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REPORTS MORE+

고독한 감독님께 책을 추천해드립니다

선수와 팬은 감독을 바라본다. 감독은 누구를 바라볼까? 감독님, 고독할 땐 책을 읽으세요.

UpdatedOn October 22, 2013

LA 다저스 돈 매팅리 감독
<사라진 실패> 신기주, 인물과사상사
리그 후반기만 놓고 본다면, LA 다저스는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성공한 팀이다. 그러나 성공의 사각지대에는 실패가 도사리고 있는 법. <사라진 실패>는 그동안 우리가 외면했던 ‘기업의 실패’에 관해 다루는 책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 책이 다루는 사례들이 성공에 젖어 맞이한 실패라는 점이다. 이미 성공한 매팅리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사례들이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
<마스터리의 법칙> 로버트 그린, 살림
맨유의 새 감독 데이비드 모예스의 부임 첫해의 행보는 말 그대로 ‘좌충우돌’이었다. 영입은 원활하지 않았고, 초반 성적도 신통찮다. <마스터리의 법칙>은 ‘인간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치까지 끌어올린 힘’을 ‘마스터리’라고 정의하며, 그에 이르는 방법을 소개한다. 맨유가 지금까지 일군 영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예스가 ‘빅클럽의 마스터리’로 거듭나야 한다.













기아 타이거즈 선동열 감독
<잉여사회> 최태섭, 웅진지식하우스
선동열 감독은 한정된 자원 안에서만 결정한다. 선발 자원 앤서니와 윤석민이 마무리로 변신한 이유다. 그 사이 대체 자원들은 ‘잉여’가 됐다. 이 같은 기아의 상황은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한 채 잉여들을 양산하는 우리 사회와 비슷하다.
<잉여사회>는 이 잉여들이 품은 거대한 에너지에 주목한다.
선동열 감독 또한 같은 곳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스널 아르센 벵거 감독
<스웨덴 스타일> 마루오 나오미 외, 이매진
아르센 벵거는 ‘벵크루지’로 통한다. 돈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경제학에 비유하자면 작은 정부가 그의 철학인 셈. 그러나 돈은 잘 쓸 때 더욱 효과적이다. 경제학자 출신인 그는 자유주의 모델을 버리고 돈을 씀으로써(복지) 성장을 추구하는 스웨덴 경제 모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한화 이글스 김응용 감독
<백인천 프로젝트> 정재승 외, 사이언스북스
김성근 감독이 한국 야구를 지배한 이후, 한국 리그는 감으로만 승부할 수 없는 곳이 됐다. 그러나 김응용 감독은 여전히 감으로 승부한다. 한화의 성적이 고꾸라진 이유다.
<백인천 프로젝트>는 4할 타자의 실종은 ‘통계’의 관점에서 이야기한다. 김응용 감독의 경험에 이 책의 관점을 더한다면, 그의 감은 더욱 빛날 것이다.













대한민국축구 국가대표팀 홍명보 감독
<리더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 김성근, 이와우
전례 없는 내분에 시달렸다. 홍명보 감독은 ‘One Team, One Spirit, One Goal’이란 철학을 제시하며 이 난국을 타개하려 한다. 철학을 마련했으니, 이제 필요한 건 각론.
김성근 감독의 <리더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는 야구 책이자 감독과 선수의 관계에 대한 책이다.

words: 권승재(책 만드는 사람)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ords 권승재(책 만드는 사람)

2013년 10월호

MOST POPULAR

  • 1
    구찌 X 박재범
  • 2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 3
    코첼라를 접수하다
  • 4
    Watches & Wonders Geneva 2025 Epilogue
  • 5
    탐험가를 위한 컬렉션

RELATED STORIES

  • ISSUE

    2022년의 2등을 위해 #2

    2022년은 특별한 해다. 2가 반복된다. 그리고 이건 12월호다. 2가 반복되는 해의 마지막 달이라 2등만을 기념하련다. 올해 각 분야의 2위들을 재조명한다.

  • ISSUE

    2022년의 2등을 위해 #1

    2022년은 특별한 해다. 2가 반복된다. 그리고 이건 12월호다. 2가 반복되는 해의 마지막 달이라 2등만을 기념하련다. 올해 각 분야의 2위들을 재조명한다.

  • ISSUE

    이란, 세 소녀

    히잡 시위를 계기로 이란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혼란기를 겪고 있다. 혁명의 주체는 시민이고 시위대를 이끄는 이들은 히잡을 벗어던진 10대, 20대 여성이다. 세상은 혼란할지라도 일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란의 10대, 20대 여성과 인스타그램 DM으로 짧은 대화를 나눴다. 혁명 속을 살아가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옮긴다.

  • ISSUE

    보이지 않는 공로

    영화 한 편엔 수없이 많은 제작자들의 정성과 노력이 담기지만 관객은 쉽게 알아차리지 못한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땀 흘리는 제작자들의 공로를 ‘제12회 해밀턴 비하인드 더 카메라 어워드’가 기린다.

  • ISSUE

    2022 Weekly Issue #2

    돌아보면 2022년 대한민국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다. 오미크론 확산부터 대선 이슈, 전쟁과 경제 이슈 등 매일이 격동의 나날이었다. 우리는 주 단위로 2022년을 돌아본다. 2022년 1월 첫째 주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 우리의 눈과 귀를 번뜩이게 한 국내외 이슈들을 짚는다.

MORE FROM ARENA

  • FILM

    보스 X 수호

  • INTERVIEW

    전설의 입담-진선유

    방송사들은 동계올림픽 중계로 바쁘다. 중계의 꽃인 해설위원을 섭외하기 위해 각축전을 벌였다. KBS는 동계올림픽의 전설들을 해설위원으로 모셨다. 스피드스케이팅에는 이상화와 이강석, 쇼트트랙에는 진선유와 이정수, 피겨스케이팅은 곽민정이 해설을 맡는다. KBS 해설위원들의 출정식을 <아레나>가 함께했다.

  • FASHION

    RECOMMENDATIONS 4

    <아레나> 에디터의 취향대로 고른 네 벌의 아우터와 스타일링.

  • LIFE

    치즈를 부탁해!

    다양한 치즈의 매력에 빠질 시간.

  • LIFE

    챔피언의 탄생

    모든 스포츠 경기 끝에는 승자와 패자만이 남는다. 하지만 우리가 진짜 보고 싶은 건 승부가 아닌, 승패를 초연한 선수들의 말과 행동이 아닐까. 어떤 금메달보다도 오래도록 기억될 올림피언들의 인터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