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전동화 청사진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괄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Francesco Scardaoni)가 람보르기니의 새로운 전동화 전략을 전했다.

UpdatedOn June 27, 2022

3 / 10
/upload/arena/article/202206/thumb/51300-491055-sample.jpg

 

람보르기니의 새로운 전동화 전략 ‘디레지오네 코르 타우리(Direzione Cor Tauri)’는 다음 3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내연기관에 헌사를 보내는 한 해를 갖는다. 고객이 자연흡기 엔진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전개한다. 다음 단계는 하이브리드 전환이다. 내년 아벤타도르 모델 하이브리드화를 시작으로 2024년 말까지 모든 라인업을 PHEV 모델로 전환한다. 마지막 단계는 최초의 순수 전기차 출시다. 하이브리드 전환 이후 순수 전기차로의 이행 가속화가 이뤄질 예정이며, 2020년대 후반기에 람보르기니의 4번째 모델이자 최초의 순수 전기차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람보르기니가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은 무엇인가?
고객이 차를 운전하고 있지 않아도 삶을 람보르기니로 채우고, 람보르기니에 대한 꿈을 계속 꾸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계(로저 드뷔), 요트(테크노마르), 의류(슈프림) 등 브랜드와 협업해 차 안에 승차하고 있지 않더라도 고객의 삶에 람보르기니가 채워지도록 한다.

‘잠재적’ 고객과 람보르기니 팬을 위한 람보르기니 문화 체험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 있는지?
람보르기니는 공식 딜러사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한국 고객의 취향을 알아보고 충족하기 위한 제품과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고객, 잠재 고객, 팬 모두를 위한 행사는 항상 계획하고 있다. 최근 인제 서킷에서 트랙 시승 행사를 진행했으며, 투어 시승 행사인 지로 익스피리언스(Giro Experience)를 개최하기도 했다.

람보르기니가 지향하는 전동화의 청사진이 궁금하다.
제품 전동화 과정에서, 람보르기니는 지속적으로 최상의 성능과 드라이빙 다이내믹을 보장하는 기술과 해결책을 추구할 것이다. 전동화 로드맵인 ‘디레지오네 코르 타우리’ 전략의 핵심은 브랜드 DNA와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타고난 능력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에서도 향상된 성능과 드라이빙 감성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12기통 자연흡기 엔진 사운드 등 고객이 기대하는 슈퍼카의 감성을 전기차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전동화를 하더라도 람보르기니의 순수한 드라이빙 감성, 핸들링 등 유니크함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전동화 계획에서 가장 큰 목표는 고객이 눈을 가리고 타도 람보르기니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앞으로도 람보르기니의 감성을 살린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고객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할 것이다. 요즘 젊은 세대에게 엔진 사운드는 람보르기니를 구매하는 최우선의 선택지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람보르기니는 전동화를 맞이해 새로운 람보르기니만의 감성을 만들어낼 것이라 확신한다. 그리고 새로운 전기차는 패밀리카로 제작될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매력을 느낄 것이라 생각한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2022년 07월호

MOST POPULAR

  • 1
    From the masters
  • 2
    김래원, “배우 김래원보다 ‘어떤 작품의 누구’로 기억되고 싶어요.”
  • 3
    서울 한복판에서 노포 치킨을 외치다
  • 4
    새 시즌, 뉴 스니커즈 4
  • 5
    The Panthere of Venice

RELATED STORIES

  • CAR

    실내와 속내

    자동차 실내는 저마다의 이유와 목표를 따라 완성된다. 그 요소를 살피다 보면 차가 출발한 주제와 문제의식에 닿는다. 올해 출시된 네 대의 차에 올라 실내를 살피며 속내를 가늠했다.

  • CAR

    가장 비싼 SUV 두 대

    페라리 푸로산게와 롤스로이스 컬리넌은 얼마나 같고 다를까? 스펙을 보면 어떤 차를 골라야 할까?

  • CAR

    쥬라기 월드의 자동차

    2029년까지 완전 전동화를 약속한 아우디가 대뜸 630마력짜리 고성능 내연기관차를 출시했다. 무슨 의도일까? 아우디 RS를 타고 캘리포니아 1번 도로를 달리며 보고 들은 것들.

  • CAR

    장수 자동차

    갈라파고스섬의 거북이처럼 진화를 거듭하며 살아남은 차들이 있다. 반세기 넘게 대를 이어온 차들을 모아 그 비결을 들여다봤다.

  • CAR

    자동차의 날개

    자동차를 더 빨리 더 멀리 달리게 하는 공기역학 디자인 4

MORE FROM ARENA

  • INTERVIEW

    MY YOOOOOOOOUTh

    확고한 꿈과 함께 독기 품고 달려온 지난 시간. 몬스타엑스 기현은 이제 독기보단 여유를 품기로 했다. 그렇게 변화하는 기현은 지금을 청춘이라 말했다.

  • FASHION

    블루 앤 옐로우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부적 같은 색을 모았다.

  • REPORTS

    MUSIC - 구조 변화

    지난 10년, 가요계는 그야말로 드라마틱한 시기였다. 이 10년은 그전 10년의 변화보다 본질적이고 극단적이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미디어와 음악 산업의 거리감이 훨씬 더 복잡해지고 촘촘해졌다는 점이다. 초기 5년 동안에는 TV 영향력이 압도적이었고, 특히 예능 프로그램과 음악의 친밀도가 상당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트위터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영향력이 높아지고, 이것이 음악 산업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청했다. 제작-발매-홍보-활동으로 이어지던 구조에 균열이 생기면서 다양한 실험들이 이루어졌다. 이때 키는 대중성에 있다. 1백만 개의 ‘좋아요’가 과연 좋은 음악이라는 걸 증명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2016년의 과제일지도 모른다.

  • ARTICLE

    재킷 같은 코트

  • INTERVIEW

    전설의 입담-곽민정

    방송사들은 동계올림픽 중계로 바쁘다. 중계의 꽃인 해설위원을 섭외하기 위해 각축전을 벌였다. KBS는 동계올림픽의 전설들을 해설위원으로 모셨다. 스피드스케이팅에는 이상화와 이강석, 쇼트트랙에는 진선유와 이정수, 피겨스케이팅은 곽민정이 해설을 맡는다. KBS 해설위원들의 출정식을 <아레나>가 함께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