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베를린의 국제적 식탁

지금 베를린에서는 응집된 범인종적 문화 에너지가 뻗어간 자리마다 다채로운 미식 신이 피어나고 있다.

UpdatedOn June 27, 2018

3 / 10
/upload/arena/article/201806/thumb/38842-313548-sample.jpg

 


베를린의 중심인 미테 지구. 거리를 걷다 보면 수십 개의 인종과 언어가 뒤섞이고 흩어진다. 비단 관광객뿐만이 아니다. 독일의 통일 수도이자 전 세계 젊은 아티스트들이 사랑하는 도시, 유럽 스타트업의 중심으로 거듭난 베를린.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서울 못지않은 몸살을 앓는 도시이지만 베를린에서 삶을 꾸리는 외국인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거리에 늘어선 레스토랑들을 보면 이를 실감할 수 있다. 여기엔 지난 반세기의 이민 역사가 오롯이 담겨 있는 듯하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노동자로 유입된 터키인을 비롯해 동독 시절에 건너와 성공을 거둔 베트남인들, 1980년대 이후 냉전 체제 붕괴와 내전으로 몰려온 동유럽, 발칸반도 사람들, 최근 내전의 고통에서 탈출한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 난민까지. 이들이 보여주는 다채로운 맛과 문화가 베를린을 더욱 맛깔스러운 도시로 만들고 있다.  

살히노 Salhino

세계적으로 조지아 여행과 음식이 떠오르고 있다. 러시아와 터키, 아제르바이잔, 흑해와 접한 동유럽 국가다. 지리적 위치로 예상할 수 있듯 러시아 및 동유럽과 중동의 영향을 고루 담은 요리를 기대하면 된다. 대표적 음식은 양고기 또는 닭고기를 꼬치에 꿰어 구운 ‘므츠와디’, 토마토, 가지, 감자를 넣고 끓인 양고기 스튜 차나히, 조지아식 고기만두인 낀깔리, 쫀득한 치즈파이인 하차푸리 등이 있다. 베를린 서쪽에 위치한 살히노는 조지아인들이 인정한 맛집으로 뛰어난 솜씨의 전통적 메뉴들을 맛볼 수 있다.

주소 Waitzstraße 1, 10629 Berlin
 

3 / 10
/upload/arena/article/201806/thumb/38842-313546-sample.jpg

 

푸틴 키친 The Poutine Kitchen

감자튀김을 두고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등이 오래도록 자존심을 겨뤄왔다. 그런데 여기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온 ‘푸틴’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독일의 감자튀김 ‘포메스’와 겨룰 만한 푸틴의 매력은 소스 및 토핑에 있다. 클래식 버전은 길쭉하게 잘라 튀긴 감자 위에 진한 그레이비소스, 치즈 커드를 올려 먹는 것이다. 푸틴 키친의 대표 홀게르 뵈크너는 독일인이지만 과거 영화 마케팅을 담당하며 캐나다 출장 중에 맛본 푸틴의 맛에 매료돼 푸틴 전문점을 열었다. 무엇보다도 자랑스럽게 내세우는 것은 치즈 커드. 독일에서 구할 수 없어 근교 낙농장과 함께 직접 개발했는데, 치즈 커드를 구입하기 위해 찾는 이들도 많다. 퀘백 클래식, 코리안 베이컨, 베를린 등 총 6가지 맛이 준비되어 있으며 딥 프라이 치즈 커드, 콘 독 등의 사이드 메뉴도 인기가 좋다.

주소 Arminiusstraße 2-4, 10551 Berlin

 

3 / 10
/upload/arena/article/201806/thumb/38842-313551-sample.jpg

 

바이트 클럽 Bite Club

다양한 국적의 음식을 한자리에서 맛보고 싶다면 바이트 클럽만 한 곳이 없다. 바이트 클럽은 5월부터 8월까지 매달 두 번째 주 금요일에 ‘스트리트 푸드 파티’를 진행한다. 각기 다른 출신 성분과 개성을 품은 15~20여 가지 음식 좌판과 푸드트럭, 디제이의 음악, 슈프레 강변의 낭만적 정취까지 준비되어 있어 여럿이 여유로운 저녁 시간을 보내기에 좋다. 베를린의 버거 역사를 새로 쓴 번즈모바일, 자메이칸 저크 치킨 바비큐를 선보이는 스파이스 스파이스 베이비, 폴란드식 만두를 전문으로 하는 탁탁 폴리시 델리, 시리아의 솔 푸드를 맛볼 수 있는 베를리나스쿠스, 크로켓을 베를린에 제대로 알린 치킨 마인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메뉴가 너무나 많다.

