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Gamers

게임하는 작가들: 시인 문보영

기술 발전과 가장 밀접한 매체는 게임이다. 사실적인 그래픽과 정교한 구조는 사람들을 게임에 깊이 몰입시킨다. 이제 게임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직접 만들게끔 유도하고, 사용자는 오직 자신만의 서사를 갖게 된다. 비록 로그아웃하면 그만인 휘발성 강한 서사라 할지라도 사용자의 뇌리에 오래도록 남아 다른 형태로 표현된다. 시나 소설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설치미술로 눈앞에 등장하기도 한다. 미래에는 게임이 선도적인 매체가 되리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는 지금, 게임에서 영감을 받는 작가들을 만났다. 게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게임과 예술의 기묘한 연관 관계를 추적했다.

UpdatedOn November 10, 2020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1/thumb/46492-433231-sample.jpg

시집 <배틀그라운드>, 게임 <배틀그라운드>

시집 <배틀그라운드>, 게임 <배틀그라운드>

시집 <배틀그라운드>

게임 <배틀그라운드>에 대한 연작시를 게임 맵별로 묶은 시집이다. <배틀그라운드>의 세계관에 직접 창작한 국적 불명의 두 여성 송경련, 왕밍밍을 투입해 그들을 시적 화자로 등장시킨다.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에란겔 초원 맵

에란겔 초원 맵

에란겔 초원 맵

게임 <배틀그라운드>

시집 <배틀그라운드>의 서문에 ‘배틀그라운드 용사 문지성에게’라고 썼는데, 그가 내 친오빠다. 오빠가 방 안에서 늘 헤드폰을 쓰고 플레이어들과 “거기 사람 있으니까 가지 마” “빨리 점프해” 같은 현실에선 잘 하지 않는 말들을 하는 것이 이상하게 흥미로웠다. 오빠 방에 들어가 게임하는 걸 지켜보니 더 재미있더라. 낙하산을 펼쳐서 어떤 섬에 떨어지는데, 어디로 떨어질지 모르고, 아무 데나 무작위로 생기는 원 안에 들어가야 체력이 닳지 않는다. 그런데 그 원이 점점 줄어들어 끝까지 살아남는 한 사람이 이기는 세계인 거다. 서사적으로 완전히 매혹됐다. 계속 오빠 방에 살다시피 하면서, 오빠는 책임감 있게 게임을 하고 나는 그 모습을 지켜봤다.

에란겔 초원 맵

가장 좋아하는 맵. <배틀그라운드>의 맵들은 외롭고 쓸쓸한 폐허 같은 풍경이고 비장미가 감도는 페이소스가 있다. 이 맵에 ‘갓카’라는 밀밭이 있는데, 햇빛이 드는 아름다운 곳이다. 위급한 상황임에도 풍경 때문에 기분이 좋아지는 이상한 매력이 있다.

세계관

게임은 하나의 거대하고 정교한 세계관 안에서 작동된다. 하지만 시는 각 편마다 세계관이 다르다. 그것이 시가 지닌 자유로움이기도 하지만, 시공간이 정해진 세계 속에서 역설적으로 시도 새로운 자유로움을 찾아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제 쓴 시의 화자가 오늘 쓴 시의 화자고, 연속성을 지닌다면 어떨까? 그런 생각으로 시집 <배틀그라운드>를 썼다.

게임 속 아이템과 시적 정황

게임 속엔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이 한가득 있다. 말하자면 이미 마련된 세트장 안에 들어가서 상상을 하는 것이다. 나는 시를 쓸 때 항상 어떠한 정황에서 시작하는 편이다. 이미지에서 시작하는 시인도 있고, 하나의 표현에서 시작하는 시인도 있는데, 나는 어떤 정황이 주어질 때 상상력이 발동되는 편이거든. 게임에는 주울 수 있는 정황이 너무나 많다.

