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저탄소 건축의 지금

친환경과 재활용은 동시대 최고의 화두가 아닐까. 건축 또한 마찬가지. 세계 각지의 괄목할 만한 저탄소 건축물을 통해 건축의 현재를 들여다본다.

UpdatedOn February 10, 2022

3 / 10

 

The Largest Wooden Building, Iceland

라지스트 우든 빌딩(이하 우든 빌딩) 은 아이슬란드의 수도 레이캬비크에 올해 완공될 저탄소 건물이다. 이 건물의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파리의 건축 및 도시 설계 스튜디오 ‘제이콥 + 맥팔레인 (Jakob + MacFarlane)이 9,000㎡ 달하는 큰 부지에 오랫동안 방치된 건물을 발견하면서 시작됐다. 우든 빌딩은 조립식 모듈 목재 구조가 특징으로, 에어컨 없이도 실내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태양 천막을 이용해 전기는 물론 난방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 빗물을 회수해 뜨거운 열로부터 건물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모든 건 제이콥 + 맥팔레인의 진두지휘 아래 38개에 달하는 글로벌 기업과 협업해 이룬 성과다. 건물은 원형으로 지어질 예정이며, 주거를 위한 공간부터, 사무실, 어린이집, 가게 등 어떤 공간으로든 활용 가능하다. 제이콥 + 맥팔레인은 우든 빌딩을 통해 오염을 줄이고, 아이슬란드의 멋진 자연경관을 보존하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했다.
PHOTOGRAPHY Jakob + MacFarlane

3 / 10

 

Glyndebourne Croquet Pavilion, England

영국 이스트서식스주 글라인드번에 위치한 크로케 파빌리온(이하 파빌리온) 은 작년 9월 문을 연 오페라가 열리는 공연장이다. 저탄소 건축 설계답게 재료를 수입하는 게 아닌 현지 재료로 충당했으며, 공사 현장에서 나온 쓰레기, 분필, 굴 껍질과 같은 부산물을 벽돌과 함께 외벽 공사 재료로 썼다. 이 모든 과정은 건축 스튜디오 베이커브라운의 낭비가 적은 자재를 사용하는 설계 정신이 투영된 결과이다. 또 친환경을 위한 연구와 동시대 건축의 문제를 현명한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이들만의 방식이기도 하다. 파빌리온은 설계와 시공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식으로 건물 내부의 저탄소 상태를 유지한다. 이 건축물은 최초로 석유화학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 매립이나 소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퇴비가 되는 순환 구조까지 갖췄다.
PHOTOGRAPHY BakerBrown

3 / 10

 

The Arc, Indonesia

아크는 12년 전 완공된 인도네시아의 그린 스쿨 캠퍼스 중, 최근에 리노베이션한 건물이다. 건물을 짓기 위해 오직 대나무만을 사용했고, 각각의 대나무를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 교차한 뒤, 그 탄성을 활용해 연결했다. 그야말로 친환경적인 건물. 아크를 설계한 이부쿠 스튜디오(Ibuku Studio)는 천연 자재를 활용해 혁신적인 디자인을 모색하는 디자이너와 건축가로 구성됐고, 인도네시아만의 전통과 현대성을 동시대 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4년간 가장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대나무를 수급했으며, 발리 장인의 전통 기술과 현대의 디자인에 아이디어를 결합해 동시대적으로 친환경적인 건물을 완성했다.
PHOTOGRAPHY Ibuku

3 / 10

 

Kendeda Building, USA

켄데다 빌딩은 조지아 공과대학의 첫 번째 목조 건물이며, 디자인적으로는 미국의 전통 주거 양식에서 영감을 받았다. 시공에는 질량이 낮은 목재를 적극 활용해 콘크리트나 강철에 비해 상당히 적은 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환경을 위해 주변 영화 촬영장에서 버려진 목재나 건축 공사장에서 나온 폐자재 등 지역에서 수급한 재료를 활용하기도 했다. 그 외 빗물을 정화해 건물 내 식수대, 싱크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준비했고, 지역 기후를 고려해 폭풍우에도 끄떡없는 내구성까지 갖췄다. 또한 설계와 시공 현장에 지역 노숙자를 고용해 그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탄소 건축물로서는 물론 지역 경제에도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셈이다.
PHOTOGRAPHY Miller Hull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양보연

2022년 02월호

MOST POPULAR

  • 1
    강서경 작가 개인전, <강서경: 버들 북 꾀꼬리>
  • 2
    김래원, “배우 김래원보다 ‘어떤 작품의 누구’로 기억되고 싶어요.”
  • 3
    From the masters
  • 4
    송강, 섬세한 눈빛이 돋보이는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 5
    새 시즌, 뉴 스니커즈 4

RELATED STORIES

  • LIFE

    특별한 토핑이 올라가는 이색 피자 4

    피자로 맛볼 수 있는 가장 새로운 맛.

  • LIFE

    유럽에서 온 추석 선물 세트 4

    서양식 구움 과자에 한국의 향을 가미해 재해석한 파티세리 네 곳을 소개한다.

  • LIFE

    가을 아트 산책

    프리즈와 키아프가 한차례 지나갔지만 9월은 아직 풍요롭다. 서울의 곳곳에서 작가들의 개인전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

  • LIFE

    오늘의 떡

    식사로도 간식으로도 좋은 떡, 전통 위에서 현재와 포개지는 떡, 지금 서울의 떡.

  • LIFE

    서울 한복판에서 노포 치킨을 외치다

    곧 문을 닫는다는 후렌드 치킨의 아쉬움을 뒤로 한 채.

MORE FROM ARENA

  • LIFE

    이미 떴어?

    드라마 주연 자리 하나씩은 꿰찼다. 주목할 신인 남자 배우들에 대한 기대와 근심.

  • FASHION

    요즘의 옷 Ⅰ

    아이비리그풍 스웨터의 불량한 매력.

  • LIFE

    지금 영감을 주는 전시

    날씨가 선선해서 산책 삼아 미술관을 기웃거리기 좋은 계절이다. 가로수의 변화를 보았고, 웅성거리는 미술관의 공명도 느꼈다. 잠시 휴대폰에서 눈을 떼고, 벽에 걸린 작품을 들여다봤다. 이번 가을에는 가상 세계 말고 현실 세계에서 미술을 경험하기로 했다. 네 명의 필자가 전시를 보고 느낀 것을 적었다. 영감이라고 부를 만한 체험이었다.

  • FASHION

    가방이 있던 자리

    에르메스의 헤리티지 시리즈 전시 <에르메스, 가방 이야기(Once Upon a Bag)>가 지난 6월 6일 마무리됐다. 여느 하우스 브랜드 전시와는 차별화된 에르메스만의 스토리텔링을 되짚어본다.

  • VIDEO

    [A-tv] ARENA march issue Tiffany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