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EATURE MORE+

쿨하지 못해 미안해

젠지들이 꼰대스러워질 때는 언제일까. 설문조사를 통해 행동 양상을 세 항목으로 분류했다.

UpdatedOn January 03, 2022

20대라고 왜 자기주장이 없겠나. 고집부릴 ‘짬’이 안 되는 것일 뿐. 기성세대만 꼰대가 아니라 누구나 꼰대가 될 수 있다. 개인주의, 다양성 추구,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세대로 규정되는 ‘젠지’ 또한 꼰대 가능성이 열려 있다. 자유로운 가치관을 가졌다고 해도 회사라는 조직에선 마냥 자유로울 수 없는 법. 1996년생과 1997년생, 1998년으로 구성된 30명의 사회 초년생 젠지들에게 물었다. “회사에서 스스로 꼰대라고 느낄 때가 있나요?”

GGONDAE DATA

회사에서 꼰대는 필요한가?

/upload/arena/article/202112/thumb/49936-476600-sample.jpg

출처 30명 대상으로 직접 조사

후배 때문에 ‘욱’했다

응답자의 55%가 직장에서 후배의 업무 역량 때문에 ‘욱’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그들은 단순히 화만 난 것이 아니었다. 숱하게 봐온 ‘꼰대 상사’의 전형을 답습한 자신의 모습에 ‘좌절감’도 느껴야 했다. 응답자 대답 중에는 “나보다 조금 늦게 입사한 동료의 업무 방식이 내 방식과 달라(잘못된 행동은 아니었음) 업무를 처음부터 다시 가르쳐주는 내 모습에서 ‘젊은 꼰대’의 기운이 느껴졌다”거나, “동일한 직급의 동료가 실수를 저질렀을 때 가르치려는 내 모습에서 ‘꼰대’임을 자각했다”고 한다. 같은 직급의 동료가, 자신보다 겨우 몇 달 일찍 입사한 동료가 우쭐대며 훈계한다면 참기 어려울 터다. 자존심이 상할 테지만 그래도 참아야 하는 게 직장 생활이다.
후배가 예의를 지키지 않아서 기분이 상했다는 대답도 있었다. “실수한 후임이 나보다 먼저 퇴근하고, 남아서 후배의 실수를 수습할 때 기분이 상했다. 한마디 하고 싶었지만 꼰대처럼 보일까봐 말하지 못했다.” 응답자는 이런 생각은 ‘꼰대’들이나 갖는 것이라며 자신을 반성했다고 했지만, 후배가 예의 없었다는 시각도 많았다. ‘꼰대’를 정의하는 기준은 응답자마다 차이를 보였다.

3 / 10
/upload/arena/article/202112/thumb/49936-476596-sample.jpg

 

훈수 두기에 중독되다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중독성을 불러일으키는 것들이 있다. 오전 일과를 함께 시작하는 아이스 라테, 회의 후 담배 타임, 업무에 중독되는 워커홀릭도 드물지만 있다. 또 직급이 오르면 부하직원에게 일을 시키는 요령도 느는데, 그러다 남에게 시키는 버릇에 중독되기도 한다. 응답한 젠지 중 35%는 ‘갈굼(훈계)’에 중독된 자신의 모습이 ‘꼰대’ 같았다고 답했다. 훈계하기는 한번 중독되면 다시는 다정한 언어로 업무 지시하기 어려울 정도로 강력한 중독성을 지녔다. 일반적인 ‘꼰대’의 요건 중에는 잦은 훈계도 포함된다. 한 응답자는 “한 시간 지각한 막내에게 ‘지금이 몇 시냐’라는 말을 시작으로 지각하지 말아야 할 이유를 늘어놓았다”고 한다. 지각하면 안 된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하지만 지각만큼 훈계하기 좋은 ‘핑계’도 없다. 다른 응답자는 후배가 아닌 십대 청소년들에게 훈계를 했다. “담배 피는 고등학생들에게 훈수를 뒀다. 무서웠지만 다양한 논리로 애들을 지도하는 내 모습은 꼰대 그 자체였다.” 담배 피는 고등학생들을 훈계한 목적은 아이들을 올바른 길로 지도하기 위함이었겠지만, 더 어린 젠지들의 시각에선 잔소리하는 ‘꼰대’의 정석이었을 것이다.

