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The Critique

CJ ENM의 레이블 전략은 어디로 향하나

<프로듀스> 시리즈를 거치며 자체 레이블을 만들고 기존 소속사들을 인수해온 CJ ENM에게서는 이제 콘텐츠 플랫폼이 아닌 제작사로서의 야심이 보인다.

UpdatedOn September 21, 2018

/upload/arena/article/201809/thumb/39882-332832-sample.jpg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지난 7월 21일, 방탄소년단(BTS)의 기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와 CJ ENM이 합작사를 만들기로 합의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CJ ENM이 전체의 52%, 빅히트가 48%를 투자하는 총 70억원 규모의 회사다. 어떤 회사가 될지, 목적이 무엇인지, 언제부터 운영을 시작하는지 그 무엇도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국내에서, 또 세계에서 지금 가장 핫한 K-팝 스타 콘텐츠를 보유한 빅히트와 CJ ENM이 손을 잡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엔터테인먼트 업계를 술렁이게 하기에는 충분했다.

놀랍긴 하지만 사실 새로운 움직임은 아니다. 빅히트의 경우와 방법이 다를 뿐 CJ ENM은 이미 몇 년 전부터 꾸준히 다른 기획사를 인수, 합병하거나 전략적인 제휴를 맺는 식으로 덩치를 불려왔다. 이른바 ‘레이블 체제’로 간다는 선언이다. CJ ENM이 이런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어가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이름이 있다.

유튜브에서 CJ ENM이 유통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면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라는 이름이 뜬다. 한국 연습생과 일본 AKB48 사단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Mnet의 <프로듀스 48>에 출연한 걸 그룹 프로미스나인의 장규리, 지난해 방송된 <아이돌학교> 출신 연습생인 배은영과 조유리, 이시안의 소속사도 스톤뮤직이다. 말하자면 CJ ENM의 음악 사업 관련 브랜드가 스톤뮤직인 셈인데, 스톤뮤직 산하에 ‘파트너’라 불리는 아주 많은 레이블이 있다.

다이나믹 듀오의 아메바컬처, 박재범과 사이먼 도미닉이 이끄는 AOMG, 팔로알토의 하이라이트레코즈, 도끼의 일리네어 레코즈, 빅스와 구구단 등이 소속된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프로듀스 101> 시즌 1 출신의 솔로 가수 청하가 소속된 MNH엔터테인먼트, 오마이걸이 있는 WM엔터테인먼트 등 스톤뮤직 홈페이지 기준 총 22개다. 여기에 워너원 멤버 강다니엘과 윤지성의 소속사 MMO(무려 Mnet의 캐치프레이즈 중 하나인 ‘Music Makes One’의 약자다) 엔터테인먼트 역시 CJ ENM의 계열사고, 최근에는 CJ ENM이 뉴이스트와 세븐틴, 프리스틴의 소속사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할 계획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너무 복잡한가? 어떤 회사나 어떤 아티스트가 CJ ENM에 소속돼 있는지 전부 외울 필요는 없다. 기억할 것은 딱 하나, CJ ENM이 음악 사업에서 최대한 다양한 장르의 회사와 스타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CJ ENM이 음악 산업 안에서 주로 해온 일은 플랫폼 역할이었다. 방송을 통해 스타를 발굴하고, 다른 기획사에서 만든 콘텐츠를 유통했다. <슈퍼스타K> 출신의 로이킴과 박보람을 영입한 것처럼 아티스트의 제작이나 매니지먼트도 맡았지만 비중으로 따지자면 미미했다. 그러나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핵심 콘텐츠는 스타고, 직접 스타를 만들거나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사업에도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오디션 프로그램을 예로 들자면 그 빈틈은 이렇다. 누군가를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장 서사를 통해 스타로 만든다. 그렇게 탄생한 스타로 수익을 창출한다. 세계적인 스타가 되기라도 한다면 수익은 더더욱 막대해진다. 이 과정에서 CJ ENM이 얻어온 것은 어디까지나 플랫폼으로서의 이익이었다. 워너원의 강다니엘과 윤지성처럼 수익의 원천인 스타가 CJ에 소속된 게 아니라면 말이다. 그러니까 CJ ENM의 변화가 가리키고 있는 방향은 명확하다. 제작 노하우가 쌓인 다른 회사의 힘을 빌려서라도 스타를 직접 만들거나, 최소한 그 스타들이 창출하는 수익에 지분이라도 갖겠다는 얘기다.

어떤 방향이든 규모가 작은 기획사로서도 레이블로 들어갈 수 있다면 딱히 손해 볼 건 없다. 몇 년 전 엔터테인먼트 회사 간의 인수와 합병이 한창 활발해지기 시작했을 때, 한 기획사 관계자는 말했다. “가령 이런 거예요. 메이저 기획사들의 가장 큰 장점이 각종 플랫폼을 활용하는 능력이거든요. 해외 담당자를 국가별로 둘 수도 있고, 아주 사소하게는 SNS 담당자들을 따로 둬서 플랫폼적인 접근을 더 용이하게 만들어줘요. 그렇기 때문에 메이저 기획사의 산하 레이블로 들어가면 작은 기획사는 콘텐츠 제작에만 역량을 쏟을 수 있는 거죠.” 방탄소년단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듯 K-팝 산업은 점점 더 넓은 세계를 무대로 삼고 있으며, 작은 규모로는 인력 수급이나 시스템상 시장에서 사업을 지속해나가는 데 무리가 생길 수밖에 없다.

