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웃으면 더 예쁨

<펜트하우스> 최예빈

첫 화보 촬영이라 긴장해서 잠을 설쳤다고, 웃으며 말하는 배우 최예빈. <펜트하우스>에서 가끔 놀라고, 주로 분노하는 최예빈은 사실 웃음이 잦다.

UpdatedOn June 04, 2021

/upload/arena/article/202106/thumb/48234-455102-sample.jpg

재킷은 이로, 티셔츠는 YCH, 데님 쇼츠는 코스, 이어링과 네크리스는 모두 허라디×아몬즈 제품.

데뷔하니 어떤가. 기대와 다른가?
생각했던 것보다 재미있다. 하나씩 차근차근 도전하고 있다. 연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고 실천하는 게 지금까지는 굉장히 즐겁다.

<펜트하우스>는 대형 드라마다. 단편과 독립 영화 작업과는 분위기가 많이 다를 텐데.
이전에 하던 작업은 촬영장에서 제작진들과 함께 놀기도 하고, 촬영 마치면 함께 술도 마셨다. 지금은 조금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싶어서 스스로 관리하게 된다.

배우가 되겠다고 결심한 건 언제였나? 언제 확신이 생겼나?
입시 준비 때였다. 경기도에서 서울까지 매일 한 시간 반씩 버스 타고 연기학원을 다녔다. 하루도 안 빠졌고, 지각도 안 했다. 심지어 엄청 일찍 갔다. 한 번도 꾀부리지 않고 다닌 것에 나 스스로 놀랐고, 부모님도 믿고 날 응원해주셨다. 연기로 입시 준비를 하는 게 너무 행복했다. 학원에 들어가면 열정적인 에너지가 느껴졌고, 그때 계속 연기를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연기는 내가 가장 열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다.

연기의 매력은 무엇인가?
정말 어렵다. 생각이 잘 안 풀리면 고민하는 과정이 고통스럽고, 맡은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체력적으로 이겨내야 하는 어려움도 많다. 며칠을 준비해야 할 때도 있고. 그럼에도 카메라에 비친 내 새로운 모습을 보고, 나를 알아가면서 연기의 어려움을 하나씩 극복하고 발전하는 게 좋다. 그게 이 일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연기를 하면서 나의 다양한 모습을 알게 되었고, 연기할 때면 내가 자유로워진다.

연기하며 발견한 자신의 새로운 모습 중 가장 생소한 건 무엇이었나?
친구들과 어울릴 때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려고 하지 않았다. 틀 안에 나를 가둔 거다. 대학에서는 새로운 분야를 배운다고 생각해 나를 내려놓았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행동이 동기들이 보기에는 바보 같았나 보다. 맹하다는 소리도 듣고 놀림도 받았다.(웃음) 내가 좀 더 단순하게 살 수 있었고, 더 해맑았고, 자유분방한 걸 좋아하는 활달한 사람임을 깨달았다.

<펜트하우스>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다. ‘하은별’ 캐릭터 첫 인상은 어땠나?
외로움이 많고 결핍이 심한 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친구라고 생각했다. 고슴도치처럼 가시가 서 있다고 느껴졌다. 포악해서 무서운 건 아니고, 가시가 따가워서 조심스러웠던 것 같다.

연기로 대학에 합격했고, 좋아하는 연기를 직업으로도 삼았다. 또 데뷔작이 흥행 드라마이기도 하고. 탄탄대로를 걷는 듯 보인다.
운이 좋았다고 생각한다. 좋은 운이 들어왔으니 내가 더 열심히 해서 행운이 끝나지 않도록 잘 나아가야 할 테다. 거만하지 않아야 한다. 나 혼자 잘해서 되는 건 없다. 그 마음을 잃지 않으려고 한다.

