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궁극의 전시

프리즈 서울 기간에 맞춰 한국에서 첫 개최된 제10회 프라다 모드.

UpdatedOn September 26, 2023

3 / 10
/upload/arena/article/202309/thumb/54539-522160-sample.jpg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

프라다가 2023년 9월 5일과 6일, 프리즈 서울을 맞아 인사동 복합문화공간 코트(KOTE)에서 프라다 모드의 열 번째 전시 <다중과 평행>을 선보였다. 큐레이터 이숙경이 기획한 이 전시는 영화계에서 존경받는 김지운, 연상호, 정다희 감독이 저마다의 독특한 시선으로 현대사회에 대한 영화적 비전을 제시하며 구상한 설치작품들을 감상하는 자리였다.

이번 전시를 맞이해 코트는 다양한 세계관을 탐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세 명의 감독은 이숙경 큐레이터와 협력하여 코트의 여러 건물을 넘나들며 미식 문화, 부재, 죽음에 대한 질문이 담긴 각자의 비전을 구현했다.

전시 오픈일인 9월 5일, 프라다 모드 서울은 대담, 음악 공연, 이숙경 큐레이터와의 프라이빗 디너, 파티 등의 다채로운 행사와 함께 막을 올렸다. 이날 주요 프로그램으로 두 가지 대담이 열렸다. ‘경계를 넘다: 연상호 감독의 유니버스’는 연상호 감독, 양익준 배우가 함께하고 조영각 프로듀서가 진행을 맡았다. 연상호 감독의 작품 <지옥>이 단편영화와 웹툰, 넷플릭스 시리즈, 설치미술을 아우르며 다양한 콘텐츠 형식들의 경계를 어떻게 넘나들었는지 살펴보는 시간이었다.

3 / 10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

  •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
  •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공간.
  • 프라다 모드 서울 전시장 외관.프라다 모드 서울 전시장 외관.
  • 프라다 모드 서울 전시장 외관.프라다 모드 서울 전시장 외관.

‘김지운 감독의 영화: 공간과 오브제’는 김지운 감독과 주성철 영화평론가가 함께했다. 김지운 감독은 자신의 영화 속 ‘공간 사물’에 대한 개념을 건축 공간의 맥락에서 설명했다. 또한 프라다 모드 서울에서 선보인 자신의 작품에 대해, 특정한 사물이나 장소에 잔향으로 남아 과거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희미한 기억을 다뤘다고 이야기했다.

이 외에도 음악 공연과 한국의 길거리 음식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김기라 작가의 <잔치> 퍼포먼스가 진행되었고, 파티에서는 DJ Chae와 DJ Jesse You가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9월 6일 프라다 모드 서울 프로그램에서도 영화와 관련된 대담과 워크숍이 이어졌다. ‘시를 그리다: 정다희 감독의 영화 속 은유’ 대담은 정다희 감독과 김혜리 영화평론가가 함께했다. 이들은 현재의 국제 영화계 맥락에서 정다희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바라보며, 작품들이 지닌 독특한 형식적 특성과 심리적 함의, 초현실적 서사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코트의 도서관을 그림, 빛, 그림자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변신시킨 이번 전시 작품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어른을 위한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질문의 발견’ 워크숍은 무루 작가가 진행했다. 일러스트레이션과 애니메이션 영화 등 이미지 기반의 이야기를 읽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고, 복잡한 의미를 이미지가 전달하는 방식을 살펴보며, 새롭게 질문을 던지는 수단으로 애니메이션을 감상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윤석철의 씨네콘서트’는 정다희 감독의 작품을 이루는 사운드스케이프를 표현하고 재창조하는 콘서트였다. 애니메이션 속 새로운 이미지들이 계속 투사되고, 그 이미지에 반응하는 방식으로 음악이 전개되었다. 한편 아페르티보 시간에는 DJ Chae의 공연이, 그리고 이어진 파티에서는 DJ Gothicc의 공연이 진행되었다. 이틀에 걸쳐 열린 프라다 모드 서울은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영화와 예술을 깊이 고찰하고 문화예술에 대한 프라다의 애정을 깊이 느낄 수 있는 행사였다.

3 / 10
‘경계를 넘다: 연상호 감독의 유니버스’ 대담.

‘경계를 넘다: 연상호 감독의 유니버스’ 대담.

  • ‘경계를 넘다: 연상호 감독의 유니버스’ 대담.‘경계를 넘다: 연상호 감독의 유니버스’ 대담.
  • ‘어른을 위한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질문의 발견’ 워크숍.‘어른을 위한 애니메이션 감상하기: 질문의 발견’ 워크숍.
  • ‘김지운 감독의 영화: 공간과 오브제’ 대담.‘김지운 감독의 영화: 공간과 오브제’ 대담.
  • 프라다 모드 서울 스크리닝.프라다 모드 서울 스크리닝.
  • 애프터 파티의 DJ Chae.애프터 파티의 DJ Chae.
  •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배우 이병헌, 천우희, 이솜, 전종서, 김태리, 구교환.(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배우 이병헌, 천우희, 이솜, 전종서, 김태리, 구교환.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김선아
Cooperation 프라다

2023년 10월호

MOST POPULAR

  • 1
    까르띠에와 함께한 2023 에이어워즈 수상자 공개
  • 2
    Freaky Preppy Boys
  • 3
    해밀턴 X 다니엘 헤니
  • 4
    LAST HOLIDAY
  • 5
    FLOATING MOVEMENT

RELATED STORIES

  • LIFE

    현장에서

    <아레나> 피처 디렉터이자 <모던 키친> 저자 박찬용이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진행한 셀프 인터뷰.

  • LIFE

    내 가슴 속 삼천 원, 노포 붕어빵 맛집 4

    겨울이 기다려진 이유.

  • LIFE

    자연 속에서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웰니스 숙소 4

    화려한 도시를 떠나 평화를 마주하는 연말을 보내보자.

  • LIFE

    춤추는 사과

    평범한 사과는 먹고 싶은 것으로 끝난다. 그러나 세잔의 사과는 마음에 말을 건네고, 댄싱사이더의 사과는 몸과 마음 모두를 춤추게 한다.

  • LIFE

    매운맛 위스키

    위스키를 마시는 여러 즐거움 중에는 매콤함도 있다. 스파이시함을 앞세워 완성한 네 병의 싱글 몰트위스키.

MORE FROM ARENA

  • LIFE

    내가 애정하는 잡지에게

    사라져서 그립고, 사라지지 않길 기도하는 애틋한 매거진 여섯 권.

  • FASHION

    Trend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한 2023 워치스 앤 원더스의 시계 출시 경향.

  • ARTICLE

    At the Park

    한겨울 운동에 적용할 만한 실용적인 옷 입기.

  • LIFE

    HOW COME?

    방수 테크 제품에 대한 사소한 궁금증.

  • FASHION

    Good Afternoon

    니트의 포근함이 정점에 이르는 시간.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