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EATURE MORE+

스케이트 보드의 기원

스케이트보드 문화를 이룩한 토니 호크 그리고 그의 청춘.

UpdatedOn August 13, 2021

3 / 10
/upload/arena/article/202108/thumb/48796-462708-sample.jpg

Tony Hawk Sanoland Portrait 1983, J. Grant Brittain

Tony Hawk Sanoland Portrait 1983, J. Grant Brittain

Tony Hawk ASL Ramp in 1986, J. Grant Brittain

Tony Hawk ASL Ramp in 1986, J. Grant Brittain

Tony Hawk ASL Ramp in 1986, J. Grant Brittain

자유는 달리 표현하면 일탈이고, 다른 시선으로 보면 반항이었다. 스케이트보드가 유행하기 전 스포츠란 학교에서 선생님의 통제 아래 배우던 것이었다. 야구가 그렇고 미식축구나 레슬링, 농구 등이 그랬다.

반면 스케이트는 코치도 없고, 유니폼도 없으며, 경쟁도, 순위도, 점수도, 승패도 없는 날것의 스포츠였다. 어디서도 이기지 못한, 주류에 끼지 못한 아이들에게 스케이트보드는 자유고, 일탈이었다. 반항이기도 했고. 1980년대 초 미국 경기침체의 그늘은 스케이트파크에도 드리웠다. 캘리포니아의 스케이트파크는 폐점했고, 스케이트보드를 탄 아이들은 다른 폐허를 찾아다녔다. 물 마른 콘크리트 수영장 같은 곳 말이다. 수영장의 굴곡을 따라 달리던 아이들은 점프하기 시작했다.

1968년생인 토니 호크도 그런 아이들 중 하나였다. 아니, 트릭에 성공한 최초의 아이였을 수도 있다. 토니 호크의 스케이트보드 트릭은 달랐다. 본 적 없는 동작이었고, 상상할 수 없는 높이까지 점프했다. 8mm 캠코더와 사진기를 든 그의 동료들은 토니 호크의 모습을 기록했다. 13세의 토니 호크가 펼친 스케이트보드 트릭은 비디오로 출시되어 미국 전역에 퍼졌다. 아이들은 토니 호크가 만든 비디오를 반복 재생하며 스케이트보드 문화의 일부가 되어갔다.

이후 2000년대 초까지 토니 호크는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묘기를 보여줬다. 진보를 동력 삼아 끊임없이 새로운 묘기를 시도한 토니 호크. 이제는 오십을 넘은 나이지만, 그가 했던 놀이들은 여전히 스케이트보드 신에 깊게 배어 있다. 토니 호크의 10대 시절 사진들은 최초의 스케이트보드 포토그래퍼인 J. 그랜트 브리튼이 촬영한 것이다.

/upload/arena/article/202108/thumb/48796-462710-sample.jpg

Tony Hawk Witts Brittain2

<에스엠라운지>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양보연

2021년 08월호

MOST POPULAR

  • 1
    <더 글로리>의 자취
  • 2
    A Modern Moment
  • 3
    작은 차 큰 기쁨
  • 4
    Master of Materials
  • 5
    [직캠 인터뷰] 배우 주현영 촬영 현장 브이로그

RELATED STORIES

  • FEATURE

    오늘의 공예

    AI와 글로벌 대량생산의 시대에도 누군가는 입으로 유리를 불고 닥종이에 옻칠을 한다. 기술을 닦고 고민을 모아서 공예품을 만든다. 젊은 공예가의 공예품을 모으고 그에게 설명을 부탁했다.

  • FEATURE

    Special Thanks to

    <아레나>에 몸담고 있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시간 동안 마음 깊이 감사했던 그대들을 향해 진심을 가득 담은 헌사를 보냅니다.

  • FEATURE

    17년이 흐른 뒤

    2006년 3월호, 표지는 주드 로, 키워드는 블랙칼라 워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한국에 처음 나온 해다. 그때 <아레나>는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 어떤 예언이 맞고 어떤 예언이 빗나갔을까. 거기 나온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동안 세상에는 무슨 일이 생겼을까.

  • FEATURE

    어느 어부의 하루

    겨울 동해 바다 위에서 문어를 낚는 어부의 하루를 따라갔다.

  • FEATURE

    2022 월드컵 복기

    크리스마스쯤 월드컵이 반짝였다가 새해가 되자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선수들은 다시 리그로 돌아가 축구를 계속하고, 우리 주변에는 몇 명의 스타가 남았다. 또 무엇이 남았을까? 월드컵은 스포츠를 넘어 비즈니스 곳곳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카타르의 현장 분위기는 어땠을까? 좋은 대답을 해줄 사람들을 찾아 직접 물어보았다.

MORE FROM ARENA

  • INTERVIEW

    스트레이 키즈의 현진&필릭스 'SHINE A LIGHT' 미리보기

    스트레이 키즈의 현진&필릭스, 매혹적인 패션화보와 인터뷰 공개

  • ISSUE

    최초 공개! 주헌이 직접 만든 몬베베만의 애교?

  • SPACE

    최고의 밥을 찾아서

    서울에서 밥 좀 짓는다는 식당에 갔다. 한 술 떠서 오물거리면 풋풋한 단내가, 고소한 찰기가 번지는 밥맛을 찾아서.

  • FEATURE

    '팅글'이 뭐길래?

    요즘 매일 밤 에어팟을 끼고 외간 여자가 귀 청소해주는 소리를 들으며 잠든다. 웬 청승인가 싶지만, ASMR 단골 소재인 데다가 알고리즘에 뜨는 영상들은 조회수도 수백만 회에 육박한다. 그 외에도 머리 빗어주는 소리, 속삭이는 소리, 손바닥 스치는 소리, 보글보글 끓는 소리, 장작 타는 소리를 듣는다. 변태도 아니고 이런 걸 왜 듣냐고? ‘팅글’ 때문이다. 성욕도 아니고, 단지 심리적인 만족감도 아니고, 도무지 알 수 없는 작은 쾌감. 도대체 이 감각의 정체는 뭘까?

  • INTERVIEW

    유현주, 끝없이 달리는 그녀의 도전

    올리브영이 소개하는 N월의올리브 8월 인물. 2011년 KLPGA에 입회하며 필드 위의 여신으로 꾸준하게 인기 상승하고 있는 프로골퍼 유현주의 인터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