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바가지 공화국을 아십니까

가평 1박에 1백50만원은 합당한 금액이 맞을까. 차량 대여와 유류비, 식사 값까지 더하면 2백만원을 웃돈다. 합리적인 여행의 조건에 대한 생각은 ‘우리는 왜 이렇게까지 돈을 들여 가평으로 향했을까’ 하는 회의감으로 번졌다.

UpdatedOn August 04, 2022

/upload/arena/article/202207/thumb/51550-493694-sample.jpg

한때 난리가 난 ‘19금’ 호텔이 있다. 이름만 대면 아는 스타급 연예인들이 직접 호텔 인테리어와 디자인에 참여한 ‘호텔 더 디자이너스(Hotel The Designers)’다. 2012년 삼성점 개관을 시작으로 홍대, 종로, 인천, 동대문, 강남 프리미어, 청량리까지 세를 불리더니 건대, 여의도점까지 오픈하며 승승장구했던 곳이다. 이곳이 19금 호텔 애칭으로 불린 건 순전히 ‘과금 방식’ 때문이다. 그러니까 이런 식. 일단 택시처럼 방에도 기본 요금이 있다. 더블(트윈), 디럭스, 스위트룸까지 모두 1만~1만5천원대에 출발한다. 이후부터는 택시처럼 분당 요금이 올라간다. 더블룸은 분당 1백원, 디럭스룸은 분당 1백50원, 스위트룸은 분당 2백원씩이다. 30분 기준으로는 3천원, 4천5백원, 6천원이 각각 부과된다. 남녀가 들어간다고 치자. 짧고 굵게, 초고속으로 일(?)을 치르면, 그야말로 2만원대에도 끊을 수 있다. 모처럼 부부끼리 분위기를 내러 갔다면, ‘장바구니 물가’에 민감한 아내들은 이런 볼멘소리를 했을 게 뻔하다. “여보, 어서 씻어. 30초 지나면 또 2백원이라니까.”

뜬금없이 호텔 분당 과금 얘기를 꺼낸 건 휴가철 호텔과 펜션의 바가지 방값, 이른바 룸플레이션(Room+Inflation, 방값 인플레이션) 때문이다. 애교스러운 분당 과금 아이디어로 거품을 빼며 승승장구했던, 호텔 더 디자이너스를 비웃듯, 바가지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바캉스 바가지 버블 ‘베케플레이션(vacation+ inflation)’의 주축을 이루는 것도 룸플레이션이다. 엔데믹 분위기에, 하늘길이 뚫렸지만 베케플레이션으로, 항공권 값이 2~3배로 치솟으면서 해외는 그야말로 언감생심, 그래서 휴가족들도 국내로 발길을 돌리는데, 이게 설상가상이다. 3년 만에 거리두기가 풀린 탓에 7말8초 기간이 풀부킹인데, 그나마 방이 나와도 ‘억’ 소리가 난다. 말하자면 ‘부킹(예약)플레이션’과 ‘룸플레이션’ 쌍포의 습격이다. 기자는 ‘제주 바가지’ 시리즈를 칼럼 형태로 2020년과 2021년 연속 쓴 적이 있다. ‘호텔 1박에 89만원 제주도 방값 바가지 도 넘었다’는 단독 기사를 썼는데, 당시 원희룡 도지사(현 국토교통부 장관)가 SNS를 통해 이 기사를 포스팅해 인용하면서 “한탕주의 묵인 안 한다. 모든 수단 강구해 제주도의 바가지를 뿌리 뽑겠다”고 강력 대응을 시사, 제주 호텔가가 발칵 뒤집혔다.

취재하면서 가장 놀랐던 건, 펜션 바가지였다. 코로나19 사태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신혼여행지로 제주 수요가 폭발할 때였는데, 한 복층형 펜션에 묵었던 신혼부부는 1박에 2백만원을 지불한 적도 있었다. 기사가 반향을 일으키면서 현장 실태 점검에 나섰던 제주시의 공식 반응은 이랬다. ‘신라, 롯데 등 특급호텔의 성수기 1박 80만원대 가격은 ‘정상적이다. 원래 이 정도 수준이다. 바가지가 아니고 원년 수준으로 받았을 뿐이다. 펜션은 복층에 프라이빗 스파까지 달려 있는 최고급형이다. 푸껫 반얀트리 부럽지 않다. 2백만원 정도면 정상가로 볼 수 있다’는 것. 정상과 비정상의 기준이야, 여행족마다 다를 터이니, 그렇다 치자. 하지만 일반실 기준 1박 80만원을 정상적으로 보는 제주시의 입장은 황당할 수밖에 없었다.

상황이 더 심각한 건 이런 베케플레이션이 전국적인 현상이라는 점이다. 서울 경기 권역의 바가지 핫 플레이스는 양평, 가평, 남양주 인근이다. 최근 가평의 한 복층형 펜션에서 하룻밤 총알휴가를 보내고 온 후배는 방값 1백만원, 맛집 투어 비용에 기름값까지 1백50만원을 쓰고 왔다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1박에 1백50만원이라니. 이건 웬만한 동남아 휴양지 3박 5일 패키지 가격과 맞먹는 수준 아닌가. 물론 여기까지 칼럼을 읽고, 이 정도 수준에 뭔 호들갑이냐는 분들도 있을 게다. 가격, 즉 바가지의 기준이라는 게 그렇다. 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누군가에겐 바가지인 복층형 1박 1백만원 펜션 가격이, 다른 누군가에겐 충분히 정상적으로 비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건 어떨까. 우리 국민 말고, 해외, 다른 나라 국민이 느끼는 국내 바캉스 물가에 대한 평가.

