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망할 놈의 패션 계급론

망할 놈의 패션 계급론

UpdatedOn January 31, 2012



노스페이스 계급도에 대한 기사를 ‘또’ 읽게 된 날.
모니터 한쪽엔 벤츠 여검사 보석 석방 기사가 펼쳐져 있었다. 벤츠와 샤넬이라는 타이틀로 일약 비리의 대명사가 된 여검사(30억 뇌물 수수 정치인보다 유명할걸?)와 빨강 파랑으로 나뉘어 패션 카스트 제도를 만들어낸 노스페이스 기사 사이에서 톨스타인 베블런의 이론을 떠올리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는 <유한계급론>을 통해 패션을 이렇게 정의했다. 현대사회는 신분제도가 없다. 그래서 패션은 존재한다. ‘남보다 우월함’을 증빙하기 위한 신분 표식, 그게 패션이다. 1백13년 전에 발표한 이론이다. 그중 내게 인상적이었던 건 유한계급의 속성에 대한 것이다. 유한계급, the leisured classes, 요즘 말로 상위 1%. 그러니까 생산 활동에 참여할 필요가 없는 클래스, 그럼에도 무섭게 소비할 수 있는 계층, 골수까지 돈으로 꽉 찬 태생적 부자들. 그가 어렵게 한 말들을 풀어보자면, 유한계급 언니 오빠들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단다. ‘더 비싸게, 더 어렵게, 더 화려하게! 하층민(?)은 따라올 수 없도록 입어주리라. 그러므로 패션의 룰은 더욱 복잡해지고 격식은 더 엄격해지리라. 왜? 나는 특별하니까. 당신과 엄연히 구분되어야 하니까.’ 그리하여 많은 이들이 유한계급의 소비 패턴을 동경하고 그 계급에 속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거다. 그래서 유한계급 추종자들의 가랑이가 찢어진다는 거다.

나는 백 년 묵은 이 이론이 맞기도 틀리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어찌됐든 인간은 욕망의 화신이다, 라는 생물학적 이론에 근거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하지만 그 이론에 고개를 갸웃할 수밖에 없는 건 패션을 욕망에 근거한 ‘경제활동’으로만 봤다는 거다. 패션을 ‘소비경제’ 측면에서만 본다면, 여기에 인간 본질 중 하나인 탐욕을 더한다면 베블런의 이론은 설득력 100%다. 하지만 패션이 과연 그런가? 패션이 너와 나를 구분짓기 위해 노력하는 건 맞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너와 나를 구분짓는 건 상하 개념이 아닐 수도 있잖은가. 평행선 안에 수많은 교집합들을 만들어 서로 간의 취향을 구분짓는 행위는 아니던가? 그렇다면 패션이 경제활동으로만 대변될 수 있는 건가? 패션은 감성 소비이며, 감성 행동 아니던가. 베블런 박사의 이론을 보면 나카무라 우사기가 한 말이 떠오른다. ‘나에게 자본주의란 부자라는 영광의 고지를 향해 맹렬하게 싸우는 게임이다. 그리고 명품은 그 게임에서 얻은 경품이다.’ 아, 이 얼마나 지치는 이론인가. 이 얼마나 불행한 사회인가. 하지만 집단의 퇴보가 집단의 진보보다 빠르다는 건 불변의 진리인 듯싶다. 내가 아무리 패션은 카스트 제도가 아니라고, 패션은 동등한 취향 나누기라고 주장하는 게 무슨 소용인가 싶다. 지금 10대들이 패딩 점퍼로 상하를 구분짓는다는데 말이다. 내 어린 시절에도 프로스펙스를, 게스를 염원하는 무리가 존재했다. 하지만 그게 되풀이되며 그 위세를 더하는 건 공포다. 집단 퇴보다.

퇴보의 증거는 널렸다. 엊그제 본 기사엔 공지영의 샤넬 백 해프닝이 화려했다. 값나가는 패션 제품을 소유한다는 걸 유한계급론적으로만 해석했다는 증거다. 왼쪽이라면서 샤넬 백을 들어? 말이 돼? 난 말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그리고 공지영의 백이 샤넬이 아니었다는 우스운 해프닝으로 사건이 일단락됐지만, 찝찝하다.
‘패션 제품 = 유한계급의 허영’이라는 잣대는 중세시대 이후로 왜 무너지지 않는가. 물론 패션 마케팅의 속성이 소비자 지갑을 터는 데 있다는 걸 부정하지는 않겠다. 일부 브랜드 제품에 가격 거품이 있다는 것도 인정하겠다. 그리고 허영에 돈을 말아먹는 상위 1%가 패션 소비자군에 버젓이 존재하는 것도 인정하겠다. 하지만 어느 산업은 그렇지 않은가? 자선 산업이란 존재하지 않는 게 자본주의 아닌가.
패션은 개인을 차별화하는 수단이라는 명제가 패션은 계급을 나누는 잣대라는 명제로 치환되는 순간, 시대는 1백13년 전으로 퇴보한다. 한 달에 한 번 헌혈을 하기 위해 채식주의를 고집하는 파텍 필립 마니아 K, 자신의 땅을 기부해서 공공도서관을 짓고 있는 질 샌더 마니아 M이 2012년에 나와 함께 산다. 이건 진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Keep Calm and Carry On
  • 2
    배우 송중기의 무수한 인생작 중 캐릭터 VS 본캐의 입장 차이
  • 3
    Destination 2024
  • 4
    권정열, “10CM 음악의 근간은 결핍인 것 같아요.”
  • 5
    봄의 공기청정기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FILM

    Hit the Road

  • LIFE

    급류 속으로 / 미르코베버

    높은 산, 거대한 바위, 그 사이를 파고드는 물길. 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며 쏟아지는 강줄기. 급류다. 카약에 몸을 싣고 급류를 타는 카야커들을 만났다. 고층 아파트 높이의 폭포에서 추락하고, 급류에서 회전하며 묘기를 펼치기도 하는 이들. 그들이 급류에서 발견한 것은 무엇일까.

  • AGENDA

    느림의 미학

    브렌트 웨든은 실로 추상화를 짜낸다. 그의 아시아 첫 전시가 서울에서 열리고 있다.

  • FASHION

    뒤로 돌아Ⅱ

    화려한 장식과 그림으로 채운 의외의 뒷모습.

  • REPORTS

    무한한 진심

    하고 싶은 일을 오래 하기를 바라는 정신이 곧 창의력이 된다는 것을 조기석을 통해 목격한다. 그는 경계 없이 다양하게, 비주얼과 관련된 모든 것을 다루는 스물다섯의 비주얼 메이커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