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가장 비싼 SUV 두 대

페라리 푸로산게와 롤스로이스 컬리넌은 얼마나 같고 다를까? 스펙을 보면 어떤 차를 골라야 할까?

UpdatedOn September 05, 2023

3 / 10
/upload/arena/article/202309/thumb/54405-521131-sample.jpg

 

자동차는 복잡한 물건이다. 누군가에게는 생필품이지만
생활 이상의 요소가 드러나는 사치품이기도 하다.

‘모닝 사러 갔다 롤스로이스 사기’ 이야기를 좋아한다. ‘경차는 위험하니까 세단’ ‘소타나 풀 옵션 살 바에 그랜저’ ‘기왕 살 거면 돈 좀 보태서 제네시스’ ‘제네시스 살 거면 독일차’ 식으로 이어지는 자가 설득을 몇 차례 반복하다 보면 롤스로이스 매장에 도착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자동차는 복잡한 물건이다. 누군가에게는 생필품이지만 생활 이상의 요소가 드러나는 사치품이기도 하다. 웃자고 한 이야기겠지만 모닝에서 롤스로이스에 이르기까지 이유를 듣다 보면 어느 정도는 고개가 끄덕여진다. 사람의 욕심이란 애당초 내게 없는 것을 갖고 싶은 마음 아닌가.

‘모사롤사’ 이야기가 롤스로이스에서 끝나는 건 가격 때문이다. 롤스로이스는 세상에서 가장 비싼 차로 통한다. 그럼 롤스로이스를 실제로 산 사람들은 어떤 차를 가장 많이 골랐을까? 2022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롤스로이스는 컬리넌이었다. 롤스로이스 유일의 SUV 모델 컬리넌은 2018년 출시됐고, 그해 롤스로이스는 브랜드 창립 이후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운전 재미가 한몫했을까? 지금도 롤스로이스 홈페이지에서 컬리넌을 클릭하면 이런 문구가 뜬다. ‘럭셔리 오프로드 주행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롤스로이스의 전천후 SUV.’

시대가 바뀌면서 롤스로이스 고객도 변했다. 원래 롤스로이스는 운전 재미보다 뒷자리의 편안한 승차감을 즐기는 차다. 괜히 ‘회장님 차’로 불리는 게 아니다. 그러나 올해 한국을 찾은 롤스로이스 CEO 토스텐 뮐러 오트보쉬는 <아레나>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남겼다. “롤스로이스 고객은 대부분 기사를 두고 있습니다. 다만 과거에는 롤스로이스 고객 80%가 기사가 모는 차량에 탑승했는데 12~13년 사이 완전히 반대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80%의 고객이 직접 운전합니다.”

컬리넌의 경쟁자는 몇 없다. 그 소수 중 페라리 푸로산게가 있다. 페라리는 뒷자리란 게 없던 차다. 운전 재미에 모든 기술을 쏟아붓는다. 그래서인지 페라리는 푸로산게를 설명할 때 SUV라는 단어는 쓰지도 않는다. 페라리 푸로산게 공식 한국 보도자료는 11페이지에 달하는데 SUV라는 단어는 딱 한 번 등장한다. 그조차 ‘전형적인 GT(일명, 크로스오버 및 SUV)와는 완전히 다른’으로 사용된다. 페라리 식으로 설명하면 푸로산게는 페라리 최초의 4도어 4인승 차량이다. 형태적으로 SUV에 가까울 뿐 문 4개에 사람 4명이 탈 수 있는 새로운 슈퍼카라는 뜻이다.

/upload/arena/article/202309/thumb/54405-521130-sample.jpg

컬리넌과 푸로산게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미묘하다. 우선 두 차 모두 문이 양쪽으로 벌어지는 코치 도어를 택했다. 푸로산게는 컬리넌과 달리 옆에서 보면 2도어 모델 같다. 레이싱카처럼 보이기 위해 2열 도어 손잡이를 의도적으로 숨겨 디자인했기 때문이다. 파워트레인 역시 비슷한 듯 다르다. V12 가솔린 엔진을 얹은 건 같다. 다만 롤스로이스는 트윈 터보(6.75L, 563 마력, 0 → 100km/h 5.2초), 푸로산게는 자연흡기(6.5L, 725마력, 0 → 100km/h 3.3초)다. 엔진 위치로 결정되는 중량 배분도 미묘하게 다르다. 푸로산게는 엔진을 최대한 앞바퀴 축으로 밀어 넣어 49:51의 중량 배분을 완성했다. 이는 페라리 엔지니어가 프런트 미드 엔진 스포츠카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기는 비율이다. 컬리넌은 50:50이다.

