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EATURE MORE+

거짓말인 줄 모르고 하는 거짓말

내가 잘 모르는 분이 하신 말씀 중에 이런 게 있다. 그분이 누구냐? 중세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님이다. 발음하기도 어려운 이름을 지니신 그분, 그저 초기 기독교 사상가라는 것만 알 뿐이지 그 유명하다는 <고백론>조차 읽어본 적이 없는 나다. 그러니 내가 아주 잘 모르는 분, 맞다. 하지만 아래의 이론을 읽고 난 그분을 존경하기로 맘먹었다. <br><br>

UpdatedOn September 29, 2009

 

 

내가 잘 모르는 분이 하신 말씀 중에 이런 게 있다.
그분이 누구냐? 중세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님이다. 발음하기도 어려운 이름을 지니신 그분, 그저 초기 기독교 사상가라는 것만 알 뿐이지 그 유명하다는 <고백론>조차 읽어본 적이 없는 나다. 그러니 내가 아주 잘 모르는 분, 맞다. 하지만 아래의 이론을 읽고 난 그분을 존경하기로 맘먹었다.

그분이 그러셨다.
“거짓말도 다 같은 거짓말이 아닌 바, 거짓말에는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경우의 수가 있느니라. (아마, 사극에 등장하시면 이 정도 말투를 쓰실 듯.)
하나, 종교적으로 누군가를 회유하고자 하는 거짓말이니라.   
둘, 아무에게도 도움을 주지 않으면서 누군가에게는 해가 되는 거짓말이니라.
셋, 누군가에게는 해를 주면서 다른 누군가에게는 이익을 주는 거짓말이니라.
넷, 거짓말하는 즐거움으로 인한 거짓말이니라.
다섯, 남을 즐겁게 만들기 위해 하는 거짓말이니라.
여섯, 아무에게도 해가 되지 않으면서 누군가에게 이익을 주는 거짓말이니라.
일곱, 누군가를 보호하는 정도의 거짓말이니라.”
어떠신가? 아주 명쾌하지 않은가? 늘 알고 있던 사실이라고?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라고? 아니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거짓말과 악다구니를 매달고 사는 우리일지라도 거짓말의 종류를 이렇게 티끌 하나 남기지 않고 깔끔하게 분류할 수는 없는 것이다. 마치 이름표를 달고 차곡차곡 냉장고에 들어앉은 일등 주부의 각진 플라스틱 반찬통을 볼 때만큼 놀랍지 않은가 말이다. 잡균 금지 밀폐 용기 안에 단아하게 정리된 거짓말 이론들.
 
기자로 살다 보면 가슴 벅찬 순간들이 종종 있다.
그게 바로 이렇게 평이한 일상사를 자로 재듯 명확한 잣대로 분석해주시는 그분들을 뵐 때다. 아우구스티누스처럼 달변가이든 아니든 한 세대에게 온몸으로 전달할 철학을 지닌 분들 말이다. 한 분야에서 뿌리를 깊게 내린 분들을 뵙고 그들의 인생철학에 슬쩍 무임승차하는 것, 이건 기자들만의 특권이라 할 것이다. 십수 년을 휘돌아 살아야 알 수 있을 만한 것을 한두 시간 만에 공부하는 것. 그런 감사함이 기자들의 고된 일상을 해갈한다. 무연한 얼굴로 아무렇지도 않게 일상을 조각내어 정리하는 분들을 가까이서 보는 건 ‘정말 영광인 줄 알아’야 하는 일이다. ‘아, 이 사람은 명품이로구나’라는 찬탄이 절로 우러나오게 하는 사람들과 한 세상을 동행하고 있다는 자각이 들 때마다 기자들의 몸을 구성하는 2백여 개의 뼈가 환희로 곧추선다.
<아레나>는 당신과 이런 벅참을 함께 나눌 준비를 하고 있다. 아름다운 옷으로 날개를 달고 선 당신의 옷섶에 단단한 생활 철학이 농축된 다이어리 하나 꽂아주고 싶은 마음이라고 하면 이해가 되려나. 그래서 조금은 농익은 고민을 한다. 팽팽하게 부푼 호기심을 가지고 그분을 만나 그 예리한 인생 잣대를 당신에게 고스란히 전달하고픈 욕심에서다. 그래서 지난달엔 광고, 방송, 자동차, 테크 업계의 CEO들을 만났고 이달엔 허정무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을 만났다. 연말호엔 2009년의 성공남들을 A-awards 수상자의 이름으로 만나게 된다. 물론 우리의 인터뷰가 성에 차지 않을 때가 많다. 살아보지 못한 인생을 기록하려다 보니 생기는 오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겐 인생 선배의 가르침이 절실하기에 끊임없이 그분들을 찾아 간다. 규칙성을 잃은 썰물이 격한 토사를 밀고 오듯, 규칙을 잃은 시대를 사는 우리에겐 절대 지침이 필요하다. 질풍노도의 시기에 쓴 일기가 공개되어 한순간 매국노가 된 한 청년이 고국(?)으로 돌아갔을 때, 나는 집단의 진화는 개개인의 진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무서운 진리를 깨달았다. 이건 자유로운 집회가 차단당하는 요즘과 맞물려 조금은 공포스럽기도 했다. 아무렇지도 않은 일은 아니지만, 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과될 수 있는 이유는 충분했음에도 소소한 사건들은 스스로 진화하여 대수롭게 터져 오르고 있다. 그럴 때 마다 그분들의 꾸중이 그리워진다. 그래서 자꾸만 찾게 된다. 같은 현상을 앞에 두고 그분들은 어떤 답을 내리실지 궁금해서다.