편견이 꼰대를 만든다

젠지가 개인주의적이고 다양성을 추구하지만, 그렇다고 남들 흉을 안 본다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가치관이 자유로운 것이지, 타인을 평가하는 기준까지 열려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직장 생활하는 젠지들이 상대를 판단하는 기준은 그 이전 세대와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젠지들 역시 말투나 행동으로 상대를 평가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10%는 편견 가득한 눈으로 타인을 평가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꼰대스러움’을 발견했다고 답했다. “말하는 방식만 보고 그 사람을 평가하는 내 자신이 꼰대 같았다”거나, “나보다 어린 친구들의 옷 입는 스타일을 보고 괜히 한 소리 할 때, 간섭할 때 내가 ‘꼰대’임을 자각”했다고 한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정소진
ILLUSTRATION 게티이미지뱅크

2022년 01월호

MOST POPULAR

  • 1
    작은 차 큰 기쁨
  • 2
    SKATE BOYS
  • 3
    최문희 & 김아영, "성실한 배우, 차근차근 내공을 쌓는 배우가 되고 싶어"
  • 4
    독특한 슈즈들의 닮은꼴
  • 5
    <아레나> 4월호 커버를 장식한 NCT 해찬

RELATED STORIES

  • FEATURE

    스위스에서 온 편지

    스위스의 디자인과 함께한 일주일.

  • FEATURE

    오늘의 공예

    AI와 글로벌 대량생산의 시대에도 누군가는 입으로 유리를 불고 닥종이에 옻칠을 한다. 기술을 닦고 고민을 모아서 공예품을 만든다. 젊은 공예가의 공예품을 모으고 그에게 설명을 부탁했다.

  • FEATURE

    Special Thanks to

    <아레나>에 몸담고 있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시간 동안 마음 깊이 감사했던 그대들을 향해 진심을 가득 담은 헌사를 보냅니다.

  • FEATURE

    17년이 흐른 뒤

    2006년 3월호, 표지는 주드 로, 키워드는 블랙칼라 워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한국에 처음 나온 해다. 그때 <아레나>는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 어떤 예언이 맞고 어떤 예언이 빗나갔을까. 거기 나온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동안 세상에는 무슨 일이 생겼을까.

  • FEATURE

    어느 어부의 하루

    겨울 동해 바다 위에서 문어를 낚는 어부의 하루를 따라갔다.

MORE FROM ARENA

  • FEATURE

    FUTURE - chapter3. IoB

    미래는 언어로 다가온다. 게이미피케이션, 디지털 트윈, IoB, 비지도학습 AI 등 낯선 용어들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 입에는 익지 않은 개념들이지만 의미와 기능을 들여다보면 익숙한 것들이다. 지금보다 더 오래전, 10년 전 아니면 그보다 더 오래된 시절, 막연히 그렸던 공상과학 세상의 개념들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상상은 실체가 되며 새로운 이름을 얻었을 뿐이다. 지금 미래 개념으로 알려진 게이미피케이션, 디지털 트윈, IoB, 비지도학습 AI를 다각도로 다룬다. 미래 개념을 경험한 이들의 기대와, 미래 개념이 낯선 이들이 느낀 공포를 담았다.

  • FEATURE

    영감을 찾아서: 감독 김보라

    영화 한 편, 소설 한 권은 벽돌 하나에 불과하다. 그것들이 쌓이며 성을 이룬다. 작가의 세계는 그렇다. 때로는 인상적인 작품이 성을 떠받치는 기둥이 되고, 벽돌의 배치에 따라 기발한 아이디어가 발견되기도 한다. 우리는 작가와 함께 그의 성을 투어하며, 작품의 토대가 된 벽돌들을 하나씩 뽑아 들었다. 지금 각 분야에서 가장 유별난, 돋보이는 작가들의 영감 지도다.

  • LIFE

    Beer To Go

    스프링 밸리 브루어리 프로젝트는 맥주를 즐기는 새로운 차원을 제시한다.

  • INTERVIEW

    '염혜란의 시대' 미리보기

    바야흐로 배우 염혜란의 시대, 강렬한 느와르 화보와 진솔한 인터뷰 공개. “어느 구름에서 비 내릴지 몰라요. 그러니 하루하루 모든 일에 충실해야 하죠.”

  • FASHION

    여정의 동반자가 되어줄 보머자켓

    일상의 탈출구, 여정의 동반자가 되어줄 골든구스 저니 컬렉션.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