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EATURE MORE+

아시아 라이징

요즘 힙스터들이 열광하는 아시아 콘텐츠는 모두 ‘88 라이징(88 Rising)’을 통한다. 제임스 마오(James Mao)는 이들과 함께 영상 디렉팅을 맡고 있는 쿨한 청년이다.

UpdatedOn February 08, 2019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208-354415-sample.jpg

이국적인 무드의 프린트 퍼 재킷은 겐조 옴므, 다크 실버 네크리스와 다크 실버 링은 모두 자라 제품.


미국에 있는 아시아 커뮤니티가 지금처럼 뜨겁게 팽창된 적이 있었던가 싶다. 아마도 대중에게 강렬한 첫인상을 남긴 것은 리치 치가의 ‘Dat $tick’ 뮤직비디오부터였을 거다. 분홍색 폴로 셔츠에 힙색을 찬 동양 소년이 뿜어내는 스웨그가 유튜브를 강타했다. 이 영상을 기점으로 리치 치가는 리치 브라이언으로 이름을 바꾸고 하이어 브라더스, 키스에이프, 조지 등과 작업했다. 이들의 활동엔 션 미야시로가 창립한 레코드 레이블, 비디오 및 마케팅 회사인 ‘88라이징’이 있다.

아시아 이민자의 문화 창고가 되겠다는 원대한 목표 아래 재능 있고 힙한 아시아 아티스트들을 모았다. 영상 디렉터인 제임스 마오는 이들과 함께 VHS 테이프 같은 로파이 느낌의 비디오를 찍으며 ‘힙’을 더하고 있다. 그렇다고 88 라이징 크루 정도로만 생각하기엔 활동 영역이 넓다. “파슨스 대학 시절, 주변에 디자이너 친구들이 많았다.

자연스럽게 패션위크 때 런웨이 쇼를 위한 영상 작업을 시작하면서 ‘영상 디렉터’ 일에 발을 들였다. 릴 우지 버트의 뮤직비디오를 만들면서부터 커리어가 확장되기 시작했다. 예산도 훨씬 많아지고.(웃음)” 2000년대 초반에 ‘어린이’였던 제임스는 그 당시 힙합이나 랩 뮤직비디오들을 보며 자랐다. 그래서 그가 만드는 뮤직비디오와 콘텐츠들은 홈 비디오 영상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강렬한 네온 컬러 혹은 지글거리는 로파이 화질이 매력적이다.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208-354414-sample.jpg

빛 반사 소재의 후디는 스톤 아일랜드 제품.


그렇게 뮤지션들과 교류하며 ‘힙’한 뮤직비디오를 찍어오다 88라이징을 만났다. “내 친구 피닉스를 통해 소개받았다. 88라이징 초기에 창립자인 션과 작업을 많이 했던 친구고, 하이어 브라더스와 일하면서 붐업이 됐다.” 제임스는 이들과 협업해 힙합이나 패션 같은 젊은이들의 문화를 통해서 서구권 아시아 이민자들의 문화를 알리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내가 자라온 시절에만 해도 아시아인이 이야기의 중심이었던 적이 없었다.

하지만 요즘은 확실히 분위기가 다르다. ‘아시아 젊은이들이 뭔가 쿨한 걸 만들어내는구나’라면서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나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고 싶다. 아시아 커뮤니티 속 사람들, 혹은 아시아 커뮤니티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넘어서 어떠한 인종적 배경 지식이 없더라도,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다.”

‘주류’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 제임스는 1990년대 젊은이답게 디지털적인 인간이다. 일을 하지 않을 때는 소프트웨어를 찾아보거나 3D 작업 혹은 AR, VR에 필요한 코딩을 공부하는 데 시간을 쏟는다. “나는 영화 영상 등을 공부하지 않았다. 그래서 전통적인 방식이나 장비들을 고집하지 않는다. 나에게는 아이폰 포토나 고프로, DSLR 어떤 것이든 다 상관없다. 쿨하게 보일 수 있다면 뭐든지 다 사용할 수 있으니까. 미디어들을 콜라주해서 새로운 느낌을 창조해내는 것, 그게 내 장점이다.” 88라이징은 최근 몇 년간 아시아 콘텐츠 시장의 저변을 넓혀놨다. 제임스 마오는 이것이 힙스터들만의 리그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그렇게 흘러가게 내버려두지 않을 거라는 건, @mamesjao를 보면 알 수 있을 거다.

