면이 특징이다.
  • 워킹 위드 프렌즈가 둥지를 튼 건물의 외부 모습. 네모반듯하고 정갈하다. 워킹 위드 프렌즈가 둥지를 튼 건물의 외부 모습. 네모반듯하고 정갈하다.

WORKING WITH FRIENDS

WORKING WITH FRIENDS

2019년, 이원우 작가는 몬트리올로 레지던시를 떠나고 작은 페인팅으로 채운 조그만 큐브 형태의 작품을 만들었다. 이후 그 큐브와 동일한 디자인의 건축물을 세웠고, 현재 자신의 작업실로 사용 중이다. “생각해보니 10년 전 대학원 졸업 논문 주제도 큐브였어요. 각기 다른 작가들이 같은 모양의 큐브에 어떻게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지 추적하며 쓴 논문이에요. 그러니까 오랫동안 큐브라는 공간에 대해 고민해온 거죠.” 이원우가 말했다. 조각과 공간은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는 이원우가 사유하는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올해 문 연 워킹 위드 프렌즈는 ‘친구들과의 협업 갤러리 프로젝트’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미술 디자인, 음악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자유롭게 다양한 장르를 전시하는 하는 공간이다. 반듯하게 잘린 듯 매끄러운 흰색 외벽, 군데군데 사각형으로 뚫린 구멍이 마치 각진 큐브를 연상시킨다. 이 건물의 3층부터 꼭대기까지가 워킹 위드 프렌즈다. “저는 창작할 때나 창작을 위해 고민할 때 공간 천장의 영향을 많이 받아요. 높은 천장을 중요하게 생각하죠. 아예 천장이 없는 것도 좋아요. 뻥 뚫린 공간에 있어야 생각의 폭이 넓어지거든요.”

이 건물엔 3층과 4층을 잇는 중정이 존재한다. 중정 중앙에 회오리 형태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고, 계단 옆 벽은 창이 없다. 계단 정면에 내부로 들어서는 큰 유리문이 있고, 내부 전시 공간의 양쪽 벽면도 통창이다. 어느 각도에서든 넓게 펼쳐진 한남동 일대가 보이고, 빛이 통과한다. 꼭대기 층에 오르면 하늘이 바로 보인다. 뻥 뚫린 공간. 이원우가 지향하는 공간의 형태와 일치한다.

창작의 영감을 얻을 때 공간의 구조가 영향을 미치지만, 분위기도 큰 역할을 한다. 소음 속에서 두뇌 회전이 더 활발해지는 사람이 있듯이. “이 건물은 구조가 꽉 막혀 있지 않고 유연합니다. 바람이 이리저리 통과하니까요. 건물 내부의 공기도 마찬가지예요. 새로 세워진 공간인 만큼 디렉터의 방향성과 관점이 유연해요. 그와 미술에 대한 대화를 주고받는데, 그럴 때마다 새로운 영감을 발견하죠.”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정소진
Photography 박도현

2023년 01월호

MOST POPULAR

  • 1
    생 로랑 파인 주얼리 컬렉션
  • 2
    우리는 한화 이글스다
  • 3
    상반된 데님
  • 4
    안경의 모든 것
  • 5
    RUBBER LOVER

RELATED STORIES

  • LIFE

    K-직장의 미국인 인류학자

    마이클 프렌티스는 연구를 위해 한국 모 대기업에 실제로 취업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한 <초기업> 한국어판이 나왔다. 마포구를 떠나 영국 셰필드에 있는 그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눴다.

  • LIFE

    24개의 문답으로 본 '르망 24시' 1백 년

    올해는 르망 24시 1백 주년이다. 르망 24시는 프랑스 르망에서 자동차를 타고 24시간 달리는 대회다. 빠르게 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래 달리는 것도 중요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르망 24시의 모든 드라마가 시작된다. 르망 24시는 대단한 대회이지만 비인기 종목으로 통하는 한국에서는 왜 대단한지 모를 수 있다. 르망 24시가 왜 대단하고 무엇을 보면 좋을지 레이싱팀 감독, 드라이버, 브랜드 관계자, 칼럼니스트 등 전문가에게 물었다.

  • LIFE

    우리는 한화 이글스다

    한화 이글스를 응원할 수밖에 없다는 사람들을 만나 ‘왜?’라고 물었다.

  • LIFE

    오늘의 미식 #5 미식 영화

    미식을 이해하는 데에도, 음식이 먹고 싶어지는 데에도 도움이 될 해외의 미식 영화 8편.

  • LIFE

    오늘의 미식 #4 미식의 책

    까다로운 음식 평론가가 보내온 미식의 책 8권.

MORE FROM ARENA

  • FASHION

    Sunny Season

    매일같이 눈부신 햇살을 누리기 위한 가볍고 산뜻한 선 케어.

  • FILM

    한결같이

  • LIFE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미래는 지속 가능할까

  • INTERVIEW

    임정주는 물건을 탐구한다

    물건 연구소를 설립하며 물건의 쓰임새와 기능을 연구하던 임정주는 이제 목적과 기능을 지운 형태의 물건을 만들기 시작했다.

  • LIFE

    트럼프 대 바이든, 차악은?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