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사파로 가는 길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쪽으로 내달린다. 야간열차는 느릿느릿, 하지만 정확하게 목적지를 향해 달려간다. 기차로 9시간, 다시 차로 1시간가량. 그제야 사파가 모습을 드러낸다. 산악 부족의 도시이자 베트남의 또 다른 휴양지. 베트남에 가야 할 이유 중 하나다.

UpdatedOn August 01, 2016

 

 

깟깟 마을은 돌로 다진 길 주변에 가옥이 늘어서 있다.

깟깟 마을은 돌로 다진 길 주변에 가옥이 늘어서 있다.

깟깟 마을은 돌로 다진 길 주변에 가옥이 늘어서 있다.

상점 주인이자 은세공 기술자. 관광객에게 세공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호객 아닌 호객을 한다.

상점 주인이자 은세공 기술자. 관광객에게 세공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호객 아닌 호객을 한다.

상점 주인이자 은세공 기술자. 관광객에게 세공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호객 아닌 호객을 한다.

하노이와 라이까이역을 연결하는 야간열차.

하노이와 라이까이역을 연결하는 야간열차.

하노이와 라이까이역을 연결하는 야간열차.

2인실은 의외로 아늑하다.

2인실은 의외로 아늑하다.

2인실은 의외로 아늑하다.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했다. ‘세계는 한 권의 책이다. 여행하지 않는 사람들은 그 책의 한 페이지만 읽는 것과 같다.’ 전적으로 동의한다. 4세기 인물이 여행의 정수를 꿰뚫었다. 21세기엔 숱한 페이지를 넘길 기회가 널려 있다. 이번에 새로운 페이지를 넘겨볼 기회가 생겼다. 베트남 사파라는 미지의 페이지.

물기 머금은 더운 공기가 덮쳐온다.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출입문을 사이에 두고 온도 차가 극심하다. 가이드가 오길 기다리며 둘 사이를 오간다. 베트남의 더위에, 아니 하노이의 더위에 몸을 맞춰야 한다. 호찌민과는 또 다르다. 호찌민은 여느 동남아처럼 작열하는 태양의 기운이 가득하다. 하노이는 습식 사우나에 들어앉은 듯하다. 여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게 실감난다.

사파는 처음 들어본 지명이다. 하노이도, 호찌민도, 다낭도 들어봤는데. 아는 사람만 아는 베트남의 명소다. 북베트남을 지배한 프랑스 사람들이 조성한 휴양지다. 해발 1,650m 고산 지대로 더위 피해 올라간 거랄까. 프랑스 사람이 떠나고 이젠, 전 세계 사람의 휴양지가 됐다. 베트남 사람들에게도.

사파 여정의 시작은 하노이다. 하노이는 호찌민 묘가 있는 곳이자, 강으로 둘러싸인 베트남의 수도다. 사파는 그보다 북쪽이다. 지도상 중국과 맞닿은 국경과 근접한다. 사파에 가려면 우선 라오까이로 가야 한다. 하노이에서 라오까이까지는 보통 기차를 탄다. 자그마치 9시간이나. 대부분 야간열차를 선택한다. 유라시아철도는 아니지만 기차 침대칸의 낭만을 기대하면서.

날이 지고, 잠시 비가 내린다. 어둠 속 불빛이 습도 머금은 공기에 굴절된다. 홍콩의 불빛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불빛을 뒤로하고 기차에 탄다. <다즐링 주식회사> 보고 꿈꾼 열차 침대칸 여행을 베트남에서 이룰 줄이야.

침대칸은 4인실과 2인실이 있다. 2인실은 4인실을 두 명이 쓰는 형태다. 침대와 그 위 침대가 양쪽으로 마주 보는 공간. 가운데 협탁 같은 선반도 달려 있다. 그 위에 놓인 바나나와 비스킷이 정겹다. 의외로 아늑하다. 마음 맞는 친구와 위스키 기울이기 좋은 분위기다. 위스키 대신 베트남 맥주 333을 마신다. 규칙적인 선로 진동에 취기가 섞이자 눈이 감긴다.
 

산과 계곡, 나무와 돌이 그 자체로 보기에 좋다.

산과 계곡, 나무와 돌이 그 자체로 보기에 좋다.

산과 계곡, 나무와 돌이 그 자체로 보기에 좋다.

깟 마을 트레킹의 절정은 폭포와 커다란 물레.

깟 마을 트레킹의 절정은 폭포와 커다란 물레.

깟 마을 트레킹의 절정은 폭포와 커다란 물레.

연유 듬뿍 들어가 독특한 베트남 커피.

연유 듬뿍 들어가 독특한 베트남 커피.

연유 듬뿍 들어가 독특한 베트남 커피.

 사파 마을에선 쉽게 스쿠터를 빌릴 수 있다. 가격도 저렴하다.

