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그라플렉스에게 묻다

궁금했다. ‘몽블랑×그라플렉스 볼드 에디션’에서 그가 말하고자 한 것은 과연 무엇인지.

UpdatedOn December 03, 2018

/upload/arena/article/201811/thumb/40718-345838-sample.jpg

 “컬래버레이션 작업을 의뢰받고 정말 많은 고민을 했다. 공통적으로는 ‘도전’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래픽 아티스트와 일러스트레이터, 시각 디자이너와 토이 작가 등 많은 수식어가 따라 다닌다.
부끄럽지만 다 했다. 3D 그래픽 디자이너로 시작해, 피겨를 만들기도 하고, 아트 디렉터로 활동도 했다. 요즘엔 그냥 아티스트라고 불러주는 것이 가장 편하다.

그라플렉스는 무슨 뜻인가?

고등학생 때 그라피티를 했었다. 당시 그라피티와 그래픽을 오가는 아티스트가 되는 것이 꿈이었는데, 그래서 ‘유연하다’라는 뜻의 플렉서블(Flexible)을 결합해 그라플렉스라 이름 지었다. 말하자면, ‘그라피티와 그래픽을 유연하게 오간다’는 뜻이다. 고등학생 때 지은 이름이라 지금은 좀 창피하다.(웃음)

그라플렉스의 첫 시작 이후 활발한 활동을 하기까지의 과정이 궁금하다.
어렸을 때부터 만화 보는 걸 좋아했다. 거기서부터 시작된 것 같다. 화가가 되기보단 만화가를 꿈꿨고, 그래픽이 ‘끝내주는’ 게임을 만들고 싶기도 했다. 그래서 게임을 전공했다. 졸업하자마자 게임 회사에 들어갔는데, 회사원은 그저 위에서 시키는 일을 해야 하는 사람이더라. 그러다 피겨 아티스트인 쿨레인을 만났다. 그와 함께 NBA 피겨 시리즈를 제작하고 다이나믹 듀오가 이끄는 아메바 컬처(Amoeba Culture)의 아트 디렉터로 합류해 앨범 재킷, 공연 포스터 등 비주얼 작업을 진두지휘하기도 했다. 그때부터 틈틈이 내 개인 작업을 병행해왔는데, 어쩌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

당신의 작품은 귀엽고 사랑스러운 반면, 모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어떤 메시지를 담고자 하는가?
내 작업은 나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를테면 회사를 처음 그만뒀을 때, 사실 많이 두려웠다. 나의 분신과도 같은 캐릭터인 ‘볼드’는 그렇게 탄생했다. 볼드는 굵은 선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담대함이라는 뜻도 담고 있지 않나. 그때부터 굵은 선을 이용해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 내 작품을 보면 동그라미와 세모 같은 도형도 많이 등장한다. 세상에는 굉장히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그것들은 결국 도형에서 기반한 것이다. 나는 도형들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한다. 가령 세모로 저항을 나타낸다든지, 네모에 사선을 그어 중력을 표현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은 무엇입니다’라고 단정 짓고 싶지는 않다. ‘제가 이런 상황에 이런 그림을 그렸습니다’ 정도만 이야기하면, 자유롭게 작품을 이해해주길 바란다.

작품을 보면 유독 손이 많이 등장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나는 만화가를 꿈꿨었다. 손은 클래식 카툰에서 감정을 나타내는 데 많이 쓰인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손동작을 많이 그렸는데, 그것이 이젠 나만의 아이덴티티가 됐다.

주로 영감받는 곳이 있다면?
정말 많은 것을 본다. TV, 만화, 유튜브, 그림, 넷플릭스…. 이 세상엔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이 너무 많다. 닥치는 대로 보다 보면, 퍼뜩 영감이 떠오를 때가 있다.

수많은 글로벌 브랜드들과 협업을 진행했다. 대표적인 작업을 소개한다면?
YG(엔터테인먼트) 베어로 알려진 크렁크(Krunk) 캐릭터를 개발했고, 던킨도너츠의 강남과 홍대 매장을 디자인했다. 가장 많이 협업한 곳은 나이키인데, 코엑스에서 진행한 덩크 갤러리와 에어맥스 데이, 월드컵 기념 티셔츠 등을 제작한 바 있다. 뉴에라, 버드와이저와의 컬래버레이션 작업도 기억에 남는다.

협업 파트너를 선정하는 기준이 있을 것이다.
내가 잘 알고, 또 좋아하는 브랜드여야 한다. 그래야 내가 어떤 그림을 그리면 좋을지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든.

이번 몽블랑과의 컬래버레이션은 어땠나?
대한민국 남자치고 몽블랑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당연히 아주 잘 아는 브랜드였고, 또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였기 때문에 흔쾌히 컬래버레이션 제안에 응했다. 고급스러우면서도 진취적인 브랜드라고 생각한다.

특별히 이번 컬래버레이션은 몽블랑 향수와 진행했다. 평소 몽블랑 향수에 대한 이미지는?
매일 뿌리기엔 캐주얼한 느낌의 ‘몽블랑 레전드 스피릿’이, 특별한 모임이 있는 날엔 ‘몽블랑 레전드’가 잘 어울릴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몽블랑 레전드 스피릿’이 더 좋다. 특별한 모임이 별로 없어서.(웃음)

