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AGENDA MORE+

전설의 그 형님

‘전설’이라고 하면 대개 과거의 영광을 의미한다. 그런데 스팅의 시간은 거꾸로 흐르나 보다. ‘더 폴리스’ 시절의 에너지 그대로, 록 스피릿으로 무장한 형님이 돌아왔다.

UpdatedOn December 14, 2016

  

처음 뭣도 모르고 스팅 형님의 내한 공연에 갔던 기억이 난다. 2010년경이었는데 당시 잘해보고 싶은 친구가 공연 세트리스트까지 보내주면서 굳이 보러 가자고 하기에 형님에 대한 큰 감흥 없이 무작정 공연장에 착석했다. 속으로는 ‘에미넴도 빨리 한국에 오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 공연 시작 전까지 나에게 스팅은 그저 ‘옛날 뮤지션’이었다. 학창 시절 스팅이 몸담은 ‘더 폴리스(The Police)’의 노래들로 영어를 배운 기억 때문인지 까마득한 시절에 활동한 아저씨 같았다.

하지만 무대가 시작되자, 이 형님이 ‘진짜’라는 걸 깨달았다. ‘English Man In New York’ ‘Every Breath You Take’ 등을 부르는 동안 나는 점점 더 경건한 자세로 스팅에 대한 ‘리스펙트’를 보냈다. 1978년에 더 폴리스로 데뷔했다는데, 3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흐트러짐 없이, 그것도 굉장히 멋지게 자신의 무대를 완성해나간다는 건 ‘전설’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로부터 6년이 또 훌쩍 지난 2016년 겨울, 전설의 그 형님이 돌아왔다. 12번째 정규 앨범 <57TH & 9TH>’를 들고서. 그가 스튜디오로 매일 걸어가던 뉴욕 맨해튼의 교차로 번호에서 따온 제목이라고 한다. ‘9·11 피해자를 위한 모금 활동 공연’ ‘엘튼 존 에이즈 재단’의 후원자로 활동하는 등 사회운동가로서도 부지런히 모습을 드러낸 그는 그간의 경험과 생각을 새 앨범에 담았다.

“탐색과 여행, 길, 모르는 무언가의 이끌림에서 주제를 탐구해 만들었다”는 스팅의 설명처럼 앨범은 그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리드미컬한 기타가 곡 전반을 이끌어 나가는 ‘I Can’t Stop Thinking About You’, 심장을 울리는 힘 있는 사운드의 ‘50,000’ 등은 우리가 스팅에게 기대하는 영국 신사의 록 스피릿을 제대로 충족시켜준다. 유럽 난민 문제에 대한 스팅의 시각을 알 수 있는 록 발라드 ‘Inshallah’도 빼놓을 수 없는 트랙. 40년 가까이 자기 분야에서 최고가 된 전설의 저력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스팅은 “모든 것이 순식간에 굉장히 자연스럽게 일어났다. 내 아이디어는 항상 나 자신은 물론 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내 음반을 듣는 사람들도 그랬으면 좋겠다”고 새 앨범을 설명했다. 잘난 척이 절대 아니다. 그의 새 앨범을 들어보면 다들 놀랄 거다. 너무도 변함없는 그의 멋에, 그리고 너무도 다채로운 그의 사운드에 말이다.

 

형님의 귀환

이번 겨울엔 유독 형님들의 귀환이 잦다.

 데이비드 보위 <Legacy(The Very Best Of)>

데이비드 보위가 세상을 떠난 이후 처음 발매되는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그의 변화무쌍하고 놀라운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았다. 특히 1971년 앨범 의 오리지널 프로듀서인 켄 스콧(Ken Scott)이 새롭게 믹스한 ‘Life On Mars?’를 들을 수 있다.

 본 조비 <This House Is Not For Sale>

데뷔 이후 30여 년, 로큰롤의 멋이 넘쳐흐르는 밴드 본 조비가 14번째 스튜디오 앨범을 발표했다. 현재진행형 밴드가 되기 위해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온몸으로 부딪쳐 깨지고 다듬은 끝에 완성한 노래들이다. 본 조비가 다시 그들의 집으로 돌아왔다. 

 오아시스 <Be Here Now>

브릿 팝의 전설, 오아시스가 자신들이 왜 전설이 됐는지를 다시금 보여준다. 는 오아시스가 천하를 호령하던 시절을 간접 경험할 수 있는 리마스터링 앨범이다. 노엘 갤러거의 믹스로 재탄생한 ‘D’You Know What I Mean?’도 들을 수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서동현

2016년 12월호

MOST POPULAR

  • 1
    아웃도어 소사이어티
  • 2
    THE CORE
  • 3
    MOVE MOVE MOVE
  • 4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 5
    전설은 계속된다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LIFE

    에디터들이 돌아본 2021년

    올해 보고 듣고 만지고 먹은 것. 그중에서 획기적이었던 것. 너무 놀라워서 <아레나> 에디터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끼친 사건들만 꼽았다. 10명의 에디터가 30개의 이슈를 소개한다. 공감되는 항목이 있다면, <아레나> 에디터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것일 수도.

  • LIFE

    Helsinki

    에펠탑 찍고, 개선문 찍고, 인스타그램 맛집 다녀오고, 블로거가 추천한 아웃렛에서 알뜰 쇼핑하는 관광 코스 말고. 그냥 좋아서, 보고 싶어서, 하고 싶어서 내 멋대로 도시를 즐기는 여행자들을 만났다. 시드니의 수영장 도장 깨기, 헬싱키의 사우나 투어, 베를린의 식물과 함께 사는 생활, 맨몸으로 뉴욕에서 운동하기 등. 자신만의 뚜렷한 취향을 주제로 도시를 깊게 파고드는 여섯 명과 이메일로 대화를 나눴다. 그들의 여행은 어쩐지 탐험에 가깝게 느껴졌다.

  • INTERVIEW

    정아름과 초코볼

    20여 년 동안 얼짱, 엉짱, 몸짱 등등 모든 수식어를 달고 현재까지 아름다움ing형인 관리 천재 정아름을 만나 그 비결을 물었다.

  • LIFE

    힙스터 없는 힙스터의 성지

    “서울에서 새로운 힙한 지역을 찾고 싶다”는 문장에서 시작됐다. 성수동, 해방촌, 연희동 등 포화 상태인 곳 말고 또 새로운 곳 어디 없을까. 힙스터들이 발굴한 지역으로 가야 하나. 일단, 그래서 힙스터들은 어떤 걸 좋아하는데? 그들이 가는 곳은 어딘데? 결국 질문은 꼬리를 물고 ‘요즘 힙스터는 어떤 사람들’에 도착했다.

  • FASHION

    SOMETHING SPECIAL

    새 시즌을 맞아 선보이는 캠페인 속 신선한 조합.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