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EATURE MORE+

K-내러티브 속 클리셰

한국형 서사에서 어김없이 등장하는 다양한 클리셰들.

UpdatedOn March 08, 2022

  •  

  • 광기 속에서 연대하기

    무리한 신약 개발로 좀비가 되는 역병 바이러스가 퍼지고(<해피니스>), 핵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되는 미래로 타임슬립을 하고(<시지프스>), 사이비 종교가 세상을 지배하며 사람들이 매일 군중의 심판을 받는다(<지옥>). 세상은 멸망했고 이야기는 그 세상을 구원할 사람으로부터 시작된다. 주인공은 멸망을 직접적으로 초래한 적에게 한 걸음씩 다가가며 사람들의 연대를 구한다. 그리고 마침내 적을 만난 순간, 자신이 얻은 연대의 힘으로 세상을 구한다. 이런 디스토피아 배경의 콘텐츠는 대부분 배경, 가상의 적을 판타지적으로 묘사하는 데 힘을 쏟지만, 한국 콘텐츠는 오히려 인물 간의 연대를 판타지적 교훈처럼 풀어내는 경향을 보인다. 이미 현실이 폐허라는 합의가 있어서일까.

  • 밥은 먹고 다니렴

    ‘K-콘텐츠’는 자나 깨나 주인공의 경제적 형편을 걱정한다. ‘부’는 더 이상 권선징악의 수단이거나 해피엔딩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냥 ‘부자’가 되는 과정 자체가 이야기의 전부다. 가난하다면 무조건 성실해야 하고(<이태원 클라쓰>), 성실하지 않다면 온갖 수모와 역경을 이겨내야 한다(<오징어 게임>). 이런 클리셰를 갖고 있는 드라마는 꼭 돈과 인생에 대한 격언을 매 에피소드마다 쏟아낸다. 보고 있으면 정신이 어지럽다. 돈의 더러운 속성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것 같지만, 전제 자체가 이미 돈을 숭배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안 될 건 없지만, 어쩐지 용납할 수 없는 모순처럼 느껴진다.

  • 남초 커뮤니티를 할 것 같은 히어로

    욕이 아니다. 그냥 그렇다는 거다. <D.P>에서 한호열(구교환)이 등장했을 때 나는 한국형, 아니 ‘우리형’ 히어로의 본질을 찾은 것 같았다. 그래, 맞다. 한국에서 히어로를 하려면 스판 수트보다는 깔깔이나 군복이 맞겠지. 웃기되 우습지는 않아야 한다. 체구는 작지만 누구도 그를 건드리지 못해야 한다. 소탈해야 하고 인정도 많아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누구에게든 참교육을 할 수 있을 만큼’ 정의로워야 한다. 아, 그리고 또 하나! 누구에게든 절대 지지 않아야 한다. <무브 투 헤븐> <경이로운 소문> <빈센조> <트레이서>. 꼭 닮진 않았지만 모두 우리형 히어로가 등장한다.

  • 더럽게 용감한 여자들

    여기서 ‘더럽게’란 용감함을 강조하는 수식어가 아니다. 정말 더러운 여자들을 말한다. 쓰레기장 같은 집에서 살며 사이코패스를 추적하는 수사관(<구경이>), 감히 땀을 뻘뻘 흘리며 공을 차고 진창에서 칼과 활을 휘두르는 조선 시대 계집아이(<연모>),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깡패 소굴에 들어가 피칠갑을 하는 여고생(<마이 네임>). 단순한 성별 반전이 아니었다. 여성 주인공만의 단독 서사를 끝까지 밀고 나가는 힘은 가히 ‘성취’라 불릴 만했다. 사실 클리셰가 될 만큼 쌓인 것이 없지만 그만큼 지겨워지길 바라면서 한번 꼽아보았다.

