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건축물을 탐구하는 방식 #스위스

젊은 건축가들의 시선은 어떤 도시와 어떤 건축물로 향할까.

UpdatedOn October 15, 2022

리마트강이 흐르는 곳
탄츠하우스 취리히 문화센터

3 / 10
/upload/arena/article/202210/thumb/52117-498770-sample.jpg

 

스위스는 바다가 없는 대신 호수가 많다. 여름이면 호수나 강가에서 수영과 일광욕을 즐기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작년 여름내 취리히에 체류하면서 매일같이 리마트강을 지나다녔다. 날이 개면 어김없이 사람들이 강으로 뛰어드는 모습을 목격했다.

이러한 풍경과 함께 강변에 위치한 독특한 입면의 건물이 있다. 10여년 전 화재로 소실된 댄스 아카데미를 수변 산책로와 함께 재정비하는 설계 공모가 있었고 바로시 베이가의 당선안이 수 년에 걸쳐 실제로 지어졌다.

수변 산책로와 도로의 고저차로 인해 형성된 경사면을 이어주는 이 건물은 두 개의 레벨로 나뉜다. 아래 층은 산책로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어 강을 따라 길게 배치된 카페를 들르기 좋다.

위 층은 댄스 아카데미 운영 사무실이, 두 개층을 합친 공간에는 공연장이 있다. 지붕층은 도로 레벨과 일치하여 화단이 꾸며져있다. 계단같은 모양의 단면은 어느 층에서든 강을 보며 쉴 수 있는 테라스를 만들어 준다.

입면의 반복적인 사다리꼴 패턴은 창문과 드나드는 문이 되어 전체 파사드를 만들고 작게는 선홈통의 디자인이 되기도 한다. 도로에서는 눈에 띄지 않지만 강을 건널 때 비로소 정면을 보게 되는 이 건물은 간결한 요소 만으로 산책로의 인상을 얼마나 크게 바꿀 수 있는지 실험해 본 결과 같기도 하다.

카페 야외석에 앉아 커피를 마시는 사람, 조깅하며 지나가는 사람, 강 위의 다리를 건너는 사람, 건너다 말고 멈춰서 강과 건물의 풍경을 찍는 사람, 다리 위에서 강으로 뛰어드는 사람 등 건물을 둘러싼 수많은 사람들을 구경했다. 나 또한 오후에 아이스크림을 먹으러 자주 들렀던, 여름의 기억이 가득한 건물이다.
WORDS 최은지(스와건축 디자이너)

3 / 10
/upload/arena/article/202210/thumb/52117-498769-sample.jpg

 


예술과 건축이 조화로운 도시
바젤

/upload/arena/article/202210/thumb/52117-498773-sample.jpg

처음에는 비트라 캠퍼스를 가기 위해 들른 도시였는데 지금은 ‘최애’ 도시 중 하나다. 바젤은 마냥 걷기 좋은 도시다. 아름다운 라인강과 따뜻하고 다채로운 로마네스크풍의 옛 건물들은 걷고 즐기기에 충분한 감흥을 주기 때문이다. 곳곳에 숨어 있는 유명한 건축가들(헤르초크 & 드 뫼롱의 초기작도 많다)의 작업들을 찾는 재미도 쏠쏠하고 옛 건물을 재활용한 사례들도 많은 영감을 준다.

큰 규모의 제약 산업, 은행이 있는 도시지만, 옛 모습과 현재의 풍경이 어느 하나 희생되지 않게 조화된 느낌이랄까. 이렇게 조화로운 도시를 만드는 것이 획일화된 도시를 만드는 것보다 어려운 일임을 알기에 이곳이 건축가의 도시, 디자인의 도시로도 불리는 것 같았다. 나에게는 언젠가 1년 정도 살아보고 싶은 곳이 되었다.