작은 회사들은 큰 회사가 보유한 유통과 홍보 시스템이, 큰 회사들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스타라는 카드가 필요한 만큼 서로 윈-윈이다. 심지어 CJ ENM은 최근 오쇼핑과 합병하며 미디어와 커머스를 공격적으로 결합하기 시작했다. CJ ENM이 프로그램을 만들면, 오쇼핑은 광고를 넣어 돈을 번다. 거기에 꼭 필요한 게 스타다. 음악 산업에 한정된 전략은 아니지만, 현재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과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이 음악임은 분명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소비되고, 미래에 중요한 고객이 될 10대 팬들을 기반으로 삼는 K-팝 아이돌 산업이야말로 선점해야 할 판인 것이다.

수익의 원천 콘텐츠인 스타(특히 아이돌)와 미디어를 결합해 세계적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려보겠다는 꿈은 CJ ENM만 꾸는 것이 아니다. SM엔터테인먼트는 자회사 SM C&C와 올해 초 인수한 키이스트를 통해 이미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제작 중이고, JYP엔터테인먼트는 JYP픽쳐스를 통해 웹드라마 등을 만들고 있다. YG엔터테인먼트 또한 영상 콘텐츠 제작에 공을 들이는 중이다.

음원 사이트 멜론과 영상 유통 플랫폼 원더케이(1theK)를 보유한 카카오M(구 로엔엔터테인먼트)은 CJ ENM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다. 카카오M에는 배우 중심의 엔터테인먼트사뿐만 아니라 아이유, 페이브엔터테인먼트, 에이핑크가 소속된 플랜에이, 몬스타엑스와 케이윌, 소유 등이 있는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문화인 등이 속해 있다. 모두가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가운데, 누가 가장 먼저 그 그림을 완성하게 될까? 아직은 무엇도 섣불리 예상할 수 없지만, 적어도 SM과 YG, JYP가 ‘3대 기획사’로 불리던 시절 다음의 챕터로 넘어갔다는 건 알겠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경진
WORDS 황효진(칼럼니스트)
ILLUSTRATOR HeyHoney

2018년 09월호

MOST POPULAR

  • 1
    전여빈, "연기할 때 가장 중요한 게 나 자신을 믿어주는 일 같아요."
  • 2
    내 발 사용설명서
  • 3
    정확한 사랑의 기록
  • 4
    영탁, "장르 구분 없이 그냥 ‘가수’ 그 자체가 저에게 맞는 수식어라고 생각해요."
  • 5
    남규홍, "저는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지만 어찌 보면 정교한 다큐인 거죠."

RELATED STORIES

  • FASHION

    뱅크스 바이올렛의 시대정신

    셀린느가 그의 입을 빌려 말하는 시대의 본질.

  • FASHION

    영욕의 다이버 워치

    블랑팡×스와치의 피프티 패덤즈 플라스틱 손목시계에 스위스 시계의 지난 70년이 들어 있다.

  • FASHION

    Warm & Light

    따뜻한 커피 한 잔처럼 가볍고 푸근한 푸퍼 재킷.

  • FASHION

    Fantasia

    몽글몽글한 연말에 대한 우주적 상상, 서울의 밤을 황홀하게 수놓은 두 브랜드의 드라마틱한 장면.

  • FASHION

    감각의 제국

    보스가 글로벌 앰배서더 이민호를 통해 새로운 캠페인을 공개한다. 럭셔리 멘스 웨어를 대표하는 보스만의 감각적 워드로브.

MORE FROM ARENA

  • ARTICLE

    [A-tv] 브루넬로쿠치넬리x이서진

    아레나 9월호와 미소가 매력적인 남자 이서진이 함께한 화보 촬영 현장을 공개합니다. 이탈리아의 고전적인 감성이 녹아 있는 브루넬로쿠치넬리의 룩을 이서진만의 편안하고 유쾌한 스타일로 보여주었는데요. 예능을 통해 서글서글한 모습을 보여주었던 그가, 부드러운 가을 남자의 분위기를 담아냈다고 합니다. 지금, 그 촬영 현장을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 INTERVIEW

    황대헌은 빠르고

    황대헌은 9바퀴를 남기고 선두에 섰다. 경기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고수했다.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결승에서 우승을 차지한 황대헌은 그날 빙상에서 누구보다 빨랐다.

  • INTERVIEW

    장강명이라는 이상한 소설가

    장강명은 목소리가 작고 말투가 부드러웠다. 그 말씨로 날카롭게 현대 작가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자신의 상징적 지향점과 현실적 생활을 알려주었다. 그래서 이 인터뷰에는 엄청나게 문학적인 동시에 전혀 문학적이지 않은 이야기가 섞여 있다. 그는 시대의 맨 앞과 맨 뒤에 동시에 자리한 소설가였다.

  • INTERVIEW

    김태희, "연기 안팎으로 더욱 인간미가 느껴지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배우 김태희의 <아레나 옴므 플러스> 7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LIFE

    그 남자의 필름 카메라

    다시 돌아오지 않을 순간을 기록하는, 네 남자가 선택한 필름 카메라에 대하여.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