‘몽블랑 레전드’와 ‘몽블랑 레전드 스피릿’에 각각 다른 그림을 그렸다.
컬래버레이션 작업을 의뢰받고 정말 많은 고민을 했다. 내가 아는 몽블랑 브랜드에 대한 이야기를 할지, 아니면 브랜드의 기원이자 로고인 몽블랑산에 대한 그림을 그릴지 고민이 깊었다. 결국 둘 다 하기로 했다. 우선 ‘몽블랑 레전드’에는 몽블랑의 브랜드 스토리를 담았다. 전체적으로는 몽블랑의 도전 의식을 그렸는데, 가령 뾰족한 삼각형으로 몽블랑의 시작이 된 만년필 펜촉을 형상화한 식이다. 내가 아는 몽블랑은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도전해온 브랜드거든. 또 흑백을 사용한 건, 만년필 잉크가 보통 검은색이어서다. 반면 ‘몽블랑 레전드 스피릿’에는 몽블랑산을 형상화했는데, 흰색과 블루 계열로 우뚝 솟은 설산과 하늘을 표현했다. 그림 속에 등장한 손은 산을 정복하려는 사람의 의지 혹은 도전을 나타낸다. 공통적으로 ‘도전’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이 이 제품을 선택했으면 하는가?
음…. 사실 향수는 지극히 개인의 취향으로 선택하는 제품이다. ‘이 향은 남성적이다’ ‘이 향수에선 아빠 스킨 냄새가 난다’ 등은 선입견이라고 생각한다. 향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이야기를 담을 수 있다. 내가 경험한 몽블랑 향수는 누구에게나 아주 잘 어울린다.

앞으로 계획이 궁금하다.
우선 당장 대구에서 아트 페어가 있다. 그리고 12월 대만에서 열리는 어반 아트 페어에도 참가한다. 내년엔 한국에서 두 차례 개인전을 열고, 대만과 필리핀에서 개인전을 준비 중이다. 여기까진 결정된 것이고, 여태까지 그래 왔듯, 다양한 활동을 하고 싶다.

욕심이 정말 많은 것 같다. 최종 꿈이 있다면?
그냥 죽을 때까지 원하는 걸 하고 싶다. 조금 쓸데없는 짓이라도.(웃음)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이승률
PHOTOGRAPHY 한준희

2018년 12월호

MOST POPULAR

  • 1
    Happy Year of the Snake!
  • 2
    아레나 블라인드
  • 3
    Light Right
  • 4
    ETERNAL COIL
  • 5
    청소를 합시다

RELATED STORIES

  • INTERVIEW

    <아레나> 2월호 커버를 장식한 배우 에반모크

    패션 아이콘 배우 에반모크의 <아레나> 2월호 커버 공개!

  • INTERVIEW

    The Poles Is Goin' High

    살면서 마주하는 ‘순간의 극점’을 노래하겠다. 그렇게 다짐한 소년들은 10년 전 밴드 더 폴스를 만들었다. 더 폴스는 이제 지구 반대편에서 우리 음악을 듣는 이들이 생겼다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명확히 찾았다고, 파도는 충분히 견뎠으니 이제 만조를 맞이할 차례라고 말했다. 다니엘, 경배, 황제 세 멤버가 들려준 밴드 더 폴스의 여행담.

  • INTERVIEW

    겨울, 아침, 이승윤

    이승윤에게 무대와 노래를 빼고 보니 느긋하고 나른한 남자가 서 있었다. 벌써 19년째 노래를 부르는 그의 무대 밑 일상은 어떨까. 지난 한 해를 함께 회고하며 이야기를 나눴다.

  • INTERVIEW

    최백호가 머문 자리

    가수 최백호는 사람들에게 기억되길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자신의 노래는 세상에 남을 거라고, 그때 거짓 없고 한결같은 노래로 들리길 바란다고 했다. 49년 차 가수 최백호가 들려준 이야기에는 악수 후에 남은 온기 같은 것이 머물러 있었다.

  • INTERVIEW

    심은경의 힘

    심은경은 이제 갓 서른을 넘겼지만, 인생의 3분의 1 이상을 연기자로 살아왔다. 그런 그는 한때 영화가 세상의 전부라 믿었지만, 지금은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고 말했다. 그 깨달음이 심은경의 힘이다. 배우 심은경과 나눈 영화, 그리고 인생 이야기.

MORE FROM ARENA

  • AGENDA

    전설의 그 형님

    ‘전설’이라고 하면 대개 과거의 영광을 의미한다. 그런데 스팅의 시간은 거꾸로 흐르나 보다. ‘더 폴리스’ 시절의 에너지 그대로, 록 스피릿으로 무장한 형님이 돌아왔다.

  • LIFE

    국뽕클럽 K-WEBTOON

    한국인을 몰입하게 만드는 2020년 국뽕 콘텐츠들을 모았다. 이들과 클럽이라도 하나 결성해야 할 판이다.

  • LIFE

    김은희를 위한 변명

    김은희 작가의 <지리산>이 방영 중이다. 지리산을 배경으로 한 스릴러인데 주인공 전지현의 미모도 돋보이지만 더 돋보이는 게 있다. 등산복 브랜드 ‘네파’다. 광고인지 드라마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의 비중을 자랑한다. 지리산에 네파가 버무려져 혼돈의 카오스 현상이 발생해, 시청자들은 ‘하산해야 하나’라며 애매한 피드백을 남겼다. <지리산>과 네파의 컬래버레이션을 남긴 김은희를 위한 변명.

  • FASHION

    Enfant Terrible

    조각나고 부서진 동심을 품은 어른이들의 하루.

  • INTERVIEW

    How to become the Justin Min

    미국에서 나고 자란 민홍기는 공부를 잘했다. 아이비리그에 진학했고, 잡지사 기자로도 일했지만, 연기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인터넷에 ‘연기하는 법’을 검색하며 오디션을 보러 다녔다. <애프터 양> <엄브렐러 아카데미> <성난 사람들(비프)>의 바로 그 배우. 저스틴 민이 말하는 저스틴 민 되는 법.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