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Single Malt 8

봄의 시작은 곧 새로운 시작. 위스키의 시작은 싱글몰트로부터.

UpdatedOn March 16, 2022

정통파

전통적인 위스키 제조 방식을 따랐다. 숙성도는 정통적으로, 셰리와 버번 캐스크에서 숙성되어 애호가는 물론 입문자도 쉽게 시도하기 좋은 기본에 충실한 싱글몰트 위스키다.

/upload/arena/article/202203/thumb/50468-482184-sample.jpg

글렌모렌지 오리지널

하이랜드 지역의 버번 캐스크에서 숙성됐다. 버번의 은은한 바닐라 향과 싱그러운 과실의 산미가 함께 어우러진다. 글렌모렌지 컬렉션 중 가장 기본적인 싱글몰트를 맛볼 수 있다. 

싱글톤 더프타운 12년

스페이사이드 더프타운 지역의 셰리와 버번 캐스크에서 숙성됐다. 풍부한 과일 향과 버번의 달짝지근하고 부드러운 풍미가 입안에서 완벽한 밸런스를 이룬다.

이색파

싱글몰트 위스키의 서로 다른 맛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다. 애호가도 전문가도 아니라면. 하지만 맥주 배럴에서 숙성되거나 코냑 캐스크에서 숙성된 것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upload/arena/article/202203/thumb/50468-482185-sample.jpg

더 글렌리벳 15년

고급 와인이나 코냑을 숙성시켰던 리무잼 오크통에서 마지막 3년 간 추가 숙성됐다. 묵직하고 드라이하지만 끝 맛의 달큰함이 오랫동안 여운을 남긴다.

글렌피딕 IPA 익스페리멘탈

IPA 맥주 캐스크에서 숙성되어 제법 진한 향을 머금고 있다. 향긋한 풀의 향으로 시작해 그 맛은 달콤하지만 동시에 묵직한 산미가 느껴지는 복합적인 싱글몰트다.

숙성파

위스키의 풍미는 숙성법에 달려 있다. 풍미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기 위한 방법은 이렇다. 위스키를 숙성할 때 캐스크를 재사용이 아닌 처음 것을 사용하거나, 거대한 200L 오크통에서 추가 숙성하거나.

/upload/arena/article/202203/thumb/50468-482187-sample.jpg

아벨라워 16년 더블캐스크

셰리와 퍼스트 필(첫 오크통을 사용) 아메리칸 오크에서 16년 이상 더블캐스크 방식으로 숙성됐다. 섬세하게 숙성한 만큼 진한 달콤함과 풍성한 과일 향이 감돈다.

발베니 25년 레어 매리지

아메리칸과 유러피언 오크에서 숙성 후 매링 과정을 거쳤다. 매링이란 200L 오크통에서 숙성하는 것을 뜻한다. 시작은 꿀과 바닐라 향, 마지막은 시트러스 향으로 장식된다.

지역파

스페이사이드와 하이랜드를 잠시 떠나, 넓은 황야의 아일라 지역으로 향하자. 맥아를 건조할 때 피트를 태워 요오드와 피트 향이 흠뻑 배었다. 다른 지역의 것과는 확연히 다른 풍미를 보이는 거친 아일라 싱글몰트 위스키다.

/upload/arena/article/202203/thumb/50468-482186-sample.jpg

아드벡 10년

버번 캐스크에서 숙성했으며, 아일라 위스키 중 피트 향이 가장 강인해 피트의 정수를 맛보게 해준다. 혀는 아릿하고 코는 찌릿하지만 달짝지근한 향이 은은하게 중화해준다.

라가불린 16년

아일라 섬 해안에 위치한 숙성고의 버번 캐스크에서 숙성한다. 피트 향이 코와 혀를 찌르고 스모키한 향과 해초의 짭짤함 뒤엔 시큼한 열대 과일 맛이 스친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정소진
Photography 박원태
Florist 이소정

2022년 03월호

MOST POPULAR

  • 1
    지금 입기 좋은 럭비 셔츠 7
  • 2
    김지운의 도구와 언어
  • 3
    HOOP&LOOP
  • 4
    특별한 토핑이 올라가는 이색 피자 4
  • 5
    15YO를 마실 때

RELATED STORIES

  • LIFE

    도심 속 낭만 시티뷰 카페 4

    서울의 곳곳을 내려다볼 수 있는 카페를 모았다.

  • LIFE

    The Panthere of Venice

    한 브랜드가 예술과 문화를 진중하게 다루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걸 까르띠에가 해내고 있음을 직접 경험했다. 제80회 베니스국제영화제는 어렴풋하게 마나 예술과 문화에 대한 브랜드의 진중한 접근을 이해하게 만드는 새로운 챕터였다.

  • LIFE

    15YO를 마실 때

    서울의 바(BAR) 5곳에서 15년 위스키 중 어떤 걸 마셔야 할지 물었다.

  • LIFE

    어느 작은 시계 축제

    제네바의 새로운 시계 페스티벌, 제네바 워치 데이즈 이야기.

  • LIFE

    모던 제사상

    사 먹어서 편리하고 맛있어서 즐거운 오늘날의 제사 음식.

MORE FROM ARENA

  • REPORTS

    슈퍼스포츠카의 탄생

    람보르기니 최초의 SUV 우루스는 슈퍼카가 아니다. 슈퍼스포츠카다.

  • FASHION

    Vase Base

    갖가지 화병 위에 질서정연하게 안착한 새 계절의 가방들.

  • FASHION

    In The Baggage

    보안 검색대쯤 가뿐하게 통과할 만한 가벼운 용량의 뷰티 제품들.

  • LIFE

    <더 만달로리안>이 포착한 <스타워즈>의 정수

    <스타워즈> 속에 갇혀 있던 만달로리안 종족 이야기가 <더 만달로리안>으로 세상에 나왔다. 디즈니 플러스에서 선보인 <더 만달로리안>의 흥행에는 ‘베이비 요다’도 한몫했지만 미국 영화 산업의 역할도 컸다. 만달로리안 이야기 속에는 차별이 없다. 다양한 문화와 관념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공통점을 갖고 맞닿아 있다. 단지 연결하는 것, 그게 <더 만달로리안>이 국내에 출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국내 팬을 보유한 이유이며 <스타워즈>를 훌쩍 뛰어넘은 비법이다.

  • LIFE

    BOTTOM TO THE STAR

    BTS의 빌보드 장기 집권 소식은 이제 놀랍지도 않다. 오히려 당연한 사실로 느껴질 뿐이다. 하지만 팝 본고장인 미국 시장에서, 그것도 63년간 탄탄하게 이어져온 빌보드 차트의 시스템을 허문 아시안 케이팝 스타 BTS의 퍼포먼스를 의심하는 축도 존재한다. 인기의 본질을 단순히 팬덤의 든든한 지원만으로 한정하기도 하며, 오히려 미국 시장에서 타 팝스타에 비해 활동이 제한적이라는 사실은 간과한다. 하지만 결과보다는 과정에, 바닥부터 별의 자리로 오르기까지 요구된 긴 시간과 노력에 집중한다면, BTS의 성공이 얼마나 정당한 것인지 비로소 알게 될 것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