바젤에서 묵었던 호텔 ‘노마드 디자인 앤 라이프스타일 호텔’, 무채색의 딱딱한 입면은 도시의 맥락을 담담하게 담아냈지만, 내부는 너무나도 다채로웠다. 민트색을 메인으로 한 색감과 따뜻한 조명이 자칫 삭막해 보일 노출 콘크리트 마감에 생기를 불어넣었고, 여행객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은 저녁이면 지역민이 즐겨 찾는 힙한 공간이 되었다.

여행객에게 내어주는 자전거와 우산 등 도움될 것들이 항상 준비돼 있었다. 건축가로서는 참고할 만한 디테일과 공간이 많아 지금도 설계할 때 레퍼런스로 삼고 있다.
WORDS 강지호(아뜰리에오 건축사사무소 소장)

/upload/arena/article/202210/thumb/52117-498774-sample.jpg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정소진

2022년 10월호

MOST POPULAR

  • 1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 2
    홍화연이 향하는 길
  • 3
    가길 잘했다, 남해
  • 4
    아웃도어 소사이어티
  • 5
    이솝이 전하는 진심

RELATED STORIES

  • LIFE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올해 6월, 페이스 키피에곤이 여성 최초로 1마일(1.6km)을 4분 안에 완주를 하는 도전에 나선다.

  • LIFE

    Take Eat Slow

    한 끼를 먹더라도 건강하게! 저속노화를 위한 비건 맛집 5

  • LIFE

    코첼라를 접수하다

    퍼스널 컬러가 '코첼라'임을 증명한 6팀의 하이라이트 신.

  • LIFE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일상의 재미를 더하는 동시 공간 5

  • LIFE

    다시 콜드플레이!

    세월이 흘렀어도 콜드플레이는 최정상의 밴드임에 틀림없었다.

MORE FROM ARENA

  • LIFE

    2021년, K-팝은 무엇으로 사는가

    아이돌이라는 존재가 판매할 수 있는 것엔 어떤 것이 있을까? 연예인의 본업과 주 수익이 음악, 공연, 드라마, 영화, 예능 출연 그리고 광고라 한다면, 팬들의 절대적인 사랑으로 먹고사는 아이돌은 태생부터 고전적인 팬 사인회, 팬 미팅 등 팬 서비스라는 의무가 필연적으로 동반된다. 이 소통은 점점 더 내밀해지고, 플랫폼마저 다각화되어 아이들과 팬의 일대일(처럼 보이지만 아이돌에겐 일대다인) SNS 창구인 버블, 시도 때도 없이 켤 수 있는 브이라이브 등 새로운 수익 창출원이 아이돌 산업에서 빠져선 안 될 요소로 떠올랐다. 소통을 얼마나 잘하는지가 ‘아이돌력’으로 가늠되는 시대, 지금 K-팝 산업은 무엇으로 사는가?

  • INTERVIEW

    매드몬스터의 진실

    뜨거웠던 연습생 시절, 데뷔 무대의 추억, 콘서트에서 오열한 이유, 숙소에서 몰래 먹는 야식 등 어디서도 말하지 않았던 매드몬스터 제이호와 탄의 과거.

  • FASHION

    SPRING, SPRING

    솟아오르는 스프링처럼 힘차게 생동하는 봄의 기운.

  • LIFE

    낮도 밤도

    낮과 밤, 판이한 매력으로 서울의 하루를 풍족하게 채워주는 플레이스 4곳.

  • INTERVIEW

    트로트 파트너즈, 장민호 & 정동원

    해가 바뀌자 비주류 장르로 여겨졌던 트로트가 ‘힙’을 입고 주류가 되었다. 여기에는 <미스터트롯>의 공이 지대하다. 트로트는 올드하고 어른들만 듣는다는 편견을 깨고 전 세대가 공감하고 열광할 수 있게 만들었으니까. 그럼에도 우리는 아직 트로트에 대해 잘 모른다. <미스터트롯>에 출연해 패러다임의 전복을 경험한 데뷔 23년 차 맏형 장민호와 열네 살 막내 정동원이 각자의 시선에서 트로트 신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