연기자는 자신이 가진 것을 끄집어내어 연기한다고들 하더라. 하은별은 불안한 정서가 돋보이는 캐릭터였다. 본인의 어떤 점과 닮았을까?
실제 불안감이 많은 편이다. 학교에서 에니어그램 검사를 한 적이 있는데, 불안을 많이 느끼는 6번 성향으로 나오더라. 그 이후로 불안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해봤는데, 준비하면 되더라. 철저하게 사전 준비를 하면 불안하지 않다.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고 ‘괜찮다’ ‘걱정하지 마’라고 되뇌며 스스로를 다독이기도 한다. 물론 은별이의 불안은 나보다 훨씬 높은 상태이지만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건 아니었다.

숨기고 싶은 습관이 있다면?
남이 본다고 하면 부끄러운 것 중 하나가 다이어리다. 매일 다이어리 앱에 스케줄을 강박처럼 기록하고 수정한다. 일정을 정리하면서 마음의 안정을 얻는다. 머리가 복잡하면 정리하려고 한다. 머릿속을 정리하든 집을 정리하든.

즐겨 읽는 책에서 인상적인 문장을 추천해달라는 질문을 미리 했는데, 소설 <아몬드>를 가져왔다.
소설에서 달리기를 좋아하는 보라는 육상을 꿈꾼다. 그때 남자아이가 보라에게 달려서 뭐 하냐고 묻는데, 보라가 이렇게 답한다. “나한테 그건 있지, 살아서 뭐 하려고 하는 질문이랑 비슷해. 넌 무슨 목적이 있어서 사니? 솔직히 그냥 살잖아. 살다가 좋은 일 있으면 웃고. 나쁜 일 있으면 울고. 달리기도 마찬가지야. 1등 하면 좋고 아니면 아쉽겠지. 실력 없으면 자책하고 후회도 하겠지. 그래도 그냥 달리는 거야. 그냥 사는 것처럼. 그냥.” 나에게 하는 말 같아서 와닿았다. 과거에는 목적이 있어야만 하는 것 같았고, 거대한 무언가를 이뤄야만 할 것 같았지만 이제는 다가오는 하루하루를 받아들이며 지내는 게 좋다.

 

“연기의 어려움을 하나씩 극복하고
발전하는 게 좋다. 그게 이 일의 매력이다.”

 

행복은 불안 위를 떠다니는 부표 같지 않나? 우리는 늘 불안하고 가끔 행복하다.
행복해도 불안하고 행복하지 않은 하루도 불안하다. 나는 불안한 사람임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그러면 마음이 편하다. 불안하지 않으려고 무언가를 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생긴다.

최예빈은 무엇에 화가 날까?
어지간하면 말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웃음) 문제를 조율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서로 얘기해서 풀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런데 대화하지 않으려는 상대의 태도를 보면 화가 나긴 한다.

그럼 오늘 가장 행복했던 것은?
화보 촬영한 거.(웃음) 화보 촬영이 너무 설레서 잠을 엄청 설쳤다. 네 번은 깬 것 같다. 오늘처럼 새로운 모습을 촬영하는 게 너무 좋다.

10년 뒤 자신에게 카카오톡을 보낸다면 뭐라고 하고 싶나?
10년 뒤면 34세다. “아마 촬영으로 바빠서 바로 연락을 못 볼 거라고 생각해. 그리고 엄마는 더 젊어지시고 건강해졌다고 들었는데, 어머니 건강 잘 챙기고. 10년 뒤에 더 베테랑의 모습으로 현장에서 주변 사람들 챙기면서 열심히 할 수 있도록 지금의 내가 더 노력을 할게. 그리고 치킨 기프티콘 하나만 보내줘. 그 정도는 능력이 되겠지?”

최예빈이 가진 긍정의 힘은 불안에서 온다고 하면 될까?
맞다.(웃음)

/upload/arena/article/202106/thumb/48234-455101-sample.jpg

티셔츠는 모스키노, 뷔스티에는 버버리, 진주 네크리스는 허라디×아몬즈, 골드 체인 네크리스는 디올, 이어링과 링은 모두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upload/arena/article/202106/thumb/48234-455103-sample.jpg

재킷은 잉크, 이너 티셔츠는 디올, 레이어드 톱은 뮌, 팬츠는 MSGM, 슈즈는 레이첼 콕스, 볼드 체인 네크리스와 레이어드 참 네크리스는 모두 마마카사르 제품.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PHOTOGRAPHY 황진용
STYLIST 박선용
HAIR&MAKE-UP 이소연

