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The World News

서울 공간 여행

올 1월, 콘셉트 있는 공간들이 더 가득해졌다.

UpdatedOn January 17, 2019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130-352516-sample.jpg

 1  책도 읽고 밥도 먹고 쇼핑도 하는 서점

아크앤북은 기존 서점이 가진 경계를 모두 허물었다.

‘아크앤북’에 들어서면, 서점이 아니라 오래된 호텔 로비가 아닌지 잠시 착각하게 된다.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공간으로 클래식한 분위기를 자아내기 때문. 호텔 컨시어지가 연상되는 계산대와 강렬한 색감이 돋보이는 빨간색 전화 부스인 도서검색대, 8천여 권의 책으로 쌓은 아치형 책 터널까지. 사진을 찍지 않고 지나치기 어렵다. 책의 배치도 흥미롭다. 데일리, 위켄드, 인스퍼레이션, 스타일의 4개 테마로 서가를 구성했는데, 테마별로 관련 도서와 문구를 편집숍처럼 진열했다. 이른바 ‘츠타야식 큐레이션’이다. 책을 둘러보며 자연스레 쇼핑도 할 수 있다. 책을 읽는 장소 또한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기존 서점은 한 테이블에 사람들이 빙 둘러앉아 책을 읽었다면, 아크앤북은 서가 사이사이에 안락한 소파가 있다. 음료를 둘 수 있는 홀더도 있고 전자기기 충전도 가능하니 작은 아지트인 셈이다. 서점을 지나다 보면, 레스토랑과 카페, 편집숍도 곳곳에 보인다. 서가로 벽을 구성해 자유롭게 레스토랑과 카페, 서점을 드나들 수 있다. 식사를 대기하며 책을 살펴보기도 하고 구매를 하지 않은 책도 레스토랑에 가져와 읽을 수 있다. 슈퍼주니어 헨리가 운영하는 샤오짠, 태극당, 카페 식물학 같은 식음료 매장부터 라이프스타일 숍 띵굴까지 아크앤북을 중심으로 구석구석 다양한 콘셉트의 가게가 숨어 있다. 

주소 서울시 중구 을지로 29 지하1층
문의 070-8822-4728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130-352517-sample.jpg

 



 2  잡지 서점의 탄생

이제 비닐에 싸인 잡지를 바라만 보지 않아도 된다.

잡지 애호가들이 모여 새로운 콘셉트의 공간을 열었다. 누구나 쉽게 펼쳐볼 수 있는 잡지 2백80여 종이 한곳에 모여 있는 ‘종이잡지클럽’이다. “잡지라는 콘텐츠는 여전히 볼 만한 가치가 있지만, 사람들이 보지 않으면 의미가 없어요. 서점을 가도 많은 잡지는 비닐에 싸여 있죠. 더 많은 이들이 잡지를 찾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시작하게 됐어요.” 종이잡지클럽은 과월호와 최신호의 경계를 두지 않는다. 잡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기 위해 매달 주제를 선정해 그에 맞는 잡지를 큐레이션할 뿐 아니라, 좋은 문장을 SNS에 공유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잡지를 탐독하고 교류할 수 있는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외국 기사를 번역해주는 번역 마켓, 인상 깊은 페이지를 소장할 수 있는 스크랩북 서비스, 사람들이 자연스레 대화할 수 있는 커뮤니티 모임까지. 신선한 기획이 절실하다면, 종이잡지클럽을 방문해보자. 

주소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8길 32-15 지하 1층
문의 uni_verse@wereadmagazine.com



 3  연결의 ‘장’

창작자의 작업실이자 쇼케이스이기도 한 공간이 탄생했다.

