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배터리 없인 못 살아

디자인과 기능 모두 엄선한 보조 배터리 5

UpdatedOn January 27, 2025

3 / 10

 

1 알로코리아 | WM500T

유독 손이 차다면, 핫팩 역할을 하는 일석이조 기능의 휴대용 손난로 보조배터리가 유용할 것. 최대 14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119g의 무게로 편안한 그립감을 자랑하고, 온도는 3단계로 조절이 가능하다.

3 / 10

 

2 모지파워 | MOJIPOWER GAME

보조배터리를 선택할 때도 ’디자인‘의 영역을 포기할 수 없다면, 따분한 일상에 재미와 활기를 불어넣고 싶은 ’모지파워‘의 위트 넘치는 보조배터리를 추천한다. 게임기 디자인의 앙증 맞은 보조 배터리는 한손에 잡히는 사이즈로 휴대에 용이한 편.

3 / 10

 

3 벨킨 | 맥세이프 마그네틱 무선 충전 보조배터리

애플 유저라면 애정하지 않을 수 없는 벨킨의 자석형 무선 보조배터리. 직관적인 디자인에 무선 이어폰도 충전이 가능하다. 킥스탠드가 장착되어 있어 무언가를 보거나 세워 두어야 할 때 유용하다. 

3 / 10

 

4 보바 | 65W 초고속 보조배터리

디지털 노마드를 꿈꾸거나 보부상 스타일이라면, 4대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노트북 충전도 가능한 대용량 보조배터리가 제격이다. 아이폰, 갤럭시, 태블릿, 에어팟 맥스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호환이 가능하며, 무게는 388g 정도.

3 / 10

 

5 모노트 | 올라운더 보조배터리

스마트 기기들의 충전이 또 하나의 ’일‘로 느껴진다면, 보조배터리계의 올라온더 ’모노트‘의 3 in 1 제품을 추천한다. 10000mAh의 용량으로 핸드폰, 에어팟, 아이패드를 모두 충전할 수 있고 초고속 충전을 지원한다. 30분에 50%이상 충전이 가능한 셈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중고 노트북으로 쓴 소설
  • 2
    이야기를 담다
  • 3
    MIU MIU LITERARY CLUB
  • 4
    세월의 숨결이 깃든 빈티지 가구 숍
  • 5
    섹스와 알코올

RELATED STORIES

  • LIFE

    코첼라를 접수하다

    퍼스널 컬러가 '코첼라'임을 증명한 6팀의 하이라이트 신.

  • LIFE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일상의 재미를 더하는 동시 공간 5

  • LIFE

    다시 콜드플레이!

    세월이 흘렀어도 콜드플레이는 최정상의 밴드임에 틀림없었다.

  • LIFE

    아웃도어 소사이어티

    아웃도어에 진심인 유튜버들이 추천한, 지금 이 계절에 가장 빛나는 다섯 곳.

  • LIFE

    가길 잘했다, 남해

    남해의 쾌청한 뷰와 진한 감성을 자랑하는 5곳.

MORE FROM ARENA

  • SPECIAL PICK

    HARRY CHRISTMAS

    귀엽고 세련된 현대백화점의 연말 기념품.

  • LIFE

    소리를 찾아서

    이제껏 경험하지 못했던 남다른 소리를 원한다면 눈여겨봐야 할 물건과 공간.

  • INTERVIEW

    씨스타19 보라&효린, “어떻게 해야 우리를 잘 보여드리고 들려드릴 수 있을까, 덜 아쉬울까, 이런 마음이 굉장히 커요”

    11년 만에 돌아오는 씨스타19의 1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FASHION

    The other sides

    고급 시계의 진가는 그 뒷면에 있다. 특히 인상적인 시계의 백케이스를 들여다보았다.

  • REPORTS

    ARCHITECTURE - 모두의 건축

    한국에서 건축은 오랫동안 ‘특수’ 분야였다. 국가나 부유층만 누릴 수 있는. 건축가와 시공업자를 구분하는 사람이 적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 지난 10년, 건축은 모두의 이야기가 되었다. 동네 골목길에 들어선 작은 단독주택과 미술관이 대형 프로젝트만큼이나 많이 관심받았다. 서울시청사 같은 건물은 사회적 담론이 되었고,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출간되면서 건축은 탐구와 여행의 대상이 되었다. 건축의 물결은 지방 펜션과 카페에까지 스며들었다. 점점 더 많은 이가 혜택을 누리면서, 건축은 일상이자 예술이 되는 중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