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830마력의 매력

페라리 296 GTB는 운전의 재미를 새롭게 정의한다.

UpdatedOn March 04, 2022

3 / 10
/upload/arena/article/202203/thumb/50373-481314-sample.jpg

 

믿고 타는 V6 엔진
296 GTB를 수식하는 단어는 최초다. 페라리 로드카 역사상 최초로 6기통 엔진을 탑재한 PHEV 스포츠카다. 120° V6 터보엔진은 페라리의 레이싱 경험을 기반으로 제작했다. 출력이 663마력에 이르고, 전기모터의 힘 167마력을 더해 합산 출력이 830마력에 달한다. 비출력은 리터당 221마력이다. 양산차 신기록에 해당하는 기념비적 수치다. 사실 페라리의 V6 엔진 사랑은 오래됐다. 첫 번째 미드리어 V6 엔진을 탑재한 246 SP가 1961년과 이듬해 타르가 플로리오에서 연달아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1961년에는 120° V6 엔진을 탑재한 156 F1으로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에서 최초의 컨스트럭터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최근까지 페라리는 포뮬러 원 1인승 차량에 V6 터보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다.

296 GTB의 유례
GTB는 그란 투리스모 베를리네타(Grand Tourismo Berlinetta)의 약자다. 장거리 주행을 위한 작은 스포츠형 쿠페란 뜻이다. 앞의 숫자 296은 뭘까. 총 배기량 2,992L와 6개의 실린더 수를 조합한 이름이다. 엔진에 대한 애정의 깊이가 느껴진다.

정밀한 공기역학 설계
스포츠카에는 다운포스가 필요하다. 트랙 주행 시 후방에 가해지는 다운포스는 차량을 노면에 밀착시키고, 안정적인 주행 환경을 만들어낸다. 296 GTB에는 추가적인 다운포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후방에 능동적 공기역학 장치를 사용했다. 공기역학 시스템은 후방에 100kg의 다운포스를 발생시킨다. 이는 정확한 조향력과 제동 성능으로 이어진다.

페라리만의 펀 드라이빙
물론이다. 페라리 베를리네타답게 296 GTB는 최고 수준의 펀 드라이빙을 제공한다. EPS와 통합된 최초의 ‘ABS 에보’ 컨트롤을 제공하고, 그립력 추정 장치 같은 새로운 구성 요소와 기능이 개발되었다. e드라이브 모드에선 순수 전기모터만으로 최대 25km를 주행하고, 속도는 최고 135 km/h까지 달릴 수 있다.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고출력이 필요할 때는 ICE가 전기모터를 백업한다. 신형 ABS 에보와 6w-CDS 센서가 통합되어 마른 노면에서 제동 거리가 짧다. 반복적인 급제동 시에도 일관된 제동력을 보장한다.

베를리네타 중 가장 간결해
생김새는 페라리다우면서도 간결하다. 296 GTB는 베를리네타 중 가장 콤팩트한 모델로 꼽힌다. 미드리어 엔진의 균형감도 돋보인다. 짧은 휠베이스와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모놀리식 구조 덕이다.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는 페라리 전통을 계승한 간결하고 단호한 선으로 차량의 스포티한 특성을 강조했다.

아세토 피오라노
페라리 오너라면 차량이 지닌 성능을 끝까지 경험해봐야 하지 않을까. 그런 고객들을 위해 페라리는 아세토 피오라노 패키지를 제공한다. 패키지의 내용은 철저히 트랙 중심이다. 공기역학 솔루션이나 중량 감소로 성능을 개선시키고, GT 레이싱에서 파생된 멀티매틱 댐퍼, 프런트 범퍼의 탄소 섬유 보조 장치, 탄소 섬유 같은 경량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다. 더 가볍고 더 빠르게 업그레이드한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2022년 03월호

MOST POPULAR

  • 1
    제 76회 칸 영화제의 기록
  • 2
    Coffee Time
  • 3
    여전히 송승헌
  • 4
    From Salone del Mobile
  • 5
    역사 깊은 하우스 브랜드의 테크 아이템

RELATED STORIES

  • CAR

    큰 차 큰 기쁨

    큰 차의 기쁨은 직접 타보고 내려보고 몰아봐야 알 수 있다 . 길이 5m가 넘는 미국산 대형 SUV를 타고 서울 시내를 누비며 느낀 점들.

  • CAR

    기쁨의 세계로의 초대

    두카티 스크램블러 2세대 모델은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의 두 주인공들만큼이나 충만한 행복감을 선사한다. 모터사이클 매거진 <바이커즈랩> 김남구 기자가 풀어놓는 스페인 시승기로 확인해보자.

  • CAR

    전천후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130에 올라타 계곡물에 뛰어들고 진흙탕을 뒹굴었다. 디펜더는 ‘이게 되나?’ 싶을 때 ‘더 해도 돼’ 하는 차였다.

  • CAR

    영국과 자동차

    이제 영국 차는 사실 우리의 마음속에만 남아 있다. 미니, 롤스로이스, 재규어, 랜드로버, 벤틀리, 모두 다른 나라의 주인을 찾아 뿔뿔이 흩어졌다. 그런데도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영국 차라는 개념과 특징이 남아 있다. 무엇이 영국 차라는 이미지를 특별하게 만드는 걸까? 마침 비슷한 시기에 한국을 찾은 영국 차 관련 인사들을 만나 물어보았다. 이네모스 오토모티브의 아시아퍼시픽 총괄과, 롤스로이스 CEO 토르스텐 뮐러 오트보쉬에게 들은 흥미로운 이야기들.

  • CAR

    다섯 번째 바퀴

    차를 모는 여러 즐거움 중에는 손맛도 있다. 각 브랜드를 상징하는 네 대의 차를 모아 스티어링 휠을 들여다봤다.

MORE FROM ARENA

  • ISSUE

    최초 공개! 주헌이 직접 만든 몬베베만의 애교?

  • VIDEO

    A or B, 배우 차승원의 선택은?

  • FEATURE

    게임하는 작가들: SF 작가 김보영

    기술 발전과 가장 밀접한 매체는 게임이다. 사실적인 그래픽과 정교한 구조는 사람들을 게임에 깊이 몰입시킨다. 이제 게임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직접 만들게끔 유도하고, 사용자는 오직 자신만의 서사를 갖게 된다. 비록 로그아웃하면 그만인 휘발성 강한 서사라 할지라도 사용자의 뇌리에 오래도록 남아 다른 형태로 표현된다. 시나 소설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설치미술로 눈앞에 등장하기도 한다. 미래에는 게임이 선도적인 매체가 되리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는 지금, 게임에서 영감을 받는 작가들을 만났다. 게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게임과 예술의 기묘한 연관 관계를 추적했다.

  • REPORTS

    올림픽을 위한 신발

    리우 올림픽에서 우사인 볼트는 무슨 신발을 신을까? 업그레이드된 쿠셔닝과 유연성이 돋보이는 푸마의 러닝화 ‘이그나이트 듀얼’ 시리즈가 그 주인공이다.

  • INTERVIEW

    영화감독 박찬욱∙김지운∙한재림∙이병헌, 오메가의 ‘문워치’와 만나다

    영화감독들과 오메가 문워치가 함께한 웅장한 화보와 내밀한 인터뷰 미리보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