주소 Eichenstraße 4, 12435 Berlin
 

퓨처 브렉퍼스트 The Future Breakfast

몇 년 전 베를린에 브런치 카페가 유행한다는 소식에 의아했다. 아티스트와 프리랜서가 많은 베를린에서는 대부분의 카페에서 아침 식사 메뉴를 서빙한다. 원인은 ‘메뉴’에 있었다. 에그 베네딕트와 블루베리 팬케이크, 스페셜티 커피 등 미국, 호주식 브런치 메뉴가 베를리너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 얼마 전 노이쾰른에 오픈한 퓨처 브렉퍼스트는 호주식 올데이 브런치 카페다. 호주에서 온 카티와 독일인 플로리안은 계절에 맞는 지역 식재료로 에그 베네딕트, 프렌치 토스트 볼, 코코아 메밀 그래놀라 등 5가지 아침 식사를 대접한다. 베를린에서 최고로 손꼽히는 로스터리인 더 반의 커피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주소 Böhmische Str. 46, 12055 Berlin
 

카난 Kanaan

카난은 특별하다. 오너인 오즈 벤 데이비드와 잘릴 다빗은 각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출신으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퀴진’을 선보인다. 이들은 음식을 통해 화해와 포용, 평화, 우정을 나누는 식탁을 꾸린다. 이뿐만 아니라 모로코, 시리아 출신 셰프를 영입해 독일 사회에서 큰 이슈인 이민자 문제 또한 끌어안았다. 그 뜻만으로도 한 번쯤 찾고 싶어지는데 음식 맛도 좋아 단골까지 거느린다. 특히 주말 브런치 메뉴가 유명하다. 샤크슈카, 후무스 팬케이크 등의 메인 디시와 함께 빵과 후무스, 구운 가지에 마늘, 타히니(참깨), 레몬즙 등을 넣어 갈아 만든 딥인 바바 가누쉬, 샐러드 등을 뷔페로 즐길 수 있다.

주소 Kopenhagener Str. 17, 10437 Berlin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ORDS 서다희(여행 저널리스트, <넥스트시티가이드> 디렉터)
EDITOR 이경진
PHOTOGRAPHY 서다희

2018년 06월호

MOST POPULAR

  • 1
    RUBBER LOVER
  • 2
    강훈, “저를 보고 연기를 시작한 친구가 한 명이라도 있으면 정말 행복할 것 같아요“
  • 3
    신예은, ”규칙도 한계도 두려워하지 않고 나만의 길을 만들어가고 싶어요“
  • 4
    The Scent of Scene
  • 5
    생 로랑 파인 주얼리 컬렉션

RELATED STORIES

  • INTERVIEW

    The Scent of Scene

    늦봄과 초여름 사이. 기분 좋은 햇살이 내리쬐던 5월의 어느 날, ‘매나테크 코리아’의 ‘트루헬스 마스터 챌린지 시즌 15’ 퍼펙트 바디 4인과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함께한 순간의 기록을 담아내다.

  • INTERVIEW

    FIFTY FIFTY를 만든 사람들

    ‘더 기버스’ 가 말하는 대세 콘텐츠와 트렌드.

  • INTERVIEW

    니콜라스로부터 온 편지

    태그호이어 헤리티지 디렉터 니콜라스 바이뷕에게 시계 박람회 기간에 맞춰 질문을 남겼다. 박람회가 끝난 뒤 니콜라스는 멋진 답을 보내왔다.

  • INTERVIEW

    좋은 어른 강훈

    매주 토요일 <무한도전>을 기다리던 농구부 소년 강훈은 배우가 되어 말을 타고 칼을 휘두른다. 이제는 좋은 어른이 될 차례라는 강훈과 나눈 이야기.

  • INTERVIEW

    가면을 벗은 남자들

    ‘범죄도시 빌런’이라는 가면을 벗자 그저 유쾌하고 온화한 이준혁, 아오키 무네타카가 있었다.

MORE FROM ARENA

  • INTERVIEW

    베를린의 DJ들을 만나다

    테크노의 수도 베를린의 디제이들.

  • AGENDA

    SIHH 2016

    올해 SIHH에서 공개된 새로운 시계들 중 딱 하나씩 골랐다.

  • INTERVIEW

    CAR WASH LOVER 박재근

    세차를 하며 마음을 비우고 세상의 이치를 찾으며 쾌감을 느끼는 사람들. 세차 좀 한다는 남자 네 명에게 물었다. 세차의 매력에 대해.

  • LIFE

    네덜란드 Brainport Smart District

    새로운 도시가 생긴다. 스마트시티로 명명되는 이 도시들은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한다. 자연환경과 어우러지고, 에너지와 식량을 자급자족하며, 지속가능성을 화두로 삼는다. 그리고 여기에 자율주행이나 주민의 네트워크, 공동체, 민주주의 같은 개념을 이식한다. 기사에서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스마트시티들을 소개한다. 나아가 이 도시를 설계한 건축가들과 스마트시티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주민의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를 물었다. 건축가들이 답하는 미래 도시의 조건이다.

  • LIFE

    뉴욕의 돌비 실험실

    과학과 예술의 만남, 그리고 테크놀로지와 기발한 상상의 만남은 돌비 소호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