  • ‘한드’ 클리셰를 이용하기

    출생의 비밀, 시한부 선고 같은 소재는 전통적인 ‘한드’ 클리셰다.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범과 정의로운 경찰이 등장하는 수사극 역시 지겹도록 봐왔다. 최근 국내에서 호평을 받은 <한 사람만>과 <괴물>은 ‘한드’가 가지고 있는 그러한 소재적 클리셰를 역으로 이용해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호스피스에서 뭉친 무서울 것 없는 여성 시한부들이 나쁜 놈들을 죽이고 다니는 과, 범인과 경찰이라는 죄의 도식 바깥에 얼마나 많은 피해자가 존재하는지를 게임하듯 비추는 <괴물>은 전형적인 한국드라마의 클리셰가 없었다면 그 빛이 제대로 발하지 못했을 것이다. 두 편 모두 한국인이라면 정말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안 봤다면 꼭 보시길.

<에스엠라운지>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WORDS 복길(대중문화 칼럼니스트)
Assistant 김나현

2022년 03월호

MOST POPULAR

  • 1
    솔로 전쟁
  • 2
    봄이 오면 #아우터
  • 3
    시간 여행자의 위스키
  • 4
    봄비
  • 5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의 밤

RELATED STORIES

  • FEATURE

    오늘의 공예

    AI와 글로벌 대량생산의 시대에도 누군가는 입으로 유리를 불고 닥종이에 옻칠을 한다. 기술을 닦고 고민을 모아서 공예품을 만든다. 젊은 공예가의 공예품을 모으고 그에게 설명을 부탁했다.

  • FEATURE

    Special Thanks to

    <아레나>에 몸담고 있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시간 동안 마음 깊이 감사했던 그대들을 향해 진심을 가득 담은 헌사를 보냅니다.

  • FEATURE

    17년이 흐른 뒤

    2006년 3월호, 표지는 주드 로, 키워드는 블랙칼라 워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한국에 처음 나온 해다. 그때 <아레나>는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 어떤 예언이 맞고 어떤 예언이 빗나갔을까. 거기 나온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동안 세상에는 무슨 일이 생겼을까.

  • FEATURE

    어느 어부의 하루

    겨울 동해 바다 위에서 문어를 낚는 어부의 하루를 따라갔다.

  • FEATURE

    2022 월드컵 복기

    크리스마스쯤 월드컵이 반짝였다가 새해가 되자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선수들은 다시 리그로 돌아가 축구를 계속하고, 우리 주변에는 몇 명의 스타가 남았다. 또 무엇이 남았을까? 월드컵은 스포츠를 넘어 비즈니스 곳곳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카타르의 현장 분위기는 어땠을까? 좋은 대답을 해줄 사람들을 찾아 직접 물어보았다.

MORE FROM ARENA

  • FILM

    예쁘다, 유빈

  • REPORTS

    New Start, New NCT

    NCT 2018은 18명의 멤버가 참여한 초대형 프로젝트.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NCT 127, 멤버들이 다양한 조합을 이뤄 활동하는 유닛인 NCT U, 10대 멤버로 구성된 NCT DREAM 등 다양한 구성을 하나의 앨범에 담았다. 18명이나 되는 이들의 매력을 혼자만 알고 있기 아쉬워서, <아레나>는 매달 NCT 멤버들을 만나기로 했다. 첫 번째 주인공은 NCT에 가장 최근 합류한 루카스, 정우, 쿤이다.

  • REPORTS

    AI 스피커의 진실

    이상하다. 욕심쟁이 IT 기업들이 AI 스피커를 헐값에 판매하며 경쟁하고 있다. 저렴한 가격의 AI 스피커를 통해 기업들의 속내를 밝힌다.

  • FASHION

    GORPCORE WAVE INTERVIEW

    광활한 자연을 바탕으로 고프코어 스타일을 선보이는 두 디자이너와의 인터뷰

  • FASHION

    GOLF BRO

    골프는 형들처럼, 그냥 각자 내키는 대로.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