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위스키 작명법

달콤한 위스키 4병을 모아 그 이름에 담긴 속뜻을 살폈다.

UpdatedOn October 16, 2023

/upload/arena/article/202310/thumb/54672-523358-sample.jpg

조니워커 골드 리저브


알코올 함량 40% 용량 750mL 가격 9만원대

조니워커는 이번 기사에 소개한 위스키 중 유일한 블렌디드 위스키다. 조니워커는 어떤 원액을 어떤 비율로 조합하는지 공개하지 않지만, 각 레이블의 특색을 구분 짓고 그걸 유지한다. 조니워커 블랙은 달콤함, 스모키, 보디감 등 모든 면에서 기준이 되는 스탠더드 위스키다. 블랙에 비해 더블 블랙과 블루는 훈연 향이 짙고, 레드는 향과 무게감이 가벼워 하이볼로 마시기 좋다. 그 미묘한 차이를 알아가는 것이 조니워커를 즐기는 방법 중 하나다. 골드 리저브는 조니워커 라인업 중 달콤함과 부드러움이 도드라진 술이다. 그 이유는 키 몰트에 있다. 조니워커 골드 리저브는 클라이넬리시 위스키를 중심으로 원액을 섞어 완성한다. 스코틀랜드 북부의 서덜랜드에서 만든 이 싱글 몰트위스키는 과일과 바닐라 향으로 유명하다. 사실 골드 리저브라는 명칭도 클라이넬리시 때문에 붙여졌다. 클라이넬리시 증류소가 물을 끌어다 쓰는 강에서 엄청난 양의 금광이 발견됐다.

/upload/arena/article/202310/thumb/54672-523359-sample.jpg

아벨라워 16년 더블 캐스크


알코올 함량 40% 용량 700mL 가격 20만원 중반대

위스키는 복잡한 술이다. 물감은 빨간색과 파란색을 섞으면 보라색이 되지만, 위스키는 다르다. 아벨라워 16년은 발베니 14년 캐리비안 캐스크처럼 두 가지 오크통을 쓴다. 차이점이 있다. 발베니가 하나의 원액을 두 개의 캐스크에 숙성했다면, 아벨라워는 각기 다른 캐스크에서 숙성한 두 가지 원액을 하나로 합쳐 완성한다. 레이블의 ‘Double Cask Matured’ 문구 옆에는 위스키 숙성에 사용된 두 캐스크의 이름이 적혀 있다. 아메리칸 오크와 셰리 오크다. 두 캐스크에 담은 원액은 각각 버번과 셰리의 특징을 흡수한다. 아벨라워는 두 원액을 16년간 숙성시킨 뒤 한데 모아 ‘메링’이라고 하는 안정화 과정을 거친다. 각 원액의 특색은 영사기로 재생한 필름처럼 차례대로 흘러간다. 달콤하고 짭조름하면서 말린 과일과 견과류 향이 나는 위스키다. 적갈색이 맴도는 위스키는 아벨라워 특유의 둥글고 짤막한 유리병에 담겨 제공된다.

/upload/arena/article/202310/thumb/54672-523357-sample.jpg

발베니 14년 캐리비안 캐스크


알코올 함량 43% 용량 700mL 가격 10만원 후반대

발베니 위스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캐스크 피니시’와 ‘꿀맛’이다. 두 요소에는 연관성이 있다. 발베니는 한 가지 오크통에서 숙성한 위스키를 새로운 오크통으로 옮겨 추가 숙성을 시도한 최초의 브랜드다. 1983년의 일이다. 이걸 ‘캐스크 피니시’라고 한다. 발베니 14년은 럼을 보관한 캐스크에서 캐스크 피니시를 거친다. 럼은 사탕수수로 만든 술이다. 콜라나 식혜를 마셨을 때처럼 혀에 직접적으로 달콤한 맛이 느껴지진 않지만, 특유의 달큰한 향을 품는다. 발베니는 아메리칸 오크통에 직접 블렌딩한 럼을 보관해 럼 캐스크를 만든다. 여기에는 카리브해 인근에서 가져온 서인도산 럼을 사용해 캐리비안 캐스크라는 이름이 붙었다. 14년 숙성을 거친 위스키 원액은 캐리비안 오크통에서 럼의 향과 맛을 빨아들인다. 그 결과 위스키는 밝은 캐러멜 색상을 띠며 진한 바닐라 향을 낸다.