공간

시를 쓸 때 공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책기둥>은 책에 대한 메타적 시들이 많다. 작가와 비평가와 독자가 잔뜩 등장해 갑론을박을 한다. <배틀그라운드>를 오빠의 게임 방에 들어가서 쓴 것처럼 <책기둥>은 도서관에서 썼거든. 아침, 점심, 저녁에 도서관 세 곳을 옮겨 다니면서 책에 대한 시를 쓰게 되더라. 나중엔 도서관이 살아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가상의 공간 <배틀그라운드>는 이방인의 시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어떤 시는 게임임을 환기하며 의식하고, 어떤 시는 실제 일어나는 전쟁 중 쓰인 시처럼 비장했다. 요즘 꽂힌 공간은 내 방이다. ‘내 방에서 살아남기’로 유튜브 브이로그를 하고 있다.

게임에 대한 시라니

게임에 대한 시집을 낸다고 할 때 낯설게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었냐고? 그런 사람도 있었겠지. 하지만 대체로 그렇지 않았다. 연배가 있으신, 이를테면 황인숙 시인님께서 <배틀그라운드>를 재미있게 읽었다고 말해주셨다. 동시대 시를 쓰는 사람들은 열려 있다. 어떤 시도를 해도 놀라지 않는다. 나에게 시는 가장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하기다. 가끔 소설을 써놓고 내가 시라고 우기는 나태함을 보일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모바일 게임 <스카이>

모바일 게임 <스카이>

모바일 게임 <스카이>

모바일 게임 <스카이>

모바일 게임 <스카이>

모바일 게임 <스카이>

모바일 게임 <스카이>

영혼을 구하고 날개 빛을 전부 모으면 죽는 게임이다. 죽는 게 목표다. 숭고한 죽음이지. 보통 게임은 목적지에 가는 게 목표지만, 이 게임에선 영혼을 구하지 않으면 목적지에 가봤자 문이 열리지 않는다. 목적지에 가는 것보다 더 많은 이들을 구하는 게 중요하다. 개발사에서는 ‘친절함을 가지고 서로를 찾는 게임’이라고 소개한다. 이 세계엔 적이 없고, 영혼을 찾으면 여러 동작을 알려준다. 인사하는 동작, 포옹하는 동작 등. 동작엔 아무런 기능이 없다. 그래서 좋다. 게임이라면 으레 경쟁하고 싸워서 살아남아야 하는데, 이건 그냥 휴식을 취하듯 할 수 있다.

소설 <스카이>

이 소설에 영감을 받아 단편을 하나 썼다. 제목은 <누군가를 사랑할 때 어떤 시선으로 사랑하는지에 관한 소설>이다. 친구와 손을 잡으면 체력이 늘어나고 포옹을 하면 날 수도 있을 만큼 체력이 강해진다. 그렇게 손을 잡은 이들이 새벽에 사라지는 이야기다. 손 글씨로 써서 우편으로 독자에게 글을 보내는 서비스를 했는데, 그때 보낸 소설 중 한 편이다.

Dial-A-Poem

미국 시인 존 기오르노가 1960년대에 시도한 방식인데, 전화로 시를 낭독해주는 서비스다. 코로나 시대에 시 낭독회조차 제대로 열기 어려운 마당이니, 이렇게 전화로 시를 낭독해주는 서비스를 해보면 어떨까 싶었다. 원하는 독자에게 일대일로 전화를 걸어 시만 낭독하고 끊는 거다. 나아가, 지면이 아니라 전화로 신작 시 발표를 하는 건 어떨까? 오래전에 시도되었지만 지금의 게임과도 닮은 점이 있는, 영감을 주는 서비스다.

게임이 된 시, 시가 된 게임

시도 게임이 될 수 있고 게임도 시가 될 수 있다. 시를 읽다가 QR코드를 찍으면 그 시 속 맵으로 들어가는 형식도 가능하지 않을까? 텍스트라는 형식을 포기할 수도 있다. 시는 낭독으로서도 존재할 수 있으니까.

<블랙미러: 밴더스내치>

영화는 일찍이 문학보다 먼저 게임 같은 형식을 시도했다. 넷플릭스 영화 <블랙미러: 밴더스내치>는 게임 프로그래머가 ‘밴더스내치’라는 게임을 만들며 진행되는데, 선택지를 어떻게 고르느냐에 따라 다른 이야기가 펼쳐진다. 영화 속 주인공도 어느 순간 ‘나’라는 관객이 선택을 하고 있음을 깨닫고, 엔딩도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시도 이렇게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시에는 결말이 없으니 선택에 따라 다른 엔딩을 보여주는 건 어렵겠지만, 선택에 따라 다른 시에 도착하게 되는 이야기는 가능하다. 독자의 선택지에 따라 ‘몇 쪽으로 가시오’라는 안내를 할 수 있겠지. 그런 시도의 시집도 재미있겠다.

