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제철 맞이 해물탕

해산물이 당기는 9월. 해산물의 담백함과 풍성함이 돋보이는 이달의 맛, 해물탕.

UpdatedOn September 13, 2013

호우

호우
그 옛날 프랑스 어부들은 팔고 남은 해산물로 탕을 끓였다고 한다. 채소와 토마토, 해산물을 넣어 끓여낸 부야베스가 그것이다. 지중해 어촌 마을의 저녁 식사를 엿볼 수 있는 해물탕이다.

홍대에 위치한 ‘호우’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프랑스식 해물탕을 선보인다. 통통하게 살이 오른 새우와 홍합, 오징어를 넣고 끓인 탕 안에 고추를 넣어서 약간 매콤한 맛을 첨가했다.
여기에 태양으로 말린 토마토와 사프란을 넣어 호우식 해물탕을 완성했다. 한입 떠서 입에 넣어보니 첫맛은 새콤하지만 끝 맛은 부드럽다. 맛의 비밀은 올리브유. 셰프만의 특별 레시피가 새콤함은 보완하고 몽글거리는 부드러움을 곁들였다.

살짝 걸쭉한 느낌의 부야베스는 따뜻한 빵과 함께 곁들이면 한 끼 식사로 완벽하다. 수프에 적셔 먹어도 좋고 해산물과 갖은 채소를 얹어 한입 크게 베어 먹으면 마음까지 풍족하다. 분위기 있는 안주로도 손색없다.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 모두에 잘 어울린다.

메뉴 매콤한 토마토 해물탕 가격 2만5천원
위치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396-3
문의 02-322-5425


복정집

복정집
을지로에 직장을 둔 아버지들의 점심을 책임져온 지 벌써 23년째다. 복정집의 ‘해물통오징어’는 1인분도 주문할 수 있어 점심시간에도 부담 없이 맛볼 수 있다.

일단 투박한 냄비에는 국물을 시원하게 만드는 무가 수더분하게 들어가 있다. 그 가운데를 차지한 건 이 집 해물탕의 맛을 좌우하는 오징어. 살아 있는 오징어가 통으로 들어가 맛의 균형을 이룬다. 여기에 해물 다섯 가지로 세 시간 동안 푹 고아낸 육수가 국물 맛을 낸다. 자작하게 끓인 국물에 큼직한 오징어 한 토막을 골라 밥에 쓱쓱 비벼 먹으면 더없이 행복해진다.

고춧가루 팍팍 들어간 얼큰한 국물은 어느새 다 먹고 금세 텅텅거리는 냄비 소리만 남는다. ‘밥 한 공기 뚝딱’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말. 함께 담긴 미더덕, 곤이, 새우, 조개 등이 시원하고 칼칼한 맛을 한 번 더 채운다. 속이 확 풀리는 한국의 맛이 복정집 해물통오징어에 담겨 있다. 멀리 떨어진 시청 앞 직장인의 맛까지 책임지는 이유다.

메뉴 해물통오징어 가격 8천원
위치 서울시 서대문구 초동 19-10
문의 02-2269-1608


호시노 켄켄

호시노 켄켄
카레를 기본으로 한 음식은 많다. 카레우동, 카레돈가스, 카레라면. 하지만 카레 해물탕은 처음이다.

호시노 켄켄의 카레 풍미 해물나베는 일본식 해물탕에 카레를 넣었다. 꽃게, 오징어, 새우, 가리비, 홍합을 중화 팬을 사용해 볶아낸 후 가쓰오다시로 맛을 낸 육수를 붓는다. 카레가 많이 들어가진 않는다. 약간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정도. 동시에 센 불에 볶아낸 해물 특유의 향이 어우러져 먹기도 전에 코끝을 자극한다.

한 국자만 떠 먹어도 담백함이 전해진다. 기존의 해물탕과는 또 다른 맛이다. 카레와 해물의 그을린 맛이 잘 어울린다.
여기에 숙주의 사각거리는 식감이 씹는 맛까지 책임진다. 취향에 따라 생라멘이나 우동 면을 넣어 먹을 수도 있다. 호시노 켄켄의 면은 유명 호텔 중식당에 들어가는 생면이다. 탱글탱글한 면발을 해물탕과 함께 맛볼 수 있다. 원래는 담백한 맛이지만 원한다면 매콤한 맛도 주문할 수 있다.

메뉴 카레 풍미 해물나베 가격 2만원 위치 서울시 중구 무교동 45 더익스체인지 서울몰 8층
문의 02-752-7730


비진도 해물뚝배기

비진도 해물뚝배기
정직한 맛은 정직한 재료에서 나온다. 거제도 출신 주방장은 직접 어부들과 거래한다. 무안 뻘낙지부터 게, 전복까지 전국 거래처에서 매일 싱싱한 해산물이 배달 온다. 덕분에 음식의 원가와 시세까지 투명하게 알 수 있다.

갓 도착한 싱싱한 주꾸미, 꽃게, 굴, 새우, 조개 등을 뚝배기에 넘치도록 담는다. 이곳 해물뚝배기에 넘치도록 담기지 않은 게 있다면 조미료. 자극적인 맛은 줄이고 건강함을 추구하는 주방장의 고집이다. 오로지 버섯 가루가 들어간 양념장과 된장, 고춧가루로만 맛을 낸다. 2% 부족한 맛이 아닌 2% 이상 건강해진 맛이다.
해산물 본연의 풍부한 맛은 여기서 탄생한다.

함께 나오는 삼색밥 또한 특별하다. 흑미, 쑥, 치자를 넣은 밥은 맛이 좋은 건 물론이고 색도 곱다. 이 밥을 맛보기 위해 따로 손님들이 올 정도. 한 번에 세 개의 밥을 짓느라 힘이 부치지만 주방장은 건강한 맛을 포기하지 않는다. 참고로 이곳에서 음식을 주문할 때 ‘저기요’는 통하지 않는다. 직원의 이름을 부르자.
소박하지만 풍성한 해물뚝배기 한 그릇이 당신 앞에 놓일 것이다.

메뉴 전복뚝A+ 가격 1만5천원
위치 서울시 서대문구 합동 21-23
문의 02-312-2867

EDITOR: 김종훈
PHOTOGRAPHY: 안정환
WORDS: 김단희(프리랜서)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종훈
Photography 안정환
Words 김단희(프리랜서)

2013년 9월호

MOST POPULAR

  • 1
    벨루티 X 이준호
  • 2
    전설은 계속된다
  • 3
    그곳에 소지섭이 있었다
  • 4
    다시 콜드플레이!
  • 5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RELATED STORIES

  • FOOD

    흔하지 않은 꿀

    개성 한 방울 첨가된, 가지고 싶은 매력의 한국 브랜드 꿀 4

  • FOOD

    청아한 프리미엄 소주 4

    뒤끝 없이 청아한 프리미엄 소주.

  • FOOD

    바비큐가 궁금해

    내 마음처럼 요리되지 않는 토마호크 바비큐, 몇 가지 팁만 유념하면 된다.

  • FOOD

    제로 vs 제로

    늘어나는 지방과 두툼한 몸집을 생각하면 소다라도 0 칼로리로 마셔야지.

  • FOOD

    비비거나 적시거나, 일본 면 요리 전문점 3

    배가 고프지만 아무거나 먹기는 싫다. 그럴 때 찾게 되는 마약 같은 일본 면 요리.

MORE FROM ARENA

  • FASHION

    THE SHAPE OF CITY

    무정한 도심의 인상에 가로놓인 보테가 베네타의 곧고 분명한 형상.

  • INTERVIEW

    Craftsmanship Of Seoul #구두선생

    세상은 무정하게 변한다. 열심히 살면 무엇이 남나. 들어버린 나이와 늙은 음악과 촌스러운 영화들만 주변에서 반복된다. 그럼에도 살아 있으니까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여정을 시도한다. 세월에 무임승차해 지나간 풍경을 곱씹으며 인생이 고장 났던 순간만 복기할 따름이다. 그런 와중에도 우리는 일정하게 정차한다. 간이역에서 책임질 것을 찾아 두리번거리다 빈손으로 다시 열차에 오르길 반복하다 보면 어느덧 누군가의 손을 잡고 있다. 그때쯤 차창 풍경에도 무심해진다. 변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업력도 능력도 키워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무엇을 해볼까. 고민하는 사이 기회는 스무 살의 꿈처럼 구름 뒤로 사라지고 열차는 황혼에 들어선다. 이달 우리는 장인들을 만났다. 50년간 구두를 수리했거나, 60년간 시계를, 40년간 기타를, 60년간 오디오를 수리한 사람들 . 한 가지만을 고쳐온 장인들에게 변하는 세상에서 우직할 수 있었던 힘에 대해 물었다.

  • INTERVIEW

    김태희, "연기 안팎으로 더욱 인간미가 느껴지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배우 김태희의 <아레나 옴므 플러스> 7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FASHION

    See-through

    볕을 마주하기 좋은 요즘 선글라스들.

  • LIFE

    듣똑라

    뉴미디어가 언급된 것은 몇 해 전 일이다. 이제 뉴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와 어깨를 견주는 규모로 성장했다. 시사, 정치, 사회,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뉴미디어 시장을 보며 의문이 솟았다. 밀레니얼 세대가 뉴스에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 그들이 뉴미디어를 구독하는 이유는 또 무엇일까. 새로운 세대의 미디어는 어떻게 변화하고 또 달라질까. 뉴미디어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FAMILY SITE