/upload/arena/article/202310/thumb/54672-523356-sample.jpg

카발란 솔리스트 포트 싱글 캐스트 스트렝스 싱글몰트


알코올 함량 57.1% 용량 700mL 가격 30만원 중반대

옆에 보이는 카발란 위스키의 이름은 무려 22자다. ‘구구절절 뭐가 이렇게 길까?’ 싶지만 알고 보면 친절한 작명법이다. 이름만 봐도 이 위스키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맛을 낼지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달콤한 위스키’라는 주제 안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단어는 ‘포트’다. 풀어서 설명하면 ‘포트와인을 담았던 캐스크에서 숙성한 위스키’라는 뜻이다. 포트와인은 주정 강화 와인의 일종으로 단맛이 진하다. 포트와인은 포도주를 숙성하는 과정 중간에 알코올을 넣는다. 알코올이 들어가면 포도의 당분이 발효를 멈추고 그대로 머무르며 단맛을 낸다. 그 맛과 색깔을 빨아들인 위스키다. ‘스트렝스’도 눈여겨봐야 할 요소다. 보통 위스키는 캐스크에서 꺼낸 뒤 물을 타고 도수를 40도로 맞춘다. 스트렝스는 캐스크에서 꺼낸 원액을 그대로 병입했음을 뜻한다. 도수는 57.1%로 높은 편이지만 물을 섞지 않아 그만큼 향도 진하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주현욱
Photography 박도현

2023년 10월호

MOST POPULAR

  • 1
    국내 곳곳에 숨어있는 온천 명소 5
  • 2
    찬열, "여전히 팬분들을 만날 때 이 직업을 갖길 잘했다 생각하죠."
  • 3
    STILL ALONE
  • 4
    ETERNAL COIL
  • 5
    ATTENTION 2025 #RISING SUN

RELATED STORIES

  • LIFE

    A Tropical Haven

    로즈우드 푸껫에 머무는 동안 불평, 불만이 없었다. 마음에 평화와 감사함만이 남는 곳. 이곳이 천국 아닐까.

  • LIFE

    아이돌은 계속된다

    완전체의 컴백부터 신예의 등장까지.

  • LIFE

    이색적인 체험은 덤! 전국 곳곳의 찜질방 5

    이번 주말에 가볼까?

  • LIFE

    목표 달성을 위한 끝판왕 아이템 5

    새 결심을 이루도록 도와줄 다섯 가지 제품을 엄선했다.

  • LIFE

    INSIDE OUT, 허성범

    구석구석 들여다본 허성범의 가방 속.

MORE FROM ARENA

  • LIFE

    MUSIC VIDEO NEW WAVE / 추수 감독

    피드보다 스토리, 한 컷의 이미지보다 몇 초라도 움직이는 GIF 파일이 유효해진 시대. 어느 때보다 영상의 힘이 커진 지금, 뮤직비디오의 지형도도 변화하는 중이다. VR 아티스트, 뮤지션, 영화감독, 시트콤 작가 등 겸업은 기본,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각양각색의 개성을 펼치는 MZ세대 뮤직비디오 감독 5인과 그들의 작품으로 읽는 뮤직비디오 뉴 웨이브.

  • FASHION

    Candy Crush

    온전하거나 불완전한 사탕 사이의 알록달록한 주얼리.

  • LIFE

    나를 위한 한 입의 보상

    그런 날이 있다. 축하가 필요한 순간 혹은 고생한 나를 위해 맛있는 한 입을 선물하고 싶은 날. 지금 소개하는 3곳을 기억해두면 메뉴에 대한 고민과 실패 없이 완벽한 보상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REPORTS

    블랙홀의 저편

    유지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멋진 배우다. 그날만큼은 그렇게 믿고 싶었다.

  • ARTICLE

    Getaway Guide

    비행기 탑승부터 호텔 체크아웃까지, 떠나는 당신을 위한 스타일 가이드.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