사파 마을에선 쉽게 스쿠터를 빌릴 수 있다. 가격도 저렴하다.

사파 마을에선 쉽게 스쿠터를 빌릴 수 있다. 가격도 저렴하다.

라오까이역에 도착한다. 사파의 관문이지만, 아직 사파에 도달하려면 멀었다. 다시 버스를 타고 1시간 정도 달린다. 대관령 고갯길 같은 길을 돌고 돌며 올라간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풍광이 바뀐다. 사파가 장막을 하나씩 내리며 방문객을 맞는다. 그 사이사이 다랭이논이 하나둘 막간 쇼처럼 눈길을 호객하기도 한다.

사파는 작은 곳이다. 도시보다 마을이 어울린다. 마을 중간에는 광장이 있다. 주변으로 길이 여러 갈래 뚫려 있다. 골목 같은 길 양옆에는 여행자를 위한 가게도 늘어서 있다. 사파의 첫인상은 인도 올드 마날리와 비슷하다. 올드 마날리는 인도의 혹독한 더위를 피해 자연과 벗 삼아 쉬는 곳이다. 사파 역시 그런 곳이다. 뾰족한 침엽수가 마을을 호위하듯 두른다. 그 뒤편으로 산과 구름이 마을을 감싸 안는다. 건물 구석구석 산악 마을의 소박함이 스며 있다. 칠 벗겨진 벽면마저 편안해 보인다. 호흡이 한결 편해진다.

사파에 오면 누구나 산악 마을 트레킹을 경험한다. 고산족 마을을 방문해 그들의 삶을 겪어본다, 라고 하면 거짓말이다. 그냥 본다. 자갈만 한 손에 천 팔찌를 여러 개 쥐며 장사하는 아이를 본다. 그 등에 업힌 젖먹이의 눈을 본다. 관광객에게 호객하는 장사치를 본다.

그 옆 다랭이논에서 일하는 농부를 본다. 지나가는 개도 본다. 닭도 본다. 우리 속 돼지와 오리도 본다. 이 모든 걸 품은 자연을 본다. 어쩔 땐 평화롭고, 어쩔 땐 치열하다. 그 사이를 걷는다. 어떤 생각이 뜨고 질까? 그 생각을 하나씩 펼쳐보는 게 사파 트레킹의 본질이다.

물론 생경한 풍광을 보는 재미도 있다. 깟깟 마을이 그중 최고다. 깟깟 마을은 사파의 대표적 고산족 마을이다. 물론 관광 자원으로 ‘리모델링’된 부분도 눈에 띈다. 하지만 좁은 산길 따라 자리 잡은 마을 구조는 태생적으로 독특하다. 비탈길 따라 내려가다 만나는 폭포는 트레킹의 절정으로 손색없다. 환경이 특별하기에 보존하고 발전시켰으리라. 해서 볼거리가 다른 마을보다 풍성하다. 자연과 고산족 생활에 양념 약간 뿌린 셈이다. 덕분에 더욱 맛깔스럽다.

아래로 내려가 고산족 마을을 봤으니 위로도 향한다. 목표는 함롱산. 사파의 또 다른 관광 코스다. 역시 걷는다. 사파에서 걷는다는 것은 보는 것과 동의어다. 함롱산은 기묘한 산이다. 관광객이 주로 가는 코스는 동네 뒷산처럼 가볍게 다녀올 수 있다. 단 풍광은 동네 뒷산과 비교할 수 없다. 중국 무협지 영산 같으면서도, 중세 판타지 영화 배경 같기도 하다.

고산지대의 산이니 안개 같은 구름이 걸쳐 있기도 하다. 기암괴석에 특수효과까지 가미됐으니 걷다 보면 미궁 같은 기분도 든다. 그러다 사파 시내가 한눈에 보이는 장소가 나타난다. 구름은 발밑으로, 바람은 이마 위로 흐른다. 흘린 땀이 아깝지 않은 순간이다.

함롱산에서 내려와 연유 듬뿍 들어간 베트남 커피를 홀짝인다. 지독한 달콤함이 노곤해진 몸을 깨운다. 카페 앞으로 외국인 한 무리가 지나간다. 그들은 본격적인 등산 복장을 입었다. 함롱산 외에도 사파에는 더 높이 오를 산이 있다. 사파에서 깟깟 마을과 함롱산을 들르면 초급반은 이수한 거다. 그들은 중급반인 셈이다. 며칠 더 묵으면 그들과 함께하려나.

더 높은 산을 타는 대신 스쿠터를 빌린다. 동남아에서 스쿠터는 또 다른 발 같은 존재다. 여행객도 이용하기에 편하다. 값도 싸다. 기름 좀 채우고 가이드 따라 스로틀을 개방한다. 도심이 아니기에 극악할 정도로 스쿠터가 많지 않다. 스쿠터 초보도 용기 낼 만하다. 도로도 의외로 깔끔한 편이다. 적당히 굽이진 도로를 따라 위로, 위로 올라간다. 풍광은 더욱 녹색으로 짙어지고, 기온은 점점 여름에서 가을로 변해간다. 새로운 여행이 열린다.