2021년 06월호

MOST POPULAR

  • 1
    가길 잘했다, 남해
  • 2
    Flashback In Shanghai
  • 3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 4
    Take Eat Slow
  • 5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RELATED STORIES

  • INTERVIEW

    정경호의 선택

    아이고, 반갑습니다. 스튜디오에 들어온 배우 정경호가 10년 지기처럼 두 손을 내밀고 인사했다. 물론 우린 처음 보는 사이다. 정경호는 그렇게 사람을 대하는 배우다. 함께하는 사람을 우선하는 배우. 좋은 연기는 좋은 사람에게서 나온다는 배우. 곁에 있는 연인에게 좋은 모습을 보이려고 연기하는 배우. 정경호의 선택에는 사람이 깔려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결과 또한 좋다.

  • INTERVIEW

    그곳에 소지섭이 있었다

    <미안하다, 사랑한다>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대신해 총탄을 맞고 시한부 인생을 살았던 그 남자. <사도>에서 조선의 왕이 되어 구슬픈 춤을 추던 그 남자. <주군의 태양>에서 귀신들의 원혼을 풀어주던 그 남자. 지난 28년간 우리를 울고 웃게 했던 장면 속에는 소지섭이 있었다. 넷플릭스 시리즈 <광장>으로 돌아온 배우, 소지섭을 만났다.

  • INTERVIEW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이준호

    어느덧 17년 차. 수많은 노래와 배역 사이를 이준호는 치열하게 오갔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은 그를 시종일관 몰아붙였다. 그의 노력에 걸맞게 팬들의 환호는 지구 반대편에서도 울려 퍼졌다. 그렇게 달려가던 이준호는 이제 유연함을 바라본다. 완벽에 다다르는 길이 하나만 있지 않기에.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INTERVIEW

    그럴 만하니까 영탁이 나온 것이다

    ‘니가 왜 거기서 나와’ 가수 영탁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다. <아레나>에 영탁이 나온 걸 신기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신기할 것 없다. 영탁은 이미 준비되어 계속 발전하는 가수고, 가수이기 전에 멋진 인간이었다. 나올 만하니까 나온 영탁과 살아온 이야기, 사는 이야기, 살아갈 이야기를 나눴다.

  • FILM

    동글동글 살아가는 정한에게 인생 조언을 듣다

  • INTERVIEW

    프리 스타일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전 세계 젠지와 밀레니얼에게 케이팝은 어떤 의미일까. 새로움의 대명사일까. 케이팝이라는 글로벌 현상은 어떻게 유지되고, 어떤 미래를 맞이하게 될까. 케이팝 산업을 이끌어가는 엔터테인먼트 대표, 작곡가, 비주얼 디렉터, 안무가, 보컬 트레이너, 홍보팀장을 만났다. 그들에게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 팬들이 원하는 것을 물었다. 케이팝 산업을 통해 2020년대의 트렌드를 살펴본다.

  • ARTICLE

    46 SPORTS ITEM

    코끝 시린 추위가 가시지 않았지만 보신각 종소리가 울리고 나면 너나 할 것 없이 피트니스 센터로, 공원으로, 동네 뒷산으로 향한다. 비록 피트니스 센터 정기권 기간만큼 작심이 되더라도 우선 첫발을 내디뎠다면 응당 구색을 갖춰야 할 터. 지금 당장 시작하기 좋은 러닝과 등산 등 4가지 테마로 고른 이달 게이트 폴더 속 주렁주렁 매달린 스포츠 아이템들이 운동 효과를 톡톡하게 보장할 거다.

  • LIFE

    KEYWORD 2024

    각자 다른 분야를 살아가며 다른 세계를 보고 있는 사람들에게 무턱대고 2024년의 키워드를 물었다. 각자의 키워드에는 그들이 속한 세계의 디테일과 함께 오늘날의 시대정신이 생각보다 진하게 드러나 있었다. 국제정치부터 전통주까지, 스타트업부터 고급 시계까지 망라한 2024년 키워드.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