잠깐 아래 통계를 보자.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격년으로 발표하는 세계경제포럼(WEF) 관광 경쟁력 평가 결과(2021년 기준)를 공개했는데, 우리나라가 1백17개국 중 15위에 올랐다. 팬데믹이 덮치면서 평가 기준이 바뀌긴 했지만, 그 직전인 2019년 결과(16위)와 단순 비교하면 한 계단 오른 셈이다. 상위 10% 수준이니, 자부심을 가질 만하지만 뜯어보면 아킬레스건이 하나 있다. 여행지 물가 순위를 나타내는 관광 가격 경쟁력 순위다. 코로나19 시기야, 관광 자체가 불가능했으니 없다 치고, 직전 2019년 결과를 보면, 한숨이 나온다. 전체 관광 경쟁력 순위는 16위인데, 관광 가격 경쟁력은 103위, 사상 처음 100위권 밖으로 내려앉았다. 공항 이용료와 택시비는 30위권, 호텔 등 숙박 비용은 60위권, 기름값은 100위권 밖으로 최하위권을 맴돈다. ‘바가지 공화국’이란 볼멘소리가 나올 법한 결과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매년 국내를 찾는 외국인을 상대로 관광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불만 사항 상위권 리스트에 한결같이 등장하는 게 묘하게 또 ‘물가’다. 절반 정도는 언어, 교통, 안내표지판 부족을 꼽지만, 늘 10% 이상의 답변이 몰리는 항목이 ‘비싼 물가’다.

작년 여름엔 제주도 렌터카 바가지 문제가 도마에 오른 적이 있다. 제주시의 신문고에 한 여행족이 ‘제주도 렌터카 요금은 비트코인입니까’라는 글을 올리면서 논란이 됐다. 둘쭉날쭉 가격에 얼마나 속에서 천불이 났으면 렌터카 비용을 ‘비트코인’에 비유했을까. 당시 신문고에 올랐던 글의 한 대목을 소개해드린다. ‘렌터카는 취향, 편의 차이만이 아닌 부족한 대중교통의 보완재입니다. 제주도가 잘해서가 아니라 코로나19 시대에 오갈 데가 없어서 갈 뿐입니다. 제주도는 이번을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인데, 일부 법인 배불리자고 앞으로의 제주 경제를 망칠 셈인지요.’ 바가지 주체들이여 이 신문고의 글을 가슴속에 꼭 새겨두시길. 제주도 호텔과 펜션이 좋아서, 양평·가평의 복층 펜션이 이국적이어서 여행족들이 몰려가는 게 아니라는 것. 해외 하늘길이 여전히 불안해서, 어쩔 수 없이 갈 뿐이라는 것, 말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정소진
Words 신익수(<매일경제신문> 여행 기자)

2022년 08월호

MOST POPULAR

  • 1
    보테가 베네타의 작은 지구
  • 2
    SOLARIS
  • 3
    특별한 토핑이 올라가는 이색 피자 4
  • 4
    21세기 축구화
  • 5
    궁극의 전시

RELATED STORIES

  • LIFE

    나, 너, 우리, 연대의 서사

    지금 리움미술관에서는 보테가 베네타의 후원 아래 <강서경: 버들 북 꾀꼬리> 전시가 펼쳐지고 있다.

  • LIFE

    FOR FRIEZE SEOUL

    프리즈 서울에 활기를 더한 패션 하우스들의 활약

  • LIFE

    특별한 토핑이 올라가는 이색 피자 4

    피자로 맛볼 수 있는 가장 새로운 맛.

  • LIFE

    유럽에서 온 추석 선물 세트 4

    서양식 구움 과자에 한국의 향을 가미해 재해석한 파티세리 네 곳을 소개한다.

  • LIFE

    가을 아트 산책

    프리즈와 키아프가 한차례 지나갔지만 9월은 아직 풍요롭다. 서울의 곳곳에서 작가들의 개인전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

MORE FROM ARENA

  • CAR

    시승 논객

    아우디 e-트론에 대한 두 기자의 상반된 의견.

  • FASHION

    BRICK BAG

    유난스러울 만큼 자유와 낭만이 풍요롭게 넘쳐흐르는 2020 S/S 시즌의 트렌드 키워드.

  • INTERVIEW

    하나로 규정할 수 없는

    배우 정재광을 <버티고>의 관우로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거다. 지금은 그렇다. 앞으로는 어떨지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 그는 작은 체구로 다양한 인상을 품었다. 우리에게 어떤 인상을 남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 규정할 수 없기에 그의 미래는 무한하다.

  • LIFE

    이강인의 세 번째 집은?

    지금 이강인의 폼은 상승세다. 앞으로 대한민국 A팀의 10년을 이끌 플레이메이커로 평가되지만 소속팀 발렌시아 CF는 이강인이 몸담기엔 불안하다. 선발 기용 문제도 있지만 내부 정치에 휘말린 것도 이유다. 뛰어야만 하는 약관의 이강인은 답답할 따름이다. 라리가 유망주 이강인에게 적합한 팀은 어디일까? 이강인의 스타일과 궁합이 잘 맞는 팀을 몇 곳 추려본다. 강인아, 여기야 여기.

  • LIFE

    포스트휴먼 감각하기

    기술적 특이점이 오는 해, 2045년. 그때가 되면 인공지능이 인간 지능을 초월할 것이라고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주장한다. 인간이 좇기 어려운 속도로 기술이 발전한다는 예측이다. 정말 그런 날이 올까? 온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인간의 의미도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종류의 인간, 즉 포스트휴먼의 등장도 기대해봄직하다. 허나, 기술적 특이점을 지나지 않은 현시점에 포스트휴먼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상상은 해볼 수 있겠다. 다섯 명의 미술가에게 포스트휴먼에 관한 공통 질문을 던지자, 이내 흥미로운 답변들이 돌아왔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