아우구스티누스 선배님은 이 해프닝을 두고 이렇게 말씀하시지 않았을까. “허허, 아무것도 아닌 일을 두고 왜들 그러나. 당신들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으면서 누군가에게는 해가 되는 거짓말을 하고 있네. 확신이 없으면서 확신인 양 떠드는 것은 모두 거짓말일세. 내가 그 말은 안 했던가?”                 

옳습니다. 확신도 없으면서 확신인 양 떠드는 건 거짓말이지요. 거짓말인 줄 모르고 하는 거짓말이지요. 

  

아레나 옴므 플러스 편집장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루이 비통 X 해찬
  • 2
    Trilogy
  • 3
    해찬의 경지
  • 4
    Body Spectrum
  • 5
    분명한 존재감

RELATED STORIES

  • FEATURE

    스위스에서 온 편지

    스위스의 디자인과 함께한 일주일.

  • FEATURE

    오늘의 공예

    AI와 글로벌 대량생산의 시대에도 누군가는 입으로 유리를 불고 닥종이에 옻칠을 한다. 기술을 닦고 고민을 모아서 공예품을 만든다. 젊은 공예가의 공예품을 모으고 그에게 설명을 부탁했다.

  • FEATURE

    Special Thanks to

    <아레나>에 몸담고 있던 시기는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시간 동안 마음 깊이 감사했던 그대들을 향해 진심을 가득 담은 헌사를 보냅니다.

  • FEATURE

    17년이 흐른 뒤

    2006년 3월호, 표지는 주드 로, 키워드는 블랙칼라 워커. <아레나 옴므 플러스>가 한국에 처음 나온 해다. 그때 <아레나>는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 어떤 예언이 맞고 어떤 예언이 빗나갔을까. 거기 나온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동안 세상에는 무슨 일이 생겼을까.

  • FEATURE

    어느 어부의 하루

    겨울 동해 바다 위에서 문어를 낚는 어부의 하루를 따라갔다.

MORE FROM ARENA

  • AGENDA

    논란의 놀란

    아무도 논란이라 하지 않을 테다. 하지만 분명 놀란은 <덩케르크>로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 INTERVIEW

    그 남자네 집: 포토그래퍼 이원재

    유독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었던 올 한 해. 라이프스타일이 각기 다른 남자들에게 집에서 시간을 보낸 방법과 연말에 대한 구상을 물었다. 그리고 저마다 애착 가는 물건에 대해서도.

  • FASHION

    주목할 다섯 브랜드

    지금부터 소개하는 디자이너들은 이스라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카리브해 연안 등에 뿌리를 두고 활동한다. 이들은 각 지역의 문화와 성격, 지리적 특징을 기반으로 브랜드를 전개하기에 남다른 독특함을 보인다. 이미 런던과 파리 등에서 주목받고 있고,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농후한 다섯 브랜드를 만났다.

  • INTERVIEW

    홍남이의 멀티버스

    유튜브 나몰라패밀리 핫쇼에 출연 중인 1호선 판매왕 53세 김홍남 씨. 그는 57번째 지구에 산다.

  • ISSUE

    보테가 베네타 X DPR LIVE&IAN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