<에스엠라운지>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서동현
PHOTOGRAPHY 레스
STYLIST 류용현
HAIR&MAKE-UP 이현정

2019년 02월호

MOST POPULAR

  • 1
    Special Thanks to
  • 2
    서울의 만두
  • 3
    Boy's Diamond
  • 4
    Master of Materials
  • 5
    MOOD FOR NOSTALGIA

RELATED STORIES

  • FEATURE

    오늘의 공예

    AI와 글로벌 대량생산의 시대에도 누군가는 입으로 유리를 불고 닥종이에 옻칠을 한다. 기술을 닦고 고민을 모아서 공예품을 만든다. 젊은 공예가의 공예품을 모으고 그에게 설명을 부탁했다.

  • FEATURE

    Special Thanks to

    <아레나>에 몸담고 있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시간 동안 마음 깊이 감사했던 그대들을 향해 진심을 가득 담은 헌사를 보냅니다.

  • FEATURE

    17년이 흐른 뒤

    2006년 3월호, 표지는 주드 로, 키워드는 블랙칼라 워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한국에 처음 나온 해다. 그때 <아레나>는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 어떤 예언이 맞고 어떤 예언이 빗나갔을까. 거기 나온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동안 세상에는 무슨 일이 생겼을까.

  • FEATURE

    어느 어부의 하루

    겨울 동해 바다 위에서 문어를 낚는 어부의 하루를 따라갔다.

  • FEATURE

    2022 월드컵 복기

    크리스마스쯤 월드컵이 반짝였다가 새해가 되자 신기루처럼 사라졌다. 선수들은 다시 리그로 돌아가 축구를 계속하고, 우리 주변에는 몇 명의 스타가 남았다. 또 무엇이 남았을까? 월드컵은 스포츠를 넘어 비즈니스 곳곳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카타르의 현장 분위기는 어땠을까? 좋은 대답을 해줄 사람들을 찾아 직접 물어보았다.

MORE FROM ARENA

  • FASHION

    Log In To Life

    길고 긴 낮에 다시 만난 이상엽의 어떤 하루.

  • INTERVIEW

    Joy with S.T. Dupont!

    에스.티. 듀퐁의 CEO 알랑 크레베(Alain Crevet)가 한국을 찾았다. 최근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마이 네임>, JTBC <재벌집 막내아들>을 재밌게 보았다는 인사를 건네며 마주 앉은 그는 1년에 한 번 이상 한국을 방문할 만큼 한국 시장에 애정이 깊기로 유명하다. 인터뷰를 통해 올해로 창립 1백50주년을 맞은 에스.티. 듀퐁 하우스의 이야기와 신년 선물로 제안하는 특별한 아이템들을 소개한다

  • FASHION

    NEW YEAR'S BOW

    왼손으로 오른손을 덮으며 공수, 정갈한 몸과 마음으로 세배를 올립니다.

  • FEATURE

    'SNOW CAMPERS' 파블로 칼보

    그들이 혹한의 설원으로 간 까닭은 무엇일까. 스노 캠핑 좀 한다는 세계 각국의 남자들에게 물었다. 눈 덮인 산맥은 혹독하지만 경이롭고, 설원은 침묵하는 아름다움이라 한다. 그리하여 설원에서 무엇을 보았느냐 물으니, 그곳에는 고독한 자신이 있었다고 답했다. 대자연의 겨울을 거울 삼은 스노 캠퍼들이 말하는 자유와 고독이다.

  • FASHION

    NEW STANDARD

    매일 지나는 거리에서 마주친 오묘한 서울 사람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