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Editor's Pick

지방시의 컴배트 부츠

지방시가 내놓은 투박하고 말쑥한 컴배트 부츠.

UpdatedOn December 30, 2020

/upload/arena/article/202012/thumb/46918-438500-sample.jpg

컴배트 레인 부츠 1백11만원 지방시 제품.

부츠의 형태가 나날이 단단해지고 있다. 분명 작년 이맘때에는 이른 봄까지 신을 웨스턴 부츠를 고르고 골랐다. 올해는 높다란 하이 부츠와 다부진 컴배트 부츠의 다양한 선택지를 두고 고민에 빠지게 됐다. 고민의 끝에는 가장 지방시다우면서도 컴배트 부츠의 본질을 충실히 갖춘 레인 부츠가 있었다. 1990년대 닥터마틴 같은 워커 스타일에서 벗어난 요즘 컴배트 부츠는 여전히 투박한 멋이 있지만 한결 매끈한 실루엣으로 다듬어졌다. 덕분에 컴배트 부츠가 가진 전형적인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스타일로 시도할 수 있다. 게다가 지방시의 아이코닉한 안티고나 백의 핸들을 적용한 근사한 위트와 가죽, 네오프렌, 블랙 러버 조합으로 가볍고 눈과 비에 강한 실용적인 면까지 두루 만족스러웠다. 저벅저벅 소리가 날 것 같은 두드러진 아웃솔도 여지없이 대범하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상
PHOTOGRAPHY 박도현
ASSISTANT 김지현

2021년 01월호

MOST POPULAR

  • 1
    NCT 해찬, “NCT 해찬은 사람들 앞에 서는 사람이지만 이동혁은 그 뒤에 있어요”
  • 2
    작은 차 큰 기쁨
  • 3
    Happy Together
  • 4
    황제성, “여전히 하고 싶은 코미디가 많아요”
  • 5
    <아레나> 4월호 커버를 장식한 NCT 해찬

RELATED STORIES

  • FASHION

    Trilogy

    3부로 이어진 마티유 블라지 퍼레이드의 종점, 상상력과 은유로 써낸 보테가 베네타의 새로운 챕터.

  • FASHION

    Paris Syndrome

    셀린느의 에디 슬리먼이 파리에서, 파리의 르 팔라스에서 연출한 <파리 신드롬>을 관람하고 왔다. 한 줄 평은 ‘역시 에디 슬리먼!’

  • FASHION

    Man in Woman

    2023 F/W 여성 패션위크 기간에 포착한 인상적인 남성복.

  • FASHION

    Happy Together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가진 두 브랜드의 뜻밖의 조우.

  • FASHION

    The New World

    한국에서 처음 만나는 역사 깊은 브랜드, 그리고 새롭게 합류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선보이는 뉴 캠페인.

MORE FROM ARENA

  • AGENDA

    천재 패션 디자이너와 동묘 스웨그

    어쩌면 동묘는 세상에서 가장 트렌디한 공간일지도 모르겠다. 적어도 키코 코스타디노브에 따르면 말이다.

  • FEATURE

    방송 프로그램이 만들어낸 염증들

    <쇼미더머니>의 업적은 찬란했다. 한국 힙합 신을 도모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신 자체가 방송 프로그램 분위기를 따라 흐르는 듯했다. 하지만 <쇼미더머니>가 만든 콘텐츠는 몇 가지 염증을 만들었다. 자극성을 띨 수밖에 없는 방송 프로그램이라는 점도 염증의 이유다.

  • DESIGN

    Objet

    시계를 보고, 문득 이런 물건들이 생각났다.

  • REPORTS

    ART - 세계 속 한국

    지금 한국에선 복고 열풍이 한창이다. ‘응답하라 1970년대’로 명명할 수 있는 ‘단색화’ 열풍으로 한국 미술계는 완전히 축제 분위기다. 물론 축제 밖, 또 다른 한편에서는 가늠할 수 있을 만큼 실망과 비난 그리고 허탈감도 공유한다. 밉든 좋든 단색화 노장들이 깔아놓은 아스팔트 위로 단색화 밖의 작가와 다음 세대 작가들도 세계로 뻗어 나아갔으면 한다. 지난 10년간 한국 미술계가 그랬던 것처럼.

  • INTERVIEW

    김옥은 옻칠을 벗긴다

    ‘옻칠’과 ‘벗긴다’는 말은 연결될 수 없었다. 정통 옻칠이란 열 번이고 스무 번이고 칠하며 완벽한 미감을 만들어내는 일이었으니까. 그러나 김옥은 ‘벗겨내며 칠하는’ 옻칠로 자신만의 아트 퍼니처를 만들고 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