사파를 떠나는 길은 시작의 역순이다. 다시, 라오까이 기차역으로 향한다. 역시 9시간 동안 야간열차 침대칸을 타야 한다. 333 맥주를 들이켜며 할 이야기가 많다. 파울로 코엘료는 이렇게 말했다. ‘여행은 언제나 돈의 문제가 아니라 용기의 문제다.’ 여행을 사파로 바꿔본다. 사파는 이야깃거리를 풍성하게 들고 나올 만한 여행지다. 그런 곳은 보통 용기가 필요하다. 빼곡하게 채워진 사파라는 페이지를 다 읽고 나니 복습하고픈 의욕이 차오른다. 아직 못 읽은 구절이 너무 많다.
 

베트남 사파에 가는 가장 당연한 방법

베트남항공은 한국과 베트남을 주 46회 연결한다. 인천에선 하노이, 호찌민, 다낭 주 32회, 부산에선 하노이, 호찌민 주 14회 운행한다. 그러니까 베트남이 목적지라면 베트남항공은 당연한 선택지다. 특히 인천-하노이 노선에는 에어버스사의 신형 항공기 A350-XWB도 만날 수 있다. A350의 비즈니스석은 각 좌석마다 좌우가 담 같은 형태다.

자기만의 독립된 공간에서 여행의 시작과 끝을 맞이할 수 있다. 대나무 색으로 처리해 전체 분위기가 편안하다. 비즈니스 클래스가 아니더라도 딜럭스 이코노미 클래스도 있다. 7인치까지 등받이가 젖혀지고 좌석 사이도 넓다. 전기 충전과 USB 포트, LED 조명은 이코노미 클래스도 구비했다. 사파행이 시작부터 여유로워진다.

<에스엠라운지>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종훈

2016년 07월호

MOST POPULAR

  • 1
    환경을 위하는 비누
  • 2
    The Silent Sea
  • 3
    폴햄의 스무살을 축하해
  • 4
    17년이 흐른 뒤
  • 5
    주현영과 요거트와 마라탕

RELATED STORIES

  • INTERVIEW

    <아레나> 4월호 커버를 장식한 NCT 해찬

    성숙하고 시크한 분위기를 드러낸 해찬의 <아레나> 4월호 커버 공개!

  • INTERVIEW

    주현영과 요거트와 마라탕

    주현영에게는 다양한 면모가 있었다. 웃기는 이미지로 남는 게 두렵지 않으면서도 순간순간 엄청나게 긴장한다고 했다. 성대모사를 하며 자기표현의 본질을 통찰했다. 종일 요거트 하나 먹어서 인터뷰 끝나면 마라탕을 먹을 거라는 주현영을 만났다.

  • INTERVIEW

    17th Anniversary

    <아레나>와 같은 해에 태어난 2006년생 만 17세의 모델 17인의 꽃처럼 밝고 맑은 포트레이트, <아레나>를 함께 만들어온 젊은 사진가들이 포착한 17시 17분의 장면들, 특별한 순간을 축하하기 위해 DJ 아프로가 전한 17곡의 파티 세트, 숫자 17을 형상화한 식물 아티스트 하이이화의 오브제. 모두 각자의 방식대로 우리의 17주년을 축하하는 마음을 전해왔다.

  • INTERVIEW

    주현영, “아르바이트 경험이 캐릭터를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돼”

    배우 주현영의 색다른 모습의 화보 미리보기

  • INTERVIEW

    홍경, 순간을 믿어요

    성급함은 모른다. 그저 순간에 솔직하고, 순간에 충실하며, 순간에 반응할 뿐이다. 마침내 마주하게 될 결정적 순간을 기다리는 배우, 홍경.

MORE FROM ARENA

  • FILM

    ARENA × 김정민

  • FASHION

    여름 내내 쓰고

    산과 바다, 수영장은 물론이고 불타는 도시에서도 매일같이 쓸 수 있는 명랑한 모자 13.

  • FILM

    Play Shoes II

  • INTERVIEW

    시작을 알린 템페스트

    데뷔 이후 1백 하고도 스물세 번째 되는 날을 맞은 형섭, 한빈, 화랑을 만났다. 세 소년은 입을 모아 템페스트는 아직 보여줄 게 많다고, 끝까지 가보겠다고 했다.

  • REPORTS

    City Now

    요즘 뭐가 유행이야? 전 세계 힙하다는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도쿄, 상하이, 런던, 샌프란시스코, 스톡홀름, 베를린, 리스본에선 사람들이 어디를 가고 어떤 것을 즐기는지. 그랬더니 이렇게 글로벌 트렌드가 보였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