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The World News

커피가 베이글을 만났을 때

샌프란시스코는 외롭다. 온라인 데이팅 앱 ‘커피 미츠 베이글’을 받았다.

UpdatedOn October 26, 2018

3 / 10
/upload/arena/article/201810/thumb/40208-337375-sample.jpg

 


미국 대도시에는 젊은 인구의 유입이 끊이지 않는다. 고향을 떠난 건 미국인만이 아니다. 세계 각지에서 저마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모인다. 모두들 혼자 왔고, 혼자 살기에 이 도시는 외롭다. 누군가를 사귀고 싶다는 말에 동호회 개념의 웹사이트 밋업(meetup.com)에 접속해보라는 권유도 받지만,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다. 좀 더 진지할 수 없을까? 그렇게 찾은 답은 ‘커피 미츠 베이글(Coffee Meets Bagel, CMB)’이다. 

이 앱을 처음 소개할 때 ‘아시아인에 특화된 데이팅 앱’임을 강조했다. 그도 그럴 것이 창업자가 한국계 미국인 세 자매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여성 친화적이기도 하다. 자매는 온라인 데이팅 앱 가입자의 64%가 남성, 36%가 여성, 실제 활동량은 남성 85%, 여성 15%라는 기형적인 수치를 발견하고, 여자들에게 어떤 남자를 원하는지 물었다. 대답은 의외로 간단했다. 덜 이상한 남자를 원했다. 양보다 질이었다. 이들은 곧장 커피와 베이글의 산지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해 기술자들과 함께 앱을 만들었다.

‘커피 미츠 베이글’은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이성을 소개한다. 별도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다. 함께 아는 친구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두 사람은 서로 모르지만 한 다리를 건너면 아는 사이가 된다. 그런데 누군지 알려주지 않는다. (유료 서비스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상대의 신원이 보장되고, 신중할 수 있다. 물론 연동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거리가 기반이 된다. 매일 정오가 되면 앱은 새로운 퀄리티 가이 여섯 명을 소개한다. 이 퀄리티 가이들은 이미 그 여성을 좋다고 표현한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활동량이 엄청난 남자들이 먼저 라이크를 누르면, 여자들은 나 좋다는 남자들 중에 고르는 방식이다. 목마른 남자들은 걸러지고, 퀄리티 좋은 남자들은 살아남는다. 신뢰도가 높아 여성들의 참여가 늘어나니, 서로에게 득이다. 

프로필에는 사진, 나이, 지역, 키, 인종, 종교, 직업, 회사, 학력은 필수고, 별도의 세 가지 서술형 질문이 붙는다. I am…/ I like…/ I appreciate when my date… 여기서 ‘글빨’이 중요하다. 이를테면 ‘3개 국어 가능’보다는 ‘칵테일을 3가지 언어로 주문할 수 있어요’가 매칭 확률이 높다고 한다. 더 많은 이성을 보고 싶거나, 매칭 후 7일간의 대화 기간을 연장하는 등 다양한 유료 서비스는 가상 머니인 커피빈을 구매해 사용하는데, 재미를 넘어 엄청난 수익 구조를 예상해볼 수 있다. 지금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더 많은 커플이 앱으로 만나고 있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1810/thumb/40208-337376-sample.jpg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WORDS 이종헌(여행 칼럼니스트)

2018년 10월호

MOST POPULAR

  • 1
    홍화연이 향하는 길
  • 2
    The Dior Odyssey in Seoul
  • 3
    '열심히', '꾸준히'를 습관처럼 말하는 준호에게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
  • 4
    Dear My
  • 5
    이솝이 전하는 진심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LIFE

    했던 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의 두꺼운 신작을 이 다섯 글자로 요약할 수 있다. 이어지는 글은 조금 더 긴 요약이다.

  • FASHION

    WITH MY SUNGLASSES

    창창하게 빛나는 눈부신 젊음의 날들.

  • REPORTS

    류준열이라는 매력

    어디 하나 넘치는 데가 없다. 뭘 하든 숨 쉬듯 자연스럽게 멋이 묻어난다. 문득 깨달았다. ‘아, 이게 바로 사람들이 말하는 류준열의 매력이구나’ 하고.

  • LIFE

    여행의 추억

    바다 건너 다른 나라로 가지 못하는 연말, <아레나> 에디터들이 지금 당장 다시 가고 싶은 장소를 한 곳씩 꼽았다. 마음에 깊게 남은 풍경과 마주친 사람들, 향토 음식과 사소한 물건까지 타지의 그리움을 한데 모아.

  • LIFE

    영감을 찾아서: 디자이너 문승지

    영화 한 편, 소설 한 권은 벽돌 하나에 불과하다. 그것들이 쌓이며 성을 이룬다. 작가의 세계는 그렇다. 때로는 인상적인 작품이 성을 떠받치는 기둥이 되고, 벽돌의 배치에 따라 기발한 아이디어가 발견되기도 한다. 우리는 작가와 함께 그의 성을 투어하며, 작품의 토대가 된 벽돌들을 하나씩 뽑아 들었다. 지금 각 분야에서 가장 유별난, 돋보이는 작가들의 영감 지도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