TRPG

보드게임 <뱅>과 <페이퍼사파리>를 좋아한다. 게임 설명서를 읽으면 엄청나게 정교하고 수학적이며 천재적이다. 수많은 변수를 다 생각해내면서 만들어내야 하니까. 보드게임을 만든다는 건 어떤 면에서 한 세계를 만들어내는 연습일 것이다.

문보영 시인

문보영 시인

스물다섯의 나이에 시집 <책기둥>으로 김수영 문학상을 수상한 문보영 시인은 책에 대한 시 <책기둥>부터 게임에 대한 시 <배틀그라운드>까지, 하나에 꽂히면 끝까지 써낸다. 게임을 신의 시점에서 한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면, 문보영의 시는 때때로 게임처럼 작동한다. 신이라는 플레이어의 관점에서 진행되는 가상의 세계관 같고, 등장인물은 때때로 NPC 혹은 다른 유저 같으며, 게임 같은 방식으로 움직인다. 게임과 시, 가장 멀어 보이지만 실은 가까운 관계에 대하여 문보영 시인에게 이것저것 캐물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이예지
GUEST EDITOR 정소진

2022년 11월호

MOST POPULAR

  • 1
    세상에 없던 맛
  • 2
    HOLIDAY GIFT INDEX #1
  • 3
    2024 HOLIDAY ISSUE
  • 4
    2am이 줄 수 있는 것
  • 5
    Viva, Las Vegas!

RELATED STORIES

  • LIFE

    건조한 겨울로부터 당신의 헤어를 케어해 줄 방법

    건조하고 찬바람이 부는 겨울철에도 건강하고 윤기 나는 헤어와 두피를 유지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과 제품을 소개한다.

  • LIFE

    인생 최고의 홀리데이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홀리데이가 있다.

  • LIFE

    Radiant Innovation

    글로벌 출시 10주년을 맞이한 아이코스가 스티브 아오키와 만났다. 페스티벌의 에너지를 입은 아이코스 X 스티브 아오키 10주년 한정판 시리즈.

  • LIFE

    MAGICAL HOLIDAY

    마법 같은 순간을 만들어줄 열 가지 아이템.

  • LIFE

    연말은 무대 위에서

    12월 무대행을 택한 5팀의 공연 소식.

MORE FROM ARENA

  • FASHION

    Infinity of the Worldview

    시계 역사상 과거와 현재의 조화를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 중 하나가 바로 티쏘의 PRX 워치. 1978년 탄생한 이 전설적인 시계는 최근 매혹적인 컬러를 새롭게 선보이며 브랜드의 세계관을 또 한번 넓히는 데 성공했다.

  • LIFE

    NEW WEAPON

    여포에게는 적토마가, 아서 왕에게는 엑스칼리버가 있다. 영웅에게는 그에 걸맞은 장비가 존재하는 법. 2020년, 게이머들을 영웅으로 만들어줄 장비는 무엇일까?

  • LIFE

    북저널리즘

    뉴미디어가 언급된 것은 몇 해 전 일이다. 이제 뉴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와 어깨를 견주는 규모로 성장했다. 시사, 정치, 사회,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뉴미디어 시장을 보며 의문이 솟았다. 밀레니얼 세대가 뉴스에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 그들이 뉴미디어를 구독하는 이유는 또 무엇일까. 새로운 세대의 미디어는 어떻게 변화하고 또 달라질까. 뉴미디어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 LIFE

    새로운 세대의 스타일

    MZ 세대는 모든 측면에서 기존 세대와 확연한 차이를 드러낸다. 디지털, 전자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그들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 FASHION

    배우 문상민의 시간

    하루에 아홉 번, 그와 나란히 마주 앉은 꿈을 꾸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