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Best Venue

2017년 가을, 겨울 컬렉션이 펼쳐진 최고의 공간.

UpdatedOn March 09, 2017

3 / 10

 

1 Givenchy

지방시가 선택한 장소는 프랑스 국립 도서관 중 하나인 리슐리외 도서관이다. 전 세계 책과 지식을 한데 모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방대한 양의 문화유산을 저장하고 있다. 도서관을 설계한 앙리 라브루스트는 19세기에 주로 사용하던 목재와 시멘트 대신 화재에 대비해 철재로 도서관을 완성했다. 이는 당시 파격적인 행보였다.

덕분에 완성할 수 있었던 아치형 천장과 측면에 서가를 배치한 구조는 고전적 아름다움과 현대적 기능이 조합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곳에서 쇼를 치른 지방시는 중앙에 설치한 거대한 펜던트 외에 특별한 무대 장치를 더하지 않았다. 공간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살린 것이다. 프랑스를 상징하는 이곳에서 디자이너 리카르도 티시는 어린 시절 느낀 미국 땅, 특히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미국인을 떠올렸다. 강렬한 원색과 함께 자신의 주특기인 별과 체크, 줄무늬 옷들을 쏟아냈고, 이는 지방시와 함께한 그의 마지막 무대가 됐다.

 

3 / 10

 

2 Dior Homme

‘저는 뭔가를 고대하고 잘 놀 줄 아는 사람이 좋습니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한 디올 옴므의 수장 크리스 반 아쉐는 그랑 팔레를 잘 노는 사람들의 놀이터로 만들었다. 수많은 삼각 깃발 그리고 그 깃발을 가로지르는 현란한 조명으로 천장을 장식하고, 바닥엔 박스 판지를 깐 후 ‘Hardior’이 적힌 테이프로 틈을 메웠다. 그곳에서 크리스 반 아쉐는 하드코어와 디올을 조합한 ‘하디올’이란 낯선 단어를 옷으로 설명했다. 무슈 디올을 연상시키는 가죽 장갑, 완벽한 재단에 클럽 문화와 유스 컬처를 절묘하게 섞은 옷차림이 그 증거다.

 

3 / 10

 

3 Ami

디자이너 알렉상드르 마티우시는 미국 일간 매체 와의 인터뷰에서 ‘파리, 젊음 그리고 활력! 마치 파리의 밤을 보는 것 같지 않나요?’라며 이번 컬렉션을 마친 소감을 전했다. 저녁 8시만 돼도 어둑해지는 파리 시내와는 대조적인 얘기다. 하지만 그의 컬렉션을 보면 이해가 갈 터. 패스트푸드점부터 동네 약국 그리고 다채롭게 쓰인 ‘PARIS’까지 런웨이를 물들인 화려한 네온사인은 파리의 밤을 밝혔다. 거기에 눈 시린 색상의 옷들이 등장해 완벽한 조화를 이뤘다.


3 / 10

 

4 Prada

프라다 쇼가 펼쳐지는 공간은 하나의 예술 작품이 된다. 이는 십수 년째 합을 맞춰온 디자인 집단 AMO의 손길 덕이다. 이번에도 역시 머릿속에서 곱씹을 만큼 인상적인 공간을 창조해냈다. 공간을 나눈 나무 칸막이는 모델의 동선이 되기도 하고, 쇼에 참석한 게스트 개개인의 공간이자 그들의 시야를 정의하는 프레임이 되기도 했다. 일상적인 침대와 나무 벤치가 관람석이었던 이번 공간은 기본에 충실하면서 실루엣이 편안한 옷들과 자연스럽게 일치했다.

 

3 / 10

 

5 Acne Studio

모델 워킹 위주의 쇼 형식이 아닌 발표 형식을 택한 아크네 스튜디오. 이에 적합한 공간으로 낡았지만 아름다운 의과대학 강의실을 택했다. 프레젠테이션은 셀피에 관한 내용으로 시작했다. 이어 벽 전면을 채운 화면에는 렘브란트에서 오토 딕스에 이르는, 미술사를 장식한 초상화를 차례로 투영했다. 배우 ‘키아누 리브스의 부은 얼굴’에서 영감받은 디자이너 조니 요한슨은 이곳을 배경으로 칼라와 실루엣이 과장된 옷들을 차례로 선보였다.

 

3 / 10

 

6 Ermenegildo Zegna

위태롭게 쌓인 블록들이 수직으로 뻗어 있고, 조명을 받아 반짝이는 금속들이 바닥을 가득 메웠다. 독일의 설치 미술가 안젤름 키퍼의 작품 ‘7개의 천궁(Seven Heavenly Palaces)’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그는 모래, 유리 등 순수 원료와 현대 기술의 융합을 추구하는 작가다. 브랜드의 뼈대인 장인 정신과 현대적 서비스를 접목한 새로운 수장 알레산드로 사르토리의 비전과 완벽히 일치하는 대목이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장군

2017년 03월호

MOST POPULAR

  • 1
    위대한 유산
  • 2
    뉴진스는 어떻게 될까?
  • 3
    밀라노의 쇼핑 오아시스, 피덴자 빌리지
  • 4
    Reday, Set, Sun
  • 5
    그 앨범, 그 명차

RELATED STORIES

  • FASHION

    자유와 용기 그리고 할리데이비슨 컬렉션스

    할리데이비슨 컬렉션스가 새로운 비주얼 디렉터를 맞이했다.

  • FASHION

    2025 F/W FASHION WEEK

    남성과 여성 쇼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는 지금, 패션은 그 어느 때보다 유연하고 대담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지난 2월과 3월, 밀라노와 파리에서 펼쳐진 2025 F/W 패션위크. 그 치열한 무대 한가운데에서 <아레나>가 패션의 흐름을 직접 보고, 듣고, 경험했다. 런웨이를 장악한 강렬한 순간, 그리고 지금 가장 뜨겁게 떠오르는 이슈까지. 생생한 현장의 공기를 그대로 전한다.

  • FASHION

    봄, 사랑, 벚꽃 말고 셔츠 5

    소리 소문 없이 다가온 봄을 위한 셔츠.

  • FASHION

    Hello, Stranger

    경계와 규칙을 넘나드는 요즘의 수트.

  • FASHION

    Rhinoscope

    적막한 겨울 비경 안에서 움트는 봄.

MORE FROM ARENA

  • LIFE

    실화 추적

    다큐멘터리 맞나? 픽션보다 더 픽션 같은 실제 사건 크리미널멘터리.

  • FASHION

    Occultly

    불가해한 미학의 형상.

  • FASHION

    다양한 크기의 가방들

    크고 작은 가방도 대봐야 아는 법.

  • LIFE

    주인의 취향

    취향의 집합소라 불리는 을지로에 작은 홍콩이 생겼다. 이름은 망우삼림. 스튜디오이자 필름 현상소란다.

  • CAR

    이제 본게임이 시작된다

    포르쉐가 타이칸의 부분변경을 단행했다. 살짝 손본 디자인만 보면 부분변경이 맞는데 안을 파헤쳐보면 몇 세대에 거쳐 겪을 만한 변화가 즐비하다. 내연기관의 왕으로 군림하던 포르쉐의 명성이 전기차 시장에서도 여전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