작은 골목을 따라 드나들며 숨어 있는 가게를 찾는 재미가 쏠쏠한 연남동. 이번에도 새로운 골목을 찾아 나설 곳이 생겼다. 바로, 어반플레이와 로컬스티치가 공동 기획한 복합 문화 공간 ‘연남장’이다. 외관부터 범상치 않다. 철제 대문을 힘껏 열면 연남동에 왔음을 잊게 된다. 화려한 샹들리에, 한가운데 널찍이 놓여 있는 골드 테이블, 과감한 패턴이 어울려 고풍스러운 멋을 낸다. 실제로, 연남장은 1980년대 유리 공장을 리모델링해 완성됐다.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층마다 창작자들의 다양한 ‘장’이 펼쳐진다. 1층에는 어반플레이의 식음료 브랜드 카페 ‘연남방앗간’과 한남동의 유명 레스토랑 ‘윤세영 식당’이 입점했고, 지하는 창작자의 콘텐츠를 소개하는 전시장, 2~3층은 콘텐츠 창작자들의 공유 오피스로 운영된다. 연남장은 앞으로도 누구나 콘텐츠를 쉽게 경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하도록 공연과 전시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5길 22
문의 02-3141-7978

3 / 10
/upload/arena/article/201901/thumb/41130-352518-sample.jpg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ORDS 박지은(어시스턴트 에디터)
PHOTOGRAPHY 한준희, 이수강, 연남장

2019년 01월호

MOST POPULAR

  • 1
    올봄, 이렇게만 입으세요
  • 2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 3
    다시 콜드플레이!
  • 4
    Flashback In Shanghai
  • 5
    홍화연이 향하는 길

RELATED STORIES

  • LIFE

    별들의 향연

    올해의 미식 신은 유난히 새 얼굴로 가득하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 & 부산 2025>에서 새로 1·2·3스타를받 은 레스토랑과 ‘2025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에 처음 오른 레스토랑을 살펴봤다. 면면이 군침 돈다.

  • LIFE

    Dear My

    봄바람 불어 왠지 애틋해지는 5월. <아레나> 에디터들이 가족, 친구, 연인을 떠올리며 선물하고 싶은 제품을 골랐다. 고심해 고른 선물과 진솔한 이유를 읽다 보면 어느새 당신도 누군가 떠오를 테다.

  • LIFE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올해 6월, 페이스 키피에곤이 여성 최초로 1마일(1.6km)을 4분 안에 완주를 하는 도전에 나선다.

  • LIFE

    Take Eat Slow

    한 끼를 먹더라도 건강하게! 저속노화를 위한 비건 맛집 5

  • LIFE

    코첼라를 접수하다

    퍼스널 컬러가 '코첼라'임을 증명한 6팀의 하이라이트 신.

ARENA FILM MORE+

MORE FROM ARENA

  • CAR

    자동차와 공간이 만났을 때

    자동차 브랜드가 만든 공간이 늘어났다. 자동차보다 문화를, 판매보다 친근함을 내세운다. 그러는 사이 브랜드와 일상 속 접점이 생긴다. 자동차 브랜드의 새로운 소통법이다.

  • LIFE

    여행의 추억

    바다 건너 다른 나라로 가지 못하는 연말, <아레나> 에디터들이 지금 당장 다시 가고 싶은 장소를 한 곳씩 꼽았다. 마음에 깊게 남은 풍경과 마주친 사람들, 향토 음식과 사소한 물건까지 타지의 그리움을 한데 모아.

  • LIFE

    마놀로 블라닉의 첫 남성 부티크

    <섹스 앤 더 시티> 속 캐리만의 신발이 아니다. 남성들을 위한 마놀로 블라닉이 런던에 들어섰다.

  • FASHION

    중무장 아우터들: Overcoat

    혹한 대비가 필요한 12월, 보다 견고하고 멋지게 중무장할 수 있는 아우터들.

  • LIFE

    2021년, K-팝은 무엇으로 사는가

    아이돌이라는 존재가 판매할 수 있는 것엔 어떤 것이 있을까? 연예인의 본업과 주 수익이 음악, 공연, 드라마, 영화, 예능 출연 그리고 광고라 한다면, 팬들의 절대적인 사랑으로 먹고사는 아이돌은 태생부터 고전적인 팬 사인회, 팬 미팅 등 팬 서비스라는 의무가 필연적으로 동반된다. 이 소통은 점점 더 내밀해지고, 플랫폼마저 다각화되어 아이들과 팬의 일대일(처럼 보이지만 아이돌에겐 일대다인) SNS 창구인 버블, 시도 때도 없이 켤 수 있는 브이라이브 등 새로운 수익 창출원이 아이돌 산업에서 빠져선 안 될 요소로 떠올랐다. 소통을 얼마나 잘하는지가 ‘아이돌력’으로 가늠되는 시대, 지금 K-팝 산업은 무엇으로 사는가?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