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서울, 청춘

지금 서울의 청춘들은 이렇게 하루를 보낸다. 유스 컬처(Youth Culture)의 최전방, 어느 젊은 날의 초상이다.

UpdatedOn April 25, 2017

3 / 10

 

신정혁 스케이터

아침부터 스케이터들은 가방 하나와 보드 하나를 둘러메고 공원으로 하나둘 모여든다. 가벼운 인사를 주고받은 뒤 말 없이 바퀴 달린 보드를 달린다. 파도가 치면 서핑을 하듯, 신정혁은 눈을 뜨면 스케이트보드를 탄다. 보드의 나무 감촉이 부드럽다고 느낀 아주 어린 시절부터 습관처럼 스케이트보드를 탔다. 스케이트보드에 그려진 그림들도 좋았다.
세계적인 스케이터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그는 ‘힙스(HEAPS) 스케이트’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스케이트보드 웹진 <데일리 그라인드(DAILY GRIND)>에 그의 스킬을 담은 영상을 올리고 스케이터들끼리 영감을 주고받는 것도 중요한 일과다.
“스케이트보드를 타지 않는 삶은 생각해본 적이 없다. 밥을 먹고 친구를 만나는 것처럼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상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는 청춘이 도전이라고 말한다. 그에게 스케이트보드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도전이다.

 

3 / 10

 

우병윤 작가, 화가

‘무씨(MUSEE)’를 찾아가는 길은 다소 난감하다. 남영동 어느 국밥집과 은행 사이 건물 5층에 이런 나른한 공간이 있을 줄은 몰랐다. 우병윤 작가는 이곳에서 자신의 그림을 전시하고, 관객과 직접 대화를 나눈다. 갤러리를 찾는 사람들이 물끄러미 그림만 보다 돌아가는 것이 아쉬워 더 많은 이야기를 건넨다.
그는 글을 먼저 쓰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린다. 청춘에 대한 주제를 작품으로 구현해내던 예전과 달리 그는 요즘 개성 있는 존재가 각자의 색깔을 찾아가고, 공존하는 사회를 그린다. “청춘은 파스텔컬러라고 생각한다. 아직 명확한 원색이 되진 못하지만 불분명한 그 자체로 아름답기 때문이다.”
수많은 호기심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 좋아하는 것, 무의미한 것 등이 명확하게 보이는 때가 온다. 바로 그 순간 청춘을 넘어선 자신을 깨달을 거다. 청춘을 그리던 우병윤 작가는 이제 청춘 이후의 색깔을 그려내고 있다.

 

3 / 10

 

재키와이 래퍼

재키와이는 “비주류 문화를 주류로 끌어올리고 싶다”고 말했다.
2013년, ‘더 어글리 정션(The Ugly Junction)’이 주최한 여성 래퍼 콤피티션(GALmighty)에서 우승을 차지했을 때가 18세 였으니까, 이제 22세가 됐다.
지난겨울 첫 번째 앨범 를 발매했는데, 들어본 소감을 말하자면 청춘과 나른함, 몽환과 허무 같은 단어들이 떠오른다. 청춘을 빛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반대의 그림자를 보여주고 싶었다니, 정확하게 들은 것 같다. 그녀는 ‘내가 뭘 보여주고 싶고 뭘 원하는지’ 명확히 알고 있다.
“음악은 청춘의 감각에 의지한다고 생각한다. 늘 새로운 것, 신선한 것을 찾기 때문이다. 청춘의 감을 다 써버리면 나중에 그것이 빚더미처럼 불어날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나에게 청춘은 빚이다.” 요즘엔 헨즈 등 라이브 클럽에서 공연을 자주 여는데, 다음 앨범은 좀 더 팝적인 요소를 섞어보겠다고 했다. 좀 더 직선적이고 명확하게, 그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거다.


3 / 10

 

배드핸즈 타투이스트 그룹

예전에 우리는 이것을 ‘문신’이라고 불렀다. 주로 직업이 험악한 사람들이 몸에 그리는 ‘차카게 살자’ 같은 문구나 용, 호랑이 그림들.
하지만 2017년 서울에서는 젊은이가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하나뿐인 ‘아트’가 되었다. 문래동 배드핸즈의 타투 아티스트들을 처음 만나면 움찔 놀랄지도 모른다. 어디서도 볼 수 없는 흔치 않은 스타일, 어디에나 새겨져 있는 타투 등을 곁눈질로 보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한두 마디 이야기를 나눠보면 세상 둘도 없는 ‘순둥이’들이란 걸 알게 될 거다.
이들은 더 멋진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이 분야 최고의 크리에이터들이다. 배드핸즈에게 청춘은 ‘자유로움’이다.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살고 싶은 대로 사는 것. 나이를 먹을수록 자유를 향유하는 운신의 폭은 줄어들겠지만 어쩌겠는가.
일단 지금은 지금처럼 사는 거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서동현
PHOTOGRAPHY 채대한
LOCATION 음레코드(재키와이)

2017년 04월호

MOST POPULAR

  • 1
    JAEHYUN’S PRESENT
  • 2
    이경규, "롤모델이 저예요. 내가 어떻게 할 것인가를 스스로 생각하고 살아왔습니다."
  • 3
    새 시즌, 뉴 스니커즈 4
  • 4
    구찌 앙코라의 의미
  • 5
    Autumn Prologue

RELATED STORIES

  • FASHION

    HOOP&LOOP

    스타일링의 한 끗, 취향과 개성을 아우르는 벨트.

  • FASHION

    UNBOXING

    새로운 시즌을 여는 가방과 신발 개봉기.

  • FASHION

    환상의 매치

    앰버서더 현빈과 함께한 2023 오메가 유러피언 마스터스.

  • FASHION

    Autumn Prologue

    본격적인 가을의 첫 악장. 김지석과 로가디스가 만들어낸 절묘한 하모니.

  • FASHION

    UNEXPECTED CHEMISTRY

    감각을 일깨우는 사프란과 시트러스의 예상치 못한 만남으로 피어난 아쿠아 디 파르마 ‘자페라노’ 그리고 송강이 함께 조우한 여운이 짙은 순간.

MORE FROM ARENA

  • INTERVIEW

    배우 박정민

    영화 <사바하> <타짜: 원 아이드 잭> <시동> 그리고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까지. 박정민은 2019년 3편의 영화를 선보였고, 현재 차기작을 촬영 중이다. 산문집을 내기도, 책방을 열기도 했다. 2019년을 이보다 자신 있게 보낸 배우가 있을까.

  • FASHION

    SMOOTH AND MOVE SLOWLY

    수민의 시간은 무한한 바다를 항해하고 있다. 한국을 넘어서 유럽, 전 세계를 무대로 어디 한 군데 머무를 틈 없이, 하지만 조급하지 않은 여유롭고 굳건한 마음으로. 그는 한국을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독보적인 존재감으로 매 시즌 고귀한 하우스 브랜드에게 끊임없이 러브콜을 받고 있다. 치열했던 시간을 지나 빛나는 현재를 보내는 그의 품격 있고 다채로운 포트폴리오, 그리고 클래식한 디자인, 대담한 다이얼 컬러의 오메가 아쿠아 테라 쉐이드 컬렉션과 씨마스터 아쿠아 테라 월드타이머 워치는 어딘가 통하는 면이 있다. 오메가 워치를 착용한 수민은 몽환적인 색채의 스펙트럼 안에서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움직이며 유려한 잔상을 남겼고, 고상한 시간들을 한 폭의 그림처럼 기록했다.

  • REPORTS

    강간의 왕국이야?

    지금까지 성폭행 사건을 보며 우리는 이런 의심을 품었던 것도 같다. 여자가 왜 모텔에 따라갔을까, 밤늦게 왜 술을 마시고 다니는 걸까. 치마 길이는 왜 이렇게 짧은 걸까 등. 이따위 생각에 송강호식 드롭킥을 날리자.

  • INTERVIEW

    JAY B가 꾸는 꿈

    그날 제이비의 세계는 무릎까지 자란 풀잎 하나와 먹구름 사이로 잠시 비춘 노을과 적막한 캠핑장의 유령들로 채워졌다. 그리고 빛을 쫓는 날벌레들이 창작과 꿈과 미래에 대한 막역한 대화 사이를 날아다녔다. 계절을 지나다 만난 제이비와의 인터뷰.

  • FASHION

    여름 두피케어

    피부만큼 자극받기 쉬운 여름철 두피 고민과 궁금증을 전문가에게 물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