무엇보다 두 차가 브랜드 안에서 지니는 의미가 다르다. 컬리넌은 개념적으로 연장선상에 있다. 플래그십 세단 팬텀의 덩치를 키운 오프로더다. 둘은 플랫폼과 파워트레인도 공유한다. 반면 푸로산게는 출발점이다. 엔진과 섀시를 완전히 새롭게 설계했다. 그중에서도 엔진이 의미심장하다. 푸로산게의 엔진은 자연흡기 V12다. 페라리가 양산 모델에 자연흡기 V12 엔진을 얹은 건 2017년 812 슈퍼패스트가 마지막이었다. 페라리와 롤스로이스 모두 전동화를 선언한 지금 이 결정은 의아하다. 실제로 푸로산게 공개 직전 출시된 296 GTB에는 전기모터와 결합된 V6 하이브리드 엔진이 탑재됐다. 모순적인 행보로 보일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푸로산게의 V12 엔진은 누군가에게는 무조건 사야만 하는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그래서 두 차 중 무엇이 낫냐는 질문에는 답할 수 없다. 대부분의 럭셔리 공산품처럼 기호의 문제다. 컬리넌과 푸로산게를 나란히 놓고 고민할 사람이 별로 많지도 않을 테지만, 그런 고민을 할 사람을 만난다면 다른 걸 묻고 싶다. 모닝과 캐스퍼와 레이 중 어떤 차를 고르시겠습니까? 차에 대한 지식과 안목이 궁금하다면 이 질문이 더 적절해 보인다.

모델브랜드출시연도가격대전장×전폭×전고엔진출력제로백공차중량
푸로산게 페라리 2022 5억원대 4,973×2,028×1,589mm 6.5L V12 자연흡기 725마력 3.3초 2,173kg
컬리넌 롤스로이스 2018 5억원대 5,341×2,000×1,835mm 6.75L V12 트윈 터보 563마력 5.2초 2,762kg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주현욱
Image 페라리, 롤스로이스

2023년 09월호

MOST POPULAR

  • 1
    남규홍, "저는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지만 어찌 보면 정교한 다큐인 거죠."
  • 2
    정확한 사랑의 기록
  • 3
    달려나가는 전여빈
  • 4
    샴푸 선택의 기준
  • 5
    감각의 제국

RELATED STORIES

  • CAR

    젊은 아빠 자동차

    젊은 남자와 젊은 아빠는 다른 사람이다. 둘은 차를 고를 때 얼마나 같고 다를까? 국산 패밀리카 3대를 타면서 살펴본 ‘좋은 아빠 차’의 조건.

  • CAR

    인생 첫 차 고르기

    젊은 남녀가 인생 첫 차를 사면서 고민한 것. 첫 차를 사고서야 깨달은 것. 차를 타는 동안 새롭게 다짐한 것.

  • CAR

    붉은색 유니폼의 국가대표

    페라리 장인들은 자신의 수도 이름을 딴 자동차를 만들며 무엇을 상상했을까? 그 답을 듣기 위해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를 타고 지중해 섬을 달렸다.

  • CAR

    알칸타라, 늘 방법은 있다

    2023년 9월 말 미 동부 햄프턴에서 소규모 고급차 모터쇼인 ‘더 브리지’가 열릴 예정이었다. 이탈리아 소재 회사 알칸타라가 파트너 중 하나였다. <아레나 옴므 플러스>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알칸타라의 초대를 받아 마감이 끝나자마자 뉴욕행 비행기를 탔다. 도착한 다음 날부터 비가 내려 2023년 9월 뉴욕은 1882년 기상관측 이후 가장 비가 많이 온 9월로 기록됐다. ‘더 브리지’는 폭우와 돌풍으로 취소되어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취재진은 맨해튼 밖으로 벗어나지도 못했다. 그러나 알칸타라 회장 안드레아 보라뇨는 태연했다. 늘 방법은 있다면서. 다음은 호텔 2층 프레젠테이션 룸에서 그와 나눈 인터뷰다.

  • CAR

    포르쉐, 끝나지 않는 이야기

    포르쉐는 어떻게 역사를 존중하는가. 역사는 어떻게 포르쉐를 지탱하는가. 독일의 한갓진 도로에서 클래식 911을 타며 온 몸으로 배우고 느낀 것들.

MORE FROM ARENA

  • LIFE

    청량감 장전한 라거

    라거의 톡 쏘는 청량감을 이길 맥주는 없다. 여름이 도래하자 모아본 국내 라거의 정석들.

  • FASHION

    여름 끝자락의 향수

    단번에 이국적인 여름의 기억으로 회귀하도록, 이내 일렁이듯 흩어지는 오리엔탈 노트 향수.

  • LIFE

    영감을 찾아서: 가수 오메가 사피엔

    영화 한 편, 소설 한 권은 벽돌 하나에 불과하다. 그것들이 쌓이며 성을 이룬다. 작가의 세계는 그렇다. 때로는 인상적인 작품이 성을 떠받치는 기둥이 되고, 벽돌의 배치에 따라 기발한 아이디어가 발견되기도 한다. 우리는 작가와 함께 그의 성을 투어하며, 작품의 토대가 된 벽돌들을 하나씩 뽑아 들었다. 지금 각 분야에서 가장 유별난, 돋보이는 작가들의 영감 지도다.

  • FASHION

    ANOTHER CASE

    남다른 존재감의 구찌. 그러고 보니 초콜릿 바를 닮았다.

  • LIFE

    궁극의 전시

    프리즈 서울 기간에 맞춰 한국에서 첫 개최